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일반론으로 마무리하자.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우리는 세 개의 명제를 얻었다. 1845년 봄에 마르크스는 "그러나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라고 적었다. 1873년에 19세의 랭보는 "사랑은 다시 발명되어야 한다"(헛소리 1) 라고 쓰면서 '삶을 바꿔야 한다'는 명제를 제시했다. 20세기 초 프랑스와 러시아 들에서 창궐한 아방가르드는 마르크스와 랭보의 명제에 공감하면서 이에 덧붙여 '예술을 혁신해야 한다'는 명제를 제시했다. P18-19


                        


             












그 유명한(?) 신형철의 첫 번째 산문집을 시작했다. 얼마전부터 관심가는 저자였던 노명우씨의<아방가르드>를 이 책과 함께 구매 했다. 노명우라서 구입한것도 있지만, 여기저기 자주 출몰하는 이 아방가르드한(?) 단어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 잡히지 않아서 구매한 것인데, 이 책에도 역시나 아방가르드하게(?) 등장하네...


*의문점*

작은 따옴표와 큰따옴표는 어느때 사용?(네..네..독서 초보 입니다...=..=)

마르크스와 랭보의 말을 인용할때는 큰 따옴표, 나머지 나머지 명제를 이야기 할때는 작은 따옴표.

회사에서는 다음도 네이버도 접속이 안된다. 신기하게 알라딘은 아주 잘! 된다 . 얼마나 다행인지.

궁금해도 네이뇬에게 물어 볼수도 없으니 끙...이럴땐 좀 간질간질하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4-04-01 1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네이뇬에 물어봤습니다. 이런 답을 얻었어요.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의 쓰임새를 아래에 제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큰따옴표( " " ) (1)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에 쓴다. "전기가 없었을 때는 어떻게 책을 보았을까?" "그야 등잔불을 켜고 보았겠지." (2)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쓴다. 예로부터 "민심은 천심이다."라고 하였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학자가 있다. 2. 작은따옴표( ' ' )(1)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 있을 때에 쓴다. "여러분! 침착해야 합니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고 합니다." (2)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쓴다. '만약 내가 이런 모습으로 돌아간다면, 모두들 깜짝 놀라겠지.' [붙임]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드러냄표 대신에 쓰기도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

아무개 2014-04-01 11:35   좋아요 0 | URL
사랑합니다. 진짜요. 으하하하하
이러니 어찌 사랑하지 않을수 있겠어요. 사랑해요^--------------------^

그럼 저위에 등장한 작은 따옴표는 강조를 위해 사용한 작은 따옴표로 봐야겠군요.

벅벅벅!
아 시원하다*^^*

페크pek0501 2014-04-03 15: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친절한 다락방 님 덕분에 저도 복습해요.

신형철 저자의 글이 좋다는 얘기 많이 들었는데, 시가 많아서 좋네요.
시와 친해지고 싶은 마음에 <느낌의 공동체>를 장바구니에 담습니다.
봄비가 오는 날이에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사랑은 다시 발명되어야 한다" - 캬악...(감탄의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