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 자폐인의 내면 세계에 관한 모든 것
템플 그랜딘 지음, 홍한별 옮김 / 양철북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텔레비전을 크게 틀어놓고 자다가 한밤중에 일어나 브라운관에 나타난 백색 화면을 하염없이 본 적이 있는가? 사이키 조명이 번쩍거리며 돌아가고 음악 소리가 시끄러운 곳에서 대화를 나누어 본 적이 있는가? 신경이 곤두서서 조그만 소리에도 몸이 아파본 경험이 있는가?
이런 일들은 정상적인 환경에서 자폐인들이 느끼는 그런 감각들이라고 한다. 시각과 청각, 후각이 과민해져서 일반인들은 감당할 만한 자극에도 과민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네이버 백과사전에 나온 자폐증이란 ‘현실에서 멀어지고 자기의 내면세계에 파묻혀 있는 정신질환’이고, 이 책에 의하면 자폐증은 뇌 이상이 나타나는 신경성 장애로서, 소뇌와 변연계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자폐증은 정도와 유형에 따라 크게 저기능 자폐인과 고기능 자폐인으로 나뉘는데, 고기능 자폐인은 대개 말을 잘 하게 되고 학습 능력이 좋은 반면 저기능 자폐인은 아예 말을 하지 못하거나 몇 마디밖에 못 하고, 혼자서 사회 생활을 하기 어렵다.
고기능 자폐인 중에서는 계산, 기억력, 그림 그리기 등에 있어서 불가사의할 정도로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 (savant, 사방)도 있다. 이들 중 한 사람이 바로 소와 가축에 대한 이해력과 통찰력을 가진 저자 템플 그랜딘이다.
저자는 자폐인의 입장에서 자폐증의 진단과 감각, 감정, 재능 계발, 약물 치료와 치료법, 인간 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주로 자신의 예와 고기능, 저기능 자폐인의 예를 들며 설명하였다. 그리고 저자의 전문 분야인 동물과의 유대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을 할애했다.
서문에 나온 것처럼 이 책 이전에 저자가 펴낸 ‘어느 자폐인 이야기’가 나오기 전까지는, 자폐인은 내적인 삶이 없거나, 만약 있다고 하더라도 거기에 접근하거나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 정설이었다고 한다. 저자의 말에 의하면 사람과 동물의 중간적 입장이라고나 할까.
저자의 책으로 인해 이 정설이 타파되었고, 자폐인이 느끼는 감정과 인식에 대해 세상에 알리는 통역사가 되었다. 그리고 빠른 진단과 적절한 약물치료와 행동, 언어치료를 통하면 많은 수의 자폐인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는 희망도 심어주었다.
게다가 이전 책인 '어느 자폐인 이야기'를 집필하고 10년이 지나 펴낸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에서 정신적으로 훌쩍 발전된 모습까지 보여줌으로써, 자폐인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증대시키고, 자폐인의 발전 가능성을 확신시킬 수 있었던 기념비적인 업적으로 생각한다.
책 뒤쪽에 나열된 수많은 참고문헌들을 통해 궁금한 사항은 좀더 찾아볼 수 있다. 앞으로 자폐인에 대한 더 많은 이해와 치료의 근본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