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 알프스에서 만난 차라투스트라 클래식 클라우드 2
이진우 지음 / arte(아르테)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철학에 대해서는 거의 백지 상태이다.

학창 시절 때 배운 윤리,도덕 시간에 시험 보기 위해 외운 얄팍한 지식이 전부이고, 다른 역사물 책을 읽다가 알게 된 내용이 전부이다.

니체는 특히 ‘신은 죽었다’ 라는 정도의 초인 개념 정도?  그나마도 글자 그대로만 기억한다.


그래서인지, 처음 이 책을 열었을 때 머릿속이 적응 되지 않아서 한동안 책장이 넘겨지질 않았다.

철학을 접하는 자세가 어느 정도 정립된 다음에는 예전처럼 책 읽는 속도가 나왔다. (속도가 중요한 것은 절대 아니지만...)

이 책은 다른 클래식 클라우드 시리즈처럼 주제로 삼은 인물에게 가장 접근할 수 있는 지역을 탐방 혹은 여행 하면서 보다 집중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니체가 방랑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방랑 전 바젤에서의 삶 (바그너를 좋아했다고 해서 한동안 의아했다..바그너 음악을 듣는 것과 바그너를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으니까.) 과 방랑 시작 후 (알프스 질스마리아, 베네치아, 니스, 토리노)의 삶과 사유의 여정을 돌아보고 있다.책을 관통하는 것은 시대를 앞서 태어난 사상가로서의 고통과 이해받고자 하는 욕망이 결국은 니체의 광기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 와중에서도 삶을 사랑했다는 것. 그것이 니체만의 매력은 아닐까.


니체 이전의 철학은 기독교를 중심으로한 이성을 중시한, 도덕관을 중심으로한 철학이었고, 니체는 기독교관이 갖는 허구(현실을 부정하며 내세를 기약하는)를 꿰뚫어보며 기존의 규범을 망치질하여 깨뜨리고 그 이후의 가치를 고민했다.

결국 니체가 도달한 결론은 (신을 부정한 이후) 새로운 삶의 가치를 스스로가 창조해야 한다는 것. 자기 본연의 자기를 찾아야한 다는 것이다.

또한 모든 단어(사건, 사물 모두 포함) 의 뜻은 한가지가 아니라 내재된 이면성도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읽다보니 첫 페이지로 돌아가게 된다.

니체의 아모르파티(운명을 사랑하라) 는 현실에 수동적으로 적응하라는 숙명이 아니라 삶의 우연을 두려워하지 않는 능동적 태도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지금 이 생이 영원할 것처럼 하루 하루를 충실히...나날이 새롭게 발견하며 살라는 것이다. 

과거에 집착하지도 말고 미래에 불안해 하지도 않고 지금 내 운명을 사랑하면 이 생은 저주가 아니라 축복일지니.✍️ 책속으로 :

p194> 모든 빛깔을 다 보려고 하면, 우리는 사물을 제대로 보지 못한다.

사물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려면, 사물을 몇가지 색깔의 이미지로만 감싸야 한다...너무 많은 것을 보면 결국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P313> 니체의 철학은 모순으로 가득하다. 읽는 사람이 어떤 관점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사상의 색깔이 달라진다.

p320> 본능에 대적하는 삶은 하나의 병증일 뿐이고 삶이 상승하는 한, 행복은 본능과 같은 것이다. (우상의 황혼)


p329> 나는 어떤 것도 본래의 자기 모습과 다르게 되는 것을 결코 원치 않는다. 나 자신도 다르게 되고 싶지 않다. 언제나 나는 그렇게 살았다.(이 사람을 보라)


#클래식클라우드_니체 #클래식클라우드 #니체 #이진우 #아르테 #북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