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
송복 지음 / 시루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이책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알지 못했던 역사를 깊이 있게 해석하였습니다.

이 시대를 이끌어갈 주역들에게 옛날 우리 조상들이 전쟁을 치르면서 잘못되었던 점, 지금도 묵과할 수 없는 안일하고 그릇된 행동들과 시선들은 아무래도 교과 과정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을 뿐더러 관심 밖이였던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다시 고취시켰고, 좀 더 깊고 넓게 들어가 본 계기가 되었습니다.

승리를 거뒀던 임진왜란의 이면에 우리나라의 치욕스러웠던 현실과 자국을 지켜야 겠다는 생각 보다는 이기주의적인 국민성과 안일함, 나태함 등으로 잃게될 수도 있었던 나라를 어려운 여건의 현실속에서도 당당히 지켰던 류성룡의 행보는 우리들에게도 일침이 되었던 계기가 되었습니다.

남쪽으로는 명나라를 공격하려는 교두부로 삼으려는 왜의 계속되는 침략과 왜의 침략에서 우리나라 조선을 지켜 주겠다는 명분하에 군사를 보냈지만, 사실 남의 전쟁에 피를 흘린다는건 정말 그 이면에 딴 속셈이 있지 않고서는 가당키나 하는 일인가 싶을 정도로 두 나라의 얄팍한 속내를 알면서도 전쟁의 당국인 조선은 너무도 약하디 약한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도 꿋꿋히 나라를 위해 임금에게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직시 할 수 있도록 눈이 되었고, 귀가 되었던 류성룡은 당시 영의정으로 전란에서도 왕의 옆에서 지켜 보는 사대부들과는 달리 말로만 한 것이 아니라 직접 전쟁중에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파악하였고, 무엇보다 시무10조등 앞으로 전쟁에 대비한 준비를 위한 대책을 강구 하였고, 중요한 군량미와 군사를 확충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헌신적으로 몸과 마음을 받친 강한 애국정신과 현실적으로 고뇌하며 사소한 일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았으며 지금의 우리나라를 지키는데 많은 힘을 쏟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선조가 명나라로 몸을 피신하거나 왜의 포로가 되었다면 어찌 되었을지를 새로운 각도의 만약이라는 역사로 되짚어본 우리역사는 생각만으로도 끔찍할 뿐만 아니라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 주었던 대목이였습니다.

아직도 우리나라 국민들이 일본에 대한 반일 감정은 조상들 때부터 있었던 왜의 침략으로 조선의 자손이기 때문에 없다고 하면 거짓말인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우리 자녀들에게 옛날 일을 들어 그냥 감정으로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준비하지 못하여 뼈아픈 역사적 사건들을 거울삼아 남의 탓도 아닌 우리가 부족하였다는 것을 직시하고 반복되는 과오가 없도록 미리 준비하는 마음으로 다시 재 정비하여 의존이 아닌 우리 뿌리를 깊이 박아 어떠한 강한 바람에도 흔들림 없는 뿌리 깊은 나무로 길이 보존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