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게 다 우울한 밤에
나카무라 후미노리 지음, 양윤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주인공 는 보육원에서 자랐고 교도관이 되었다.

 자칫 교도소에 드나드는 범죄자가 될 수도 있었던 가 범죄자가 아니라 교도관이 된 건 의 덕분이기도 하고 때문이기도 하다. 소설 속에서 의 구원자며 스승으로 나오는 는 보육원 원장이다.

 

  아늑한 가정의 기억이 없는 는 늘 삶보다 죽음에 더 가까이 있다. 소중한 가족이 없다는 것은 자신도 소중하지 않다는 식의 우울감을 부추겨 폭력적인 충동에 시달리게 하기도 한다. 그나마 그런 폭력성을 억누르고 건전한 삶에 붙들어 매어주는 유일한 끈이 원장이 주었던 관심과 사랑이었다. 그래서 는 함부로 살 수가 없다. 원장의 사랑에 실망을 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그 후로 가 바로 활달하고 제대로 된 생활을 하는 모범적인 아이가 된 것은 아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에 올라갔을 즈음엔 반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보육원 안에서 보낸다. 그 때도 원장은 학교에 가라고 강요하지 않았고 원장의 좁은 오디오 룸에서 시간을 보내게 해주었다. 그리고 그곳에서 음악을 들려주고 도서관에서 빌려온 영화 비디오와 책을 보게 했다. 항상 눈을 똑바로 바라보면서 원장이 에게 해주었던 말들은 신선한 물처럼 를 정화시키고 변화시켰음에 틀림없다.

   

  중학교 졸업식 날,

와 원장은 많이 울었다. 내가 가진 신뢰와 사랑을 원장도 함께 느끼고 있었음에 틀림없다. ‘는 이런 말을 했고 원장은 나보다 먼저 울었다.

나는..... 고아라서 다행이었어요.”

?”

원장님을 만날 수 있었잖아.”

 

 보육원에서 자랐지만 좋은 양육자를 만난 는 원장이 에게 해주었던 역할을 야마이라는 살인범에게 해주고 있다. 사랑이 사랑을 낳고 있었던 것이다.

 ‘야마이18,

 신혼부부 살해죄로 지방 법원에서 사형을 판결 받고 수감 중이다.

 항소 기회가 있지만 야마이는 항소를 할 마음이 없고 오직 죽기만 기다린다.

   

  ‘는 야마이가 갇혀 있는 독거방에 들어가 앉아 야마이와 눈을 맞추고 이야기를 들어준다.

  원장이 의 목숨을 살려주며 그랬던 것처럼.

 

  야마이는 항소를 했고 에게 감사의  편지를 남긴다.

 

**

 

  짧은 소설이지만 분명하고 확고한 웅변이 있다.

 

  유아, 청소년의 정신이 얼마나 흔들리기 쉬운 것인지.

  어른의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지.

  좋은 양육자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지.

  부모가 되었다고 무조건 좋은 양육자가 되진 않는다는 것을,

  더 나아가 사회의 책임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소설은 웅변하고 있다.

 

  그리고 사형제도.

  세상에 존재하지 않아야 되는 사람을 사람이 결정하고, 그 일을 결정한 사람이 아닌 누군가가 실행해야 한다. 죽지 않으려고 발버둥치는 사람을 제압하고 죽여야 되는 사람들. 비록 직업이라 하지만, 사람을 죽이면 안 된다는 도리를 실천하기 위해 사람을 죽여야 하는 모순.

 사형제도의 존속여부가 과연 옳은 일인지에 대해서도,

 웅변하고 있다.

 

 젊은 작가에 대해 관심이 많이 가게 하는 특별한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