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교도 미술 - 신과 여신, 자연을 숭배하는 자들을 위한 시각 자료집
이선 도일 화이트 지음, 서경주 옮김 / 미술문화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문화 출판사에서 독특한 책을 펴낸다 하여 텀블벅에 참여한 책.
˝신과 여신, 자연을 숭배하는 자들의 시각 자료집‘이란 부제를 가지고 있는 이 책은, 딱 보기만 해도 정통 기독교에서 볼 때 이단이라고 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의 믿음을 다룬다.

성경을 다 읽어보진 않았지만,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모세가 유대 종족을 이끌고 가나안 땅을 향해 갈 때, 하느님으로부터 십계명 판을 받아 들고 내려왔는데, 사람들이 황금송아지를 (그 새) 만들어서 모시는 광경을 보고 판을 던져서 깨진다. 그래서 다시 하느님의 말씀을 얻으러 간다.  그 십계명에는 나는 질투하는 신이고, 또 나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고 쓰여있는데, 이 말은 즉, 당시, 그리고 지금도, 사람들은 각자, 나름의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십계명은 하느님이 그때 딱  10개로 정해서 준 것은 물론 아니다)

기독교가 (이 책에서는 아브라함계 종교라고 표현) 주류 종교가 될 때 각 지역의 토착 믿음을 대부분 수용해서 변화해갔고, 그 수용과정에 합류하지 않은 나머지를 우상 숭배라고 배제했지만, 사람들의 마음은 그렇게 하나로 모아지진 않았다. 그 외에도 신성과 가치, 의미를 지닌 것이 있다고 믿는 종교가 세계 도처에 있고, 기독교에서는 이들을 ‘페이건 PAGAN‘, 즉 ‘이교도‘라고 부른다. 이들도 조경과 조각, 퍼포먼스를 통해 그들이 믿는 신적인 존재와 관계를 맺으려했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예술적 자산이 창조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수많은 신들이고.

이 책은  그리스 로마 이전의 선사시대에 표현된 동굴 그림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루어져, ‘이교도 미술사‘라고 할 수 있다. 전생부터 현생, 죽음 이후의 삶을 총망라해서 다루고 지역 또한 전세계. 우리나라 무당도 다루고 있고.

사람들은 왜 이토록 무언가 절대적인 힘에 의지하려고 하는지 읽다보면 계속 갸우뚱하게 된다. 물론, 과거로 갈수록 공동체에서 내쫓김은 바로 죽음을 의미했고, 공동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어떤 믿음은 절대적이긴 했다만.

암튼, 많은 자료가 실려있어서 읽는-보는 재미가 있다. 영화  속 장면도 있고 (우린 이런 류에서 주로 악마와의 접촉을 보았다.). 책의 마지막을 세상의 종말을 기다리는 보탄을 그린 그림으로 장식하여 한결 의미심장하다.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갑작스레 병원에 보호자로 들어가 있게 되어 남편이 챙겨왔던 책인데, 돋보기가 있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을 많이 한 책.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