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엄마 맞아? 그림책 보물창고 58
필립 디 이스트먼 글.그림, 이주은 옮김 / 보물창고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 엄마 맞아?

 


잠자리에 들어서도 아빠를 보고서도 언니를 보고서도 엄마인 저를 쳐다 보고도

“우리 엄마 맞아?” 아이가 묻고 다니면서 재미나 합니다. 읽어 주는 동안도 같은말이 반복되어 시를 읽는 것 같은 느낌으로 책을 읽으면서 아이와 눈을 맞추면 미소로 답을 해줍니다. 아이에게 아기새가 만나는 동물들마다 질문하듯이 바라보며 우리 엄마 맞아? 하고 물어 보면 아니 아니 도래질을 하며 엄마가 아니라고 답도 합니다. 이제는 제법 혼자 앉아 책을 보면서 스스로 그림으로 연상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가며 읽는 것 같아요. 그래서 아이가 자연스럽게 우리 엄마 맞아? 그림책에 빠져 드는 것 같아요 아이가 다니는 어린이집에서는 하루에 한권씩 엄마와 아이가 책을 읽고 그림이나 글로 표현해 가는 활동이 있는데요  몇일 동안은 매일 매일 우리 엄마 맞아? 만 읽고 포크레인이랑 아기새 그림을 그려 갔어요 그림책이면 약간 크기가 큰편이지만 이 책은 적당한 크기와 편한 색감의 표지와 반복해서 보아도 눈에 피로가 없는 세가지 색으로만 그림을 그렸습니다. 여러 가지 색감으로 눈의 피곤함을 주는 것보다는 보면 볼수록 뭔가 질리지 않고 3가지 색깔만으로도 그림책을 완성할 수 있다는 것이 특이합니다. 


미운오리새끼 동화가 생각나는데요 기러기둥지에서 알에서 깨어나 처음 본 기러기 엄마가 자기 엄마인줄 알고 기러기 형제들이 자기 형제들인줄로만 알고 있듯이 이책에서도 아기새가 엄마새가 먹이를 구하러 나간 동안 알에서 깨어나 엄마를 찾아 다니는 여정에서 만난 고양이, 닭, 개, 소, 심지어는 물위에 떠다니는 배 하늘을 나는 비행기, 고장난 자동차 마지막 뿌아앙 소리를 내는 포크레인 까지도 엄마냐고 물어보면서 애타게 엄마를 찾습니다. 큰소리를 울리는 뿌아앙 포크레인의 도움으로 아기새는 마지막엔 포근한 아기새의 둥지로 다시 올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마침 먹이를 가지고 온 어미새가 돌아와 아기새에게 묻습니다. 어미새인양 저도 같이 물어 봐요 우리 아이의 눈을 보면서 “내가 누군지 알겠니?” 하고 묻자  “응, 알아!  고양이도 아니고 닭도 아니고 개도 아니고 소도 아니고 배도 아니고 비행기도 아니고 뿌아앙도 아닌 새야 우리 엄마 맞아!” 하고 우리 아이도 같이 대답을 합니다.


오늘 저녁에 어떤책 읽을까? 물어보면 우리엄마 맞아 또 읽을래요 반복하며 읽는 재미에 우리아이 오늘도 푹 빠져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