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대학교가 부설 한국어학당에 다니던 우즈베키스탄인 유학생 22명을 강제 출국시키는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이른바 ‘진보 대학’이라는 이미지와 달리 인권 유린을 서슴지 않은 것입니다. 이런 일이 벌어진 배경에는 유학생 유치를 통한 돈벌이에 눈먼 대학 당국과, 이주민 유입을 확대하면서 통제도 강화하는 정부 정책이 있습니다.
https://wspaper.org/article/30412
📰 구독
📺 노동자연대TV youtube.com/c/노동자연대TV
📱 안드로이드·아이폰 앱 wspaper.org/s/app
📮 매일 뉴스레터 구독 wspaper.org/s/email
⚡️ 텔레그램 wspaper.org/s/tg
🗞 종이신문 wspaper.org/subs
👉 후원(일시·정기) wspaper.org/donation
〈노동자 연대〉를 구독하고 후원해 주세요.
내용 일부
또, 정부는 어학연수생에게 1000만 원의 은행 잔고 증명서를 요구한다. 가난한 학생들을 잠재적 미등록 체류자 취급(차별)하며 배움의 기회도 제약하는 것이다.
한신대는 2021년까지 교육국제화역량 인증 대학에 선정됐다가 지난해에는 어학연수 과정이, 올해는 학위 과정이 인증을 받지 못해 유학생 유치에 제한을 받았다. 인증 대학에 다시 선정돼 내년 유학생 유치를 늘리려고 우즈베키스탄인 유학생들을 속여 가며 강제 출국시킨 것으로 의심된다.
한신대 당국과 정부는 강제 출국당한 유학생들에게 적절한 구제 조처를 취해야 한다. 또한 미등록 체류를 막겠다며 벌이는 유학생 통제 정책들을 중단해야 한다.
‘진보’ 이미지와 달리 보수적으로 학교를 운영해 온 한신대 당국
한신대 신학대학이 독재 정권 시절 권력에 맞서는 목소리를 대변하는 양심의 아성이었던 까닭에 한신대는 진보적 대학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지금도 한신대 당국은 스스로 “진보대학”을 표방하고 있지만 그 말이 무색해진 지는 오래다.
한신대가 종합대학이 된 1980년 이후, 신학대가 아닌 일반 단과대 차별, 학내 복지 부족, 이사회 비리 문제 등으로 투쟁이 벌어졌다. 이 투쟁 과정에서 1987년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인 김수행 교수와 정운영 교수가 해임됐다.
법인이자 설립자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는 자신이 책임져야 할 사학연금을 8년(2005~2012년)이나 학생 등록금으로 60억 원을 지급했다.
학교 당국은 정원 감축, 학과 통폐합 등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에도 적극 나서 왔다. 이 때문에 대학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학내 투쟁이 여러 차례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