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통에 살으리랏다 - 제11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62
최영희 외 3인 지음 / 푸른책들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똥통에 살으리랏다

 

제목부터가 남달라 무슨 내용인지 궁금했던 책입니다. 최영희 작가님외 3인이 지으신 청소년소설 단편집입니다. 제11회 푸른문학상에 빛나는 수상작들이라 접하는 내내 색다름을 물씬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윤재는 편의점에서 밤샘을 하며 아르바이트를 한다. 그런 윤재에게 사회적으로 편의점강도가 문제가 되는것처럼 늘상 북극곰과 파라니아처럼 항상 인간에게 위협적인 동물을 빗대어 그들도 윤재가 일하는 곳에서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그런 윤재를 구출해 준 사람도 편의점을 자주 이용했던 지인이 였던 것입니다.

맹모삼천지교 맹자어머니가 맹자를 위해서 교육적으로 헌신했듯이 현진이 부모님도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시다가 고등학교에 입학을 앞둔 아들을 위해 교육적인 도시로 이사를 하기로 마음을 먹습니다. 학군 답사차 서울로 올라온 가족들의 시선으로 보이게 되는 다른면을 발견하며 결국은 똥통인 학교를 멸시하던 가족들은 입학식에서 사진을 찍고 꽃다발을 안겨주었죠 그래도 지금의 똥통인 학교에서 공부하게된 현진이는 행복하답니다.

본인 작품을 출품하기 위해 미술반 선생님인 예술씨에게 부탁했던 일이 잘 안되게 되고, 또한 같은반 친구이면서 미술반인 다연이에게 뜻하지 않았지만 갈수록 소홀해 지고 그런 홍지는 미술실에 전사 미카엘라를 그려놓아 떠들썩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예술씨와 다연이는 홍지의 작품이란걸 알게 됩니다. 본인의 욕심을 위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은 본인을 위해서는 사랑하는 다른이들에게 뜻하지 않게 피해를 준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이야기인듯 했습니다. 또한 여행자에서는 고령화사회에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예견된 사건인것 같았습니다. 처음 이해하기 난해했지만, 꼬레에서 교육을 받은 일등소년 세민이 네오떼떼리사에서 만든 프로그램을 통해 알게된 자끄와의 만남으로 그의 모든 머릿속에 탑재된 메모리들을 세민이 빼게되면 노인 자끄는 서서히 쇄퇴하여 죽게 되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노인들과 달리 자끄는 평범하지 않습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우리 현실에서 충분히 미래에는 이런 프로그램이 있을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각 편마다 느낌은 달랐지만, 사회적인 문제를 골자로 한 구성이였던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