턴아웃 특서 청소년문학 32
하은경 지음 / 특별한서재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턴아웃

(특별한 서재)

하은경 장편소설



발레리나 유제나 천문학자인 아버지와 전설적인 발레리나 엄마의 유전자로 지금은 발레스쿨 2년차 이지만 서울시립발레단에서 지젤 공연을 앞둔 상황에 주인공을 위한 오디션에서도 의심이 여지 없이 제나가 주인공으로 발탁되면서 선배들과 동료 발레리나들에게 시기와 질투의 대상이 되었다. 한 달전 서울시립발레단 수석무용수송라희의 의문의 죽음과 더불어 수석무용수였던 그녀가 과학적 시술을 금지한 발레단에서 감쪽같이 나노칩 시술자였다는 사실이 밝혀져 발레단원들과 발레단장 연조는 큰 충격을 받는다. 이에 사건을 맡은 김형민 담당형사는 송라희의 휴대전화에서 발견된 파일에서 그녀의 의문사에 끝나지 않는 진실이 있다고 직감하여 발레단 단장을 비롯한 발레단원들에게 탐문 수사를 하고 있던 중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된다.

 

하은경 작가님의 턴아웃 청소년 소설을 대하면서 느꼈던 점은 모든 예술가들이 그렇듯이 타고난 소질과 힘든 과정을 통해 얻어낸 예술의 혼으로 그 분야에서 최고라는 칭호를 얻는 일련의 과정들이 모두 조작되어 만들어진 것 같은 조금은 왜곡된 생각도 하게 되었지만,

새로운 미래기술이 눈부시도록 발전하는 시대적 배경으로 제나의 AI 인공지능 로봇 비비안이 파란불빛의 눈으로 악몽을 꾸고 깨어난 제나와 눈을 맞추며 지금 현재 제나의 기분이 어떤지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나의 심리상태,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부분에서 소설을 읽으면서 첫 번째 참신함을 느꼈습니다.

 

두 번째는 AR 홀로그램으로 비대면 발레 과외를 하고 전화벨이 울리면 자동으로 비디오 화면이 연동되어 대화를 하고, 또한 죽음으로 불리우는 병 암을 가지고 태어나지 않도록 부모에게서 받을 암 유전자를 태어나기전 없애는 시술을 통해 죽음까지도 시술로 통제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전통적인 발레라는 소재의 소설이라고 생각했던 것과 완전 다른 형태의 미래기술을 기반으로 흥미롭게 전개되어 재미있게 읽게 되었습니다.

 

한편 전설적인 발레리나였던 제나 엄마 수연이 예상치 못한 부상으로 꿈을 이루지 못한 아쉬움에 딸인 제나를 최고의 발레리나로 키우기 위한 야망을 품었고, 그런 엄마의 뜻을 거스르지 못하고 제나는 진짜 자신이 원하는 꿈은 분명 아니지만, 차마 엄마에게는 내색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제나를 통해

세 번째 아차!! 뒷통수를 맞은 것 같았습니다.

 

 

이 소설은 진로를 선택하기 위해 고민 중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알기 위해 천천히 체험하고 알아가는 과정 중에 있는 우리 아들 딸들에게 원하는 진로가 있다면 끝까지 밀고 나아갈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 주면서 우리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아마도 제나 엄마처럼 최고의 발레리나로 키우고 싶은 욕심을 가지고 있었던 모든 부모들에게 다시금 반성하는 시간을 만들어준 것 같아 부모와 우리 아이들이 함께 읽게 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