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후, 일 년 후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최정수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개인적으로 표지에 작가 얼굴이 나온 책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보통 잘생기거나 예쁜 사람들이 자신의 외모를 덧붙여 판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이런 표지를 통해 자신의 얼굴(체면)을 걸고 이 글을 썼다는 자부심을 표시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한 달 후, 일 년 후> (2012,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소담출판사 펴냄)의 표지에는 프랑수아즈 사강의 얼굴이 크게 나와 있다. 곱슬기가 있는 커트 머리, 짙은 눈썹, 화장기 없어 보이는 얼굴, 젖살이 남아 있는 듯한 앳된 얼굴의 흑백 사진이다. 1935년에 태어났고, <한 달 후, 일 년 후>는 1957년에 출간되었으니 표지의 이 사진은 이 책을 썼을 즈음인 20대의 사진일지도 모르겠다. 김영하 작가의 책 제목으로 더 널리 알려진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라는 말이 바로 프랑수아즈 사강이 마약 혐의로 법정에 섰을 때 한 말이라고 하니, 우리 사회에 사강만큼 널리 알려진 프랑스 여류 작가가 없을 듯도 하다.

책의 제목인 '한 달 후, 일 년 후'는 프랑스의 고전 비극 작가 라신의 1670년 작 희곡인 <베레니스>의 한 구절이라고 나온다.

 

한 달 후, 일 년 후, 우리는 어떤 고통을 느끼게 될까요?

주인님, 드넓은 바다가 저를 당신에게서 갈라놓고 있습니다.

티투스가 베레니스를 만나지 못하는 동안,

그 얼마나 많은 날이 다시 시작되고 끝났는지요.

서로 사랑하는 남녀가 만나지 못하는, 사랑을 완성하지 못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나를 사랑하지 않고, 내가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나를 사랑하고, 사랑해서는 안 되는 사람을 사랑하고, 한때는 서로 사랑했지만 이제는 시효가 다 되어 더 이상 사랑하지 않고.

<한 달 후, 일 년 후>에는 그렇게 사랑을 완성하지 못하고 서로의 등을 바라보는 남녀가 줄줄이 등장한다. 그것도 사랑만이 지상과제인 것처럼 세상을 다 가진 것처럼 기뻐하고 죽을 듯이 괴로워할 만큼 사랑에 충실한 남녀가. 사랑이 한없이 가벼워진 요즘에는 찾기 어려울 만큼 자신의 사랑에 대해 헌신적이지만, 동시에 자신의 감정에만 충실하느라 배우자를 팽개치는 무심함은 아주 잔혹하다. 이들에게 사랑은 그야말로 책임이 없는 본능일 뿐이고, '한 달 후, 일 년 후'에는 결별의 고통만이 남을 것이다.

저자는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모든 사람에게 고루 마음을 나누어 준다. 마음보다도 젊음으로 빛나는 육체를 따라 움직이는 자유로운 사랑 이야기는 자칫 천박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담담한 문체와 심리 묘사가 이야기를 구해 낸다.

참 오래간만에 프랑스의 감수성 사강과 그녀의 사랑 이야기를 만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