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 지금 침몰하는 배거든요, 침몰하는 배에 다 같이 침몰할 거냐, 일단은 한명 빠져나와서 나중에 둥둥 뜨는 애라도 건질 것이냐의 문제입니다. 본인이 지금 결정한 거예요. 본인이 들지도 못할 걸 왜 들고 있어요? 지금 본인이 죽을 것 같잖아요. 자기가 먹고 살고 그 여분이 남을 때만 타인에게 그것을 줄 자격이 있는겁니다. 지금 어머니에게 굉장히 힘든 모습을 보여 주는 거예요. 일단은 집에서 나오세요. p.137
고독이란 건 자의식이 강한 상태입니다. 우리가 고독을 이해할 때 제가 강조했던 게 있죠. 세계에 몰입하지 못한다는 거요. 몰입을 못 한다는 건 나 자신의 자의식이 강하다는 거예요. 자신에게 집중하는 거고, 긴장되어 있는 거예요. 이 세계를 풍경으로 보는 겁니다. 자신을 제외한 모든 것에 대해 몰입하지 못해요. 나에게만 몰입해요. 나에 대해서만 몰입하는 겁니다. 그런데 몰입을 하면 할수록 우리는 분열증에 빠져요. 우리의 문제가 그러죠..p.180
바보들만'내가 판단을 한 게 잘못 됐을 수 있다'이렇게 생각하고 자신이 판단한 것을 스스로 부정해 버리죠. 결국은 어떤 행동도 취하지 않아요. 그렇지만 현명한 사람은 자신이 판단할 때 '지금은 이게 맞아. 오케이' 이렇게 해요. 그리고 자신이 생각한 대로 행동을 개시하죠, 물론 조금 지나고 나서 후회가 될 수도 있어요. 그럼 아닌 거고요. p.203
난파선에서 고독하게 죽어가는 바보들이로군. 우리는.
제가 고문을 당했는데, 그 일을 나쁘게만 생각했으면 저에게 큰 상처가 되고 한이 되었을 겁니다. 그러나 그것을 인생의 경험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몇 년 수행하는 것보다 더 큰 깨달음을 얻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경험한 것을 주로 상처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삶이 고달픈 거에요. 어떤 경험을 했든 그것을 항상 교훈으로 삼아서 자산으로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그런 사람은 어려움을 겪을수록 더 단단해지고, 능력도 커집니다.p114
비슷한 고통을 겪어도 누군가는 자신의 자산으로 만들어 내고 누군가는 고통스런 경험으로만 남겨서 삶을 갉아 먹는다.
어디서 오는 차이일까?
천성이 그런 것이라면 어쩔수 없는것일까......
철학자도 스님도 "당신의 행복이 먼저입니다"라고 이야기 한다.
물론 강신주쪽이 훨씬 멘트가 쎄다. 아주 쎄다.
너무 쎄서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틀린 말은 아니다.
그렇게 쏀말을 듣고도 네 말이 맞지만 난 그렇게 살수 없다 라고 생각하는
내가 더 쎈거같긴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