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잃어버린 생명의 밥상
김인술 지음, 고우석 감수 / 밀알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대기업에서 근무하다가 뜻한 바가 있어 귀농하고, 농업의 다면적 가치를 살리기 위한 생명운동과 함께 우리의 정체성 회복을 위해 전통생활문화연구에 열중하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이력이다. IMF 이후로 귀농하는 사람이 많이 늘었는데, 귀농과 생명, 정체성 회복을 접목시킨 분은 아주 오랜만에 본다.
책에서는 우리 민족의 저력은 인재이며, 이런 인재를 키우기 위해 ‘태교’에 대한 교육을 선택했다고 말한다. 우선 이 책에서는 태교보다는 건강에 관한 강의 내용을 묶었고, 주된 주제는 예전의 생명의 밥상, 즉 체질과 기후에 따른 음양 오행을 잘 맞추고 신토불이 유기농, 또는 환경 친화적으로 키운 먹을거리를 과하지 않게, 채식 위주로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약식동원(藥食同原)이라는 말처럼 바른 먹을 것을 먹음으로써 건강하고 온전한 생명을 영위할 수 있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각종 질병 (감기, 암, 고혈압, 당뇨)에 맞는 식이요법, 고기와 채소, 컬러에 따른 섭식을 제시했다.
또한 예전 선조들의 예시, 생일날 수수팥떡을 해 먹이는 이유, 제삿상에 조율이시가 빠지지 않는 이유, 복날 삼계탕과 보신탕을 먹는 이유 등의 다양하고 알기 쉬운 예들에 대해 음양오행적 설명을 곁들임으로써 이해를 좀더 쉽게 하였다.
예전 어른들은 어떻게 이런 것을 생각하셨는지 새삼 경탄하기도 하고 이런 것은 생활에 바로 적용해 봐야지 결심한 것도 있었다. 지금까지 가정 시간에 배웠던 서양 영양학 위주의 관점에서 벗어나 민족의 정체성에 대해 약간은 느낄 수 있었던 좋은 기회가 되었다. 반면 강의글이나 연재하던 글을 모은 것이라 조금 산만하고 중복되는 내용이 곳곳에 보였으며 머리에 많이 남지 않는다는 아쉬움도 남는다.
이보다 전에 ‘먹지 마 건강법’이라는, 한의사가 쓴 책을 읽은 적이 있다. 이 책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이야기하는데, 웰빙의 일환으로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한번쯤 읽어봐도 좋을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