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방명록 - 니체, 헤세, 바그너, 그리고...
노시내 지음 / 마티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이 책은..햐..한마디로 “진짜 재미있는데!!” 라고 읽으면서 내내 감탄한 책.
2015년에 나온 책이라, 실시간 여행 정보책은 아닌데, 한물간(?) 여행 안내서인가 했던 첫 인상은 첫 챕터를 읽는 순간 사라졌다. 프롤로그에 ‘장소’보다 ‘사람’에 대해서 쓰고 싶었다는 말처럼, 스위스인이거나 아니면 잠시 스위스를 거쳐간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스위스 문화와 역사, 자연과 아우르며 펼쳐졌다.
우리가 스위스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여러가지 상념들, 알프스를 배경으로 하는 멋진 자연, 무장 영세중립국, 직접민주주의, 초콜릿, 시계, 은행, 조력자살 등을 포함한 규격화된 이미지외에 문학가, 철학가, 음악가등의 흔적을 살펴보았다. 니체, 헤세, 클레, 레닌, 바그너...등!

여러가지 새롭게 알게 된 면이 많지만, 그 중 두어가지만 언급한다.
세계 2차대전때 많은 이들이 스위스를 피난처로 삼았었다. 흔히 떠올릴 수 있는 많은 유명인들이 스위스로 도피해서, ‘그럼 당시 유대인들은?’ 하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스위스국민의 폐쇄적인 실용주의, 온건주의 성향으로, 당시에 스위스는 중립국이었지만 친독일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정부 차원에서는 유대인 보호를 거부했으나, 그럼에도, 적지 않은 유대인이 스위스에서 보호받았고, 그 배경에는 인도주의적인 사람들이 있었다. 유대인을 구하다 처벌받은 스위스인이 알려진 사례만 137명이라고. 그 영웅들을 다수의 국민들은 이해를 못했고 과거사를 반성하며 그들을 복권시킨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1995년)이었다. 저자는 영화 ‘우리 배는 만원이다(1981)’를 소개하면서 흥미진진하게 그 역사적 사실을 알려준다.
또 유럽에서 여성 참정권이 가장 늦게 통과된 나라라고(1971년). 강력한 지방자치제도 때문에 일부 지역은 1957년에 허용되었고, 1971년 국가적으로 허용된 이후에도 아펜젤이너로덴주는 1990년에 허용이 된다! 그럼에도 여성에게 일찍 대학문을 연 곳이고, 1999년엔 여성 대통령도 나왔다!
이쯤 되면 머리 속에서 어떤 그림이 그려지는가?

이러저러한 에피소드(?)가 정말 재미있게, 부분적으로 작가의 개인적인 이야기가 슬쩍 여행기처럼 담겨있는, 재미있는 스위스 안내서. 추천한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