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소녀 카르페디엠 8
벤 마이켈슨 지음, 홍한별 옮김, 박근 그림 / 양철북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브리엘라는 과테말라에 사는 인디오 소녀로, 나무 타기를 잘 하고 좋아해서 주변 사람들에게서 나무소녀라는 별명을 얻는다. 라티노들에게 생활의 터전을 많이 잃고 시골로 밀려난 이후로 가난하지만 행복하게 살아온 가족에게, 과테말라 내전이라는 무서운 비극이 들이닥친다.

나무에 올라가면 그만큼 더 하늘에 가까워진다며 나무 타기를 좋아했던 소녀에게 나무는 어려움을 벗어날 수 있고 마음을 가다듬을 수 있는 행복한 장소였다. 그렇지만 나무 위에 숨어서 한 마을의 몰살을 숨죽여 지켜보아야 했던 이후로 나무소녀는 나무에 올라가지 못했다. 그런 가브리엘라를 구원한 것은 수용소 안에서 학교를 엶으로써 희망을 불러일으킨 덕분에 말을 되찾은 막내동생이었다.

한국전쟁이라는 내전에서 동족이지만 사상이 다른 상대편에 의해, 거기에 더해 각 진영이 업은 외국 군사들에 의해 파괴와 학살을 경험한 우리들에게는, 너무나 익숙하기 때문에 더욱 무섭게 현실적인 내용이었다. 책장을 넘기기가 두려울 정도로 인종 차별과 내전의 절망적인 현실 앞에서 꿋꿋하게 굴복하지 않고, 미래를 생각할 수 있는 가브리엘라의 용기가 참으로 가상하다. 아우슈비츠의 수용소에서도 끝까지 살아남은 사람들의 공통점은 희망을 가졌다는 것이라고 한다.

3년간의 한국전쟁이 끝나고서 우리 나라는 정신적, 물질적으로 폐허가 되었다. 과테말라는 1996년까지 36년간이나 내전에 휘말렸다고 한다. 미국의 조종 가능성도 책에서는 언급했는데 과연 그렇다면 제3세계의 많은 곳에서 전쟁을 일으키고 주도하는 전쟁 유발국으로서의 책임에 대해 좀더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우리 나라가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듯 과테말라도 내전의 상처를 딛고 굳건히 다시 서기를 바란다. 그래야만 가브리엘라와 같은 인디오와 라티노들 모두 자연 안에서 평등하게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