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 - 내세에서 현세로, 궁극의 구원을 향한 여행 클래식 클라우드 19
박상진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테 #클라식클라우드 #박상진 #아르테 #독서기록 #책서평 #북리뷰 #book #bookreview #여행 #인문

단테, 신곡, 베아트리체..부분적으로 수없이 많이 인용된 문장으로만 접해왔고, 아직 단테의 ‘신곡’을 전문으로 만나지 못했다. 언젠간 꼭 완독해야지 하던 참에, 클래식 클라우드에서 단테를 다룬 책이 나와서 반가웠다. 그리고 읽다보니, 역시 신곡을 읽기 위한 안내서로 삼기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여느 클래식 클라우드 시리즈처럼, 한사람을 주제로 잡아, 그의 일생을 그 사람이 살아온 공간과 접목시켜, 박상진 작가도 단테를 소개하는데, 이 책은 특히 단테의 일생과 그의 유랑 공간과 함께 신곡에서 언급된 공간을 연결하여 차후, 신곡을 읽을 때 머리 속에서 단테가 유랑하며 만났던 공간과 사람을 떠올릴 수 있게 하였다. “이 책은 평전과 기행문을 더한 형식을 띤다. 평전은 한 사람의 일생 이야기이니 시간 순서대로 써 내려가는 것이 맞고, 기행문은 한 사람의 여행 이야기니 공간 순서대로 따라가는것이 더 맞다. 평전의 주인공 단테와 기행문의 주인공 나를 잘 포개놓는 일이 중요하다...함께 밝혀둘 것은, 이 책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단테의 글에서 나온다는 점이다.(p018, 프롤로그)”

이 책을 읽으면서 불연듯 떠오른 것은 시공간적인 배경없이 신곡을 읽을 때, 그 구절 구절이 의미하는 시대상, 공간상 배경을 떠올리지 못하면 이해의 폭이 아주 좁았을 것이라는 강한 느낌이었다. 눈 앞에 망망대해를 맞이하고, 또는 깊이를 알 수 없이 세차게 몰아쳐 흘러가는 어두운 강 물줄기를 바라보며 살짝 발바닥만 물에 적셔 보는 것에 지나지 않을 수 있었겠구나 싶은. 동시에, 신곡은 단테가 살았던 당시 피렌체 사회, 정치, 문화를 알지 못하면 더더욱 이해하기 쉽지 않았겠구나 싶은.

피렌체에서 정치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다가 추방되어 유랑하면서, 몸은 고달퍼졌지만 오히려 정신은 자유롭고, 보다 넓게 세상을 보고 인생을 보게 된 단테. 자신의 생각을 보다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었던 단테. 그로 인해 이탈리아 속어가 라틴어에 비해 결코 뒤쳐지지 않고 ‘고고한 속어’로 불리어지는 차원까지 오르게 한 단테. 단 두번의 만남으로 생긴 ‘베아트리체’에 대한 감정을 사랑의 중심에 둔 단테. 그 사랑은 시적 영감의 근원이며 구원의 주체였고, 나아가 성속의 만남, 신과 인간의 합일, 지성의 성찰과 감각적 체험의 긴장같은 여러 주제로 드러난다. 그의 사랑과 사상은 유랑길에서 얻은 명상의 결과, ‘신곡’으로 결실을 맺는다. 14세기에 살았던 오래된 시인 단테는 지금도 우리 곁에서 숨쉬고 있다.

클래식 클라우드 시리즈는 한편으로는 여행기처럼 가볍게 주인공의 살았던 공간을 다루면서 집중적으로(그렇지만 너무 깊지 않게) 소개하기엔 너무나 좋지만, 한편으로는 그래서 어쩌면 피상적으로 살짝 훑어가는게 아닌가 하는 느낌이 있다. 이러한 나의 생각은 250여페이지의 얇은 한 권의 책에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일 수도..하지만 적당한 목표를 가지고 접근하기에 참 좋은 시리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지금 나처럼, 단테의 신곡을 본격적으로(?) 읽어보자고 작정한 얇팍한 인문학 초심자이며, 코로나 상황에서 여행에 목마른 자에게, 역사적, 공간적으로 함께 움직이는 상상의 길을 보여준다. 이제...다음 순서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