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지의 사전 - 브리태니커와 구글에도 안 나오는 인류 지식의 최신 보고서
카트린 파지크.알렉스 숄츠 지음, 태경섭 옮김 / 살림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명확한 원인과 결과가 밝혀져 있는 것은 가르치기도 배우기도 어렵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결과는 있으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결과의 표면적인 부분을 묘사하는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설명조차도 어려워진다.
이는 빛마저 흡수되기 때문에 눈으로 볼 수 없는 블랙홀을 이야기하는 것과 비슷하다. 블랙홀에 흡수되지 않지만 그 영향을 받을 정도로 가까이 지나가는 빛이 블랙홀 근처에서 휘어지는 현상으로 블랙홀의 존재를 규명하는 것처럼, 어쩌면 무지도 지식을 통해 규명할 수 있지 않을까?
<무지의 사전> (2008, 카트린 파지크, 알렉스 숄츠 지음, 살림 펴냄)은 아이러니한 제목과 '브리태니커와 구글에도 안 나오는 인류 지식의 최신 보고서'라는 부제 하에 42가지의 무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크게 감각의 무지, 사물의 무지, 인간의 무지, 동물의 무지, 우주의 무지, 현상의 무지라는 여섯 부분으로 나뉘어서, 여러 가지의 하위 개념들을 포함한다.
이 무지들에는 우리가 익히 그 현상을 알고 있으나 원인을 알지 못하는 것들이 많았고, 아예 처음 듣는 것들도 많았다. 알고 있던 것에 대한 설명을 읽을 때에는 지금껏 너무도 당연하게 생각해서 그 원리나 탄생 배경 등에 대해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 새삼스러울 정도였다. 예를 들면 생명체나 물, 근시처럼 말이다. 이들은 현상보다는 그 근거와 원인에 대해 깊이 파고든 여러 가정들을 소개함으로써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향에서 다른 깊이로 사물을 보고 무지를 느끼기를 고무한다. 아예 처음 듣는 것은 후반부의 동물, 우주, 현상 쪽에 많았다.
저자들은 <무지의 사전>의 두 가지 오류로,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단순화하는 데에서 오는 오류, 가까운 장래나 먼 미래에 틀린 것으로 생각될 수 있는 전제와 주장을 내포하고 있는 오류를 꼽았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 책에 실린 42가지 중에서 상당수는 아마 지식의 사전으로 옮겨질 수 있을 것이다.
그 근본적인 지식을 모른다고 해도 우리는 충분히 현상을 잘 이용하고 있다고 본다. 물의 구조와 성질을 잘 알지 못해도 물을 얼리고 끓이는 등 잘 사용한다. 근시가 어떻게 해서 생기는지 몰라도 이를 상쇄하기 위하여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라식 등을 이용하고 있다. 과학자가 아닌 일반인에게는 기존의 지식을 잘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겠다.
그러나 무지의 존재에 대해 아는 것은 새로운 충격이었고, 읽어도 이해되지 않는 이야기들을 통해 무지의 바다는 넓고도 넓음을 깨닫게 되었다. 기존의 통념을 깨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드러나서 이 무지들이 해결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