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 - 역사는 화폐가 지배한다
미야자키 마사카쓰 지음, 송은애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야자키 마사카쓰의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를 읽다.
지금까지 역사는 보통 정치 문화적인 흐름에서 파악하여 경제부문은 곁들인 설명으로 알고 있다가 경제 특히 화폐가 주인공인 역사를 따라가다 보니 여러 가지로 참 재미있고 특이했다.
_

인간 사회가 발달하면서 물물교환에서 화폐의 의미로 조개껍질 등이 쓰이다가 은화 또는 주물 동전이, 그 이후 지폐가 나오고 요즘의 전자화폐까지 나오기까지 약 2,500년간의 역사를 돈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_

서양에서는 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에서, 동양에서는 기원전 3세기, 진나라에서 통화가 만들어졌다. 이때는 은과 동전이 통화의 역할을 했다.
또한 동서양이 각각 분리되어 발전하던 화폐 경제가 비단길, 초원길, 바닷길의 교류로 당, 원나라 시대에 만나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상업의 발달로 경제가 팽창하자 은,동전등의 물량이 딸려 종이가 통화의 재료로 선택되어 신용에 의한 그럴듯한 가치로 포장된다. 지폐 또한 처음에는 태환화폐 (금본위, 은행에 가져가면 액면 그대로의 금을 받을 수 있다)였다가, 불환화폐(금으로 못받음)로 바뀌었다. 이 와중에서 경제를 제대로 컨트롤하지 못한 나라는 망한다.(청나라등)
19세기 이전에는 은본위 통화였다가, 19세기 영국이 전세계를 제패하면서 파운드화 (금본위)가 세계 통화 노릇을 했고, 현재는 달러와 유로가 (주로 달러. 중국이 일대일로 정책으로 위엔화도 세계 화폐로 만들려고 노력중이나) 세계 통화 노릇을 하고 있고, 달러는 석유 파동 등 경제 변동에 의해서 고정 환율이었다가 닉슨 쇼크 이후 변동 환율로 바뀌어 어떻게 보면 아주 불안한 상태이다. 최근 비트코인등 전자 화폐가 나왔지만 공공성을 가질 수 있을지는 아직 의문이다.
_

새롭게 알게 된 점이 정말 많다.
달러가 세계 통화 노릇을 하게 된 것이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이 금을 과장되게 소유하고 있다고 천명함으로써 가능했다는 것. 유럽, 미국 등에서 지폐를 찍어내는 곳이 정부가 아니라 최근까지도 민간 은행이었고 민간 은행이라는 것(놀라워라!!) 등등 너무 많아 일일이 기록할 수가 없다.
최근 넷플릭스에서 <마르코 폴로>를 시청하면서 원나라에 이슬람교도가 많이 나오는 것을 보고 신기하게 여겼는데, 한때 중국에 이슬람교도가 12만명이나 있었을 만큼 동서 교류가 활발했다고. 당나라 때 황소의 난으로 이슬람인 10만명이 몰살됐는데, 이 사건이 오히려 중국상인의 활발한 해외 무역 활동으로 이어진다는. 중세 시대를 다룬 시리즈에서도, 유대인 상인에 의한 환전, 어음 발행 등이 신기했는데, 이슬람 제국에서 먼저 사용되다가 지중해의 국제 상권에 보급되는 과정에서 여러 이탈리아 도시로 퍼져나갔고 이것이 르네상스를 불러왔다는 것. 이후 유대인 상인에 의해서 네덜란드, 영국 등으로 전해졌다는 것 등을 알게 되었다.
얼마나 역사에 무지했나, 또 얼마나 경제를 모르는지를 자인하면서 이 책을 읽었다. 그래서 이 책은 나에게는 경제 교과서 역할을 톡톡히 한다.
_

저자의 약력을 살펴보니 도쿄 교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 “물건으로 읽는 세계사”,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 등 흐름을 보는 사관이 특출한 사람이다. 그래서 이 책 또한 흐름을 잡기에 좋고, 약간은 피상적이며, 지나치게 간결하고(설명이 더 많이 필요하다.적어도 나에겐), 중고등학교? 대학교 입문 수업시간에 다루기 딱 좋은 정도인 것 같다. 사이사이에 도표와 도식이 첨부되어, 학창 시절로 돌아간 느낌이다. 왠지 곧 시험을 봐야할 듯한. (달달 외워야겠다는 생각이 불끈불끈 든다.)
최근 이란의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시설 드론 공격으로 석유 파동이 또 예상되고..세계경제는 또 얼마나 요동칠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