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한 권의 책이었다
소피 카사뉴-브루케 지음, 최애리 옮김 / 마티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중세 이후로 서구 문명의 역사와 함께 하는 책의 역사에 대해 서술한 책이 ‘세상은 한 권의 책이었다’이다. 이 책에서는 책을 만드는 과정과 장소, 진귀하고 소중한 보물로서의 책의 위상과 수집가들, 독자들이 책을 읽는 방식의 변화와 독자층, 마지막으로 채식사의 활동과 변천사에 대해 다루고 있다.

서구 문명은 기독교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성경과 관련된 책들이 주를 이루었고, 이는 수도원에서 책들이 수서본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활자 인쇄가 널리 유행하기 전까지 책은 모두 사람이 손으로 써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엄청나게 비쌌다. 우선 양의 껍질을 벗긴 양피지는 양 한 마리에 겨우 4장 얻을 수 있었으므로 값이 비쌌고, 글씨를 쓰는 필경사의 수당, 그림을 그리는 채식사의 수당, 금과 가죽, 보석 등으로 장식한 표지 등으로 하여 비쌀 수밖에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인은 글을 모르기도 하지만 가격 때문에 책을 거의 가질 수 없었고, 책은 재산으로서 왕이나 귀족들, 수도원 등에서만 소장할 수 있었다.
책 전반에 걸쳐 화려한 채식들이 소개되면서 채식사에 대해 많은 부분이 할애되었다. 채식사가 하는 일은 문단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머리글자, 삽화, 책장의 가장자리를 장식하는 테두리 장식 등이었다. 시대가 달라짐에 따라 글씨와 그림체가 바뀌었고, 또 중요한 것은 책을 주문한 사람이 누구인가에 따라 그림에 등장하는 사람이 바뀌는 맞춤형 채식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채식은 책의 삽화로서만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독립적인 작품으로서의 지위에까지 격상될 정도였는데, 이는 중세 시대에서 화가가 차지하는 지위가 높아지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그림에 대해 전혀 재능이 없고 창의력이 없는 나로서는 그 복잡한 무늬들과 작은 머리글자를 장식하는 채식사들의 창의력과 창조성에 대해 정말 경탄할 수밖에 없었고, 이처럼 아름다운 책들이 있다면 글의 내용보다는 그림을 보느라 정신이 팔릴 것 같다.

“어떤 이들은 신을 발견하기 위해 책을 익는다. 그러나 더 큰 책이 있으니 창조된 세계 자체가 그것이다. 사방 위아래를 둘러보고 눈 여겨 보라. 그대가 발견하고자 하는 신은 먹물로 글씨를 쓰는 대신 지으신 만물을 그대 눈앞에 두신 것이다.”라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설교문처럼 하나님이 지으신 한 권의 책으로 세계를 본다면, 책에 아름다운 채식을 더하는 것처럼 한번 아름답게 살아보고 싶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