안정효의 글쓰기 만보 - 일기 쓰기부터 소설 쓰기까지 단어에서 문체까지
안정효 지음 / 모멘토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품을 이해하려면 작가에 대한 이해, 작품이 쓰여진 시대에 대한 이해가 동시에 필요하다고 했다. 저자인 안 정효 선생님은 소설가 이전에 기자로 활동했고, 번역가로도 이름을 날린다. 번역가가 되려고 공부를 시작하다 보니 그의 소설보다, 이 윤기 선생님과 더불어 1세대 전문 번역가로 불리는 번역가로서의 이력에 관심이 많았다.

이 글은 문학 작품, 그 중에서도 소설을 쓰려는 사람들에게 주는 지침서와 같다. 첫째 마당 ‘단어에서 단락까지’, 둘째 마당 ‘이름 짓기에서 인물 만들기까지’, 셋째 마당 ‘줄거리 짜기에서 초벌 끝내기까지’, 넷째 마당 ‘시작에서 퇴고까지’ 하여 작품 하나를 끝낸 후, 다섯째 마당 ‘글쓰기 인생의 만보’라는 소제목에서는 글쓰기 인생을 회고하고 지식을 전수한다.

문예 창작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아서일까. 글을 읽다 보니 생각지도 않았던 부분에서 부딪힌다. ‘있을 수 있는 것’을 배제하는 낱단어 선택에서 시작해서, 글의 첫 시작을 한 줄짜리 짧은 문장으로 하면 독자를 끌어들이는 효과가 크다는 등, 사소하지만 영향력이 큰 여러 지식들이 줄지어 흘러나온다.
번역가로서의 지식이 함께 더해져서 수많은 외국 작가와 작품들이 사례로 소개되고, 덕분에 지금까지 몰랐던 작가에 대해, 그리고 작품에 대해 조금은 눈을 뜨게 되었다. 습관적으로 우리말에 섞어 사용하던 단어들을 한글로만 표현한 점도 눈에 띈다.
간간이 등장하는, 저자가 직접 그린 삽화는 빡빡한 내용 사이의 오아시스였고, 본문에서는 어렵기만 하던 저자의 유머 감각이 엿보인다.

앞으로 소설을 쓸 일은 없겠지만,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불릴 정도이므로, 영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이를 우리말로 옮기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겠다. 저자가 표지에까지 넣어 강조한 ‘읽기에 쉬운 글이 쓰기 어렵다-헤밍웨이’, ‘요령으로는 뚝심을 당하지 못한다-안정효’는 꼭 새겨두어야겠다. 책 한 권으로 소설 창작과 번역까지 두 가지 내용을 공부한 뿌듯함이 밀려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