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살라 인디아 - 현직 외교관의 생생한 인도 보고서
김승호 지음 / 모시는사람들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외여행이 자유화된지 어언 20년. 인도는 신라의 스님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에서부터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오랫동안 종교의 나라, 구도의 나라로 생각되었고, 이제는 기술의 나라로 탈바꿈하고 있는 인도. 그러나 10억이 넘는 인구와 넓은 땅, 한 나라 안에서도 다양한 종교 때문에 여행객들이 보고 오는 인도는 천차만별이었다. 여러 사람들의 일부분 일부분을 모아 인도를 종합적으로 보기에는 부족했다.
그래서 2006년부터 인도 주재 한국대사관 문화홍보관으로 근무 중인 현직 외교관이 저술한 <맛살라 인디아> (2008, 김승호 지음, 모시는사람들 펴냄)를 들었을 때, 인도에 대한 그간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저자는 <맛살라 인디아>에서 인도를 움직이는 힘, 인도는 지금, 인도 이모저모, 인도에서 한국을 만나다 라는 네 항목으로 나누어 인도라는 나라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도를 움직이는 힘’에서는 인도에서 뜨고 있는 첨단 산업들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자동차와 철강, IT와 BT 등은 외국의 기술투자로 시작되었으나 이제는 인도의 자체 산업이 융기하고 있다. 빈익빈 부익부와 직업의 불안정성이 심각하지만 영어 가능 인구 풀과 수학적인 두뇌 덕분에 이들은 앞으로도 많이 발전할 거라고 한다.
그러나 ‘인도는 지금’을 보면 그 문제점이 만만치 않다.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부동산, 종교 분쟁과 카스트의 굴레, 교육의 양극화에 따른 빈부의 세습, 정치의 불안 등은 IT 강국이라는 인도의 이미지와 상충하는 듯하다.
‘인도 이모저모’는 인도의 문학과 역사, 종교와 영화, 요리를 가볍게 다루고 있으며, ‘인도에서 한국을 만나다’는 인도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 한국인들, 대장금을 필두로 한 한국 문화를 다루었다.

저자는 외교관이라는 특성상 국제적인 정세에서 인도를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고급 통계 자료들을 풍부하게 실어서 독자들이 인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재료가 배합되어 인도 향신료 특유의 맛을 내는 ‘맛살라’처럼, 인도는 다양한 종교와 인종과 계급이 모여 특유의 문화를 만들어내고 있었으니, 이 한 권으로 인도의 핵심을 보았다고 해도 무방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