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참 복잡한 집이 있다. 아이가 셋인데 셋 다 아버지가 다르고, 그 아이들이 한 엄마와 함께 산다. 엄마는 유명한 소설 작가. 저자 후기에도 나오듯이 공지영 님의 실제 생활과 아주 흡사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 책은 자서전이 아니라 100% 소설이라는 전제로 책을 읽기 시작하자.

책은 고등학교 2학년생 딸아이의 시점에서 전개된다. 엄마와 아빠가 이혼하면서 아빠에게 남았고, 새엄마의 몰이해와 냉정한 아빠 사이에서 결핍감을 느끼다가, 엄마와 함께 살기로 마음먹는 장면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단정하고 각이 잡힌 아빠 집에서 둥글둥글하고 엄격하지 않은 엄마 집으로 옮겨 오면서 위녕은 많은 혼란을 겪기도 하고, 이복동생을 간호하는 엄마의 모습에서 자신의 외로운 성장 과정을 떠올리며 질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피는 가까운 것일까. 떨어져 있던 시간을 극복하고, 엄마와 딸이라기보다는 친구처럼 지내면서 드디어 서서히 집에 뿌리를 내릴 수 있었고, 즐거운 나의 집이 어떤 모습인지 처음으로 알게 된다. 그에서 파생된 마음의 여유로 드디어 아빠와 새엄마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마음 속에서 울고 있는 어린 위녕을 안아줄 수 있었다.

위녕이 복잡하고 시니컬하고 조숙하게 묘사되는 것에 비해, 엄마는 때로는 어려운 말을 하기도 하지만 술 마시고서 딸 앞에서 춤을 추고 새로운 사랑에 빠져서 얼굴이 발그레해지는 등 자신의 감정에 솔직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작가라는 직업이 아주 잘 어울리는 인물이다. 그런 예민함과 열정으로 그는 이혼을 세 번 하기 앞서서 사랑을 세 번 한다. 그리고 다니엘 아저씨는 딸과 엄마 모두가 쉴 수 있는 중간지대 역할을 아주 멋지게 소화한다.

<즐거운 나의 집>에서는 베스트셀러 작가라는 위치 덕분에 현실적인 생계의 어려움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쿰쿰한 김치 냄새 대신 생맥주의 알싸한 냄새가 풍기는 그런 느낌이라고 할까. 그래서인지 등장인물들 사이의 갈등도 극으로 치닫는 대신 서로 이해하고 날이 선 대립을 피한다. 즐거운 나의 집 자체가 아늑한 코쿤으로 작용하는 듯도 하다. 현실감은 좀 떨어지지만 글이 아니면 어디에서 이처럼 즐거운 집을 보는 재미를 누리겠는가.

요즘은 이혼이 큰 이야깃거리가 아닐 정도로 주변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혼을 쉽게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가정이라는 울타리가 감옥이 될 때 스스로를 포기하지 말고 자기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래서 저자는 '착한 여자'에서 '행복한 여자', '즐거운 나의 집'의 수호자로 무게중심을 옮기었나 보다. 위녕에게 즐거운 집이 둥빈과 제제에게도 즐거운 집일지는 의문이 들지만, 그래도 지금 행복한 위녕과 엄마를 보니 나도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