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세트 - 전12권 (반양장) 조정래 대하소설
조정래 지음 / 해냄 / 200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아리랑을 지나 태백산맥을 건너 한강에 다다르는 조정래의 삼부작. 

그중 발매는 두번째, 시대순으로는 가장 처음에 시작되는 이야기 입니다. 

아리랑은 조선이 일제식민통치에 들어가기 직전 1900년 전후에서부터 광복까지를 

다루며, 그후 광복부터 6.25까지가 태백산맥, 6.25후 이승만~박정희 까지가 한강으로  

그 배경은 20c를 모두 포함합니다. 

 

그 중에서 아리랑은 가장 방대한 내용으로 권수는 태백산맥과 한강과 비슷하지만 

글자 크기부터다 조밀하여 그 분량은 한강의 약 절반은 더 되는 느낌입니다. 

아리랑을 읽으면서 조선을 위해 자신의 조국을 위해 다시한번 생각해 줄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국지 세트 - 전10권 삼국지 (민음사)
나관중 지음, 이문열 엮음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1.이문열의 삼국지가 90년대만 해도 수험생들의 필독서, 대학신입생들의 필독서, 

수능대입 논술필독서등 당대 기념비 적인 책이었죠.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와 학자들부터 이문열의 삼국지는 평역을 기반으로 너무 많은 

왜곡을 해왔다는 비판이 나오며 원본을 중시하는 황석영, 고우영 등의 삼국지가 나오며 

현재는 삼국지 수만해도 국내에서 굉장히 수십종에 달합니다.  

 

2.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문열의 삼국지를 읽어볼 만한것이 첫째 수많은 삼국지 중 

가장 문장력과 가독성이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실 언론의 찬사에서 반대 심리로 

비판이 있었지만 생각해 보면 평역임을 밝히고 또한 내용상 왜곡되는 부분이 없으니 꼭 

나쁜것만도 아니죠. 

 

3. 그리고 아직도 삼국지 하면 이문열의 삼국지를 읽어 봤느냐 않했느냐 또는 왜 비판을 받는지 

를 알기 위해서도 어떡해 보면 삼국지의 기준은 아직도 이문열이라고 봅니다. 

또한 중고시장에서 매우 많이 퍼졌지만 신조판으로 개정증보된 삼국지 가 읽기에 훨씬 유려하고 

내용과 지도등 모두 한글로 되어 더욱 유려해 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계태엽 오렌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2
앤소니 버제스 지음, 박시영 옮김 / 민음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음사 세계문학에서 이런 번역으로 출간되다니 정말 대단하다. 

원문의 늬앙스를 잃지않고 잘 반영한 수작이라고 본다. 

 

4명의 사회적 암적인 존재들이 어떻게 사회에 편입되어 들어가는지 

그편입의 과정에서 과연 무엇이 옳고 그른것인지 명확히 나태내 주는 

정말 훌륭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0
하인리히 뵐 지음, 김연수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디어법에 대해서 왜그렇게 왈가왈부 하는지 조금만 생각해 보면 참 암담하다. 

미셸푸코는 감시와 처벌에서 벤담의 파놉티콘을 들어 앞으로 다가올 시대에는 정보사회에 

대한 파놉티콘 현상을 예고했다.  

그것은 말 그대로 우리의 휴대폰, 인터넷, 도처에 있는 감시카메라, 등등 어딜가도 

우리를 감시할 수 있는 시대를 말한다. 즉 이 모든 것을 가지고 있는 권력기간에서 마음만 먹으면 

24시간동안 내가 무엇을 어떻게 살아가는지, 예를들어 하루중 컴퓨터를 얼마나 어떻게사용했는 

지 ,어디를 갔는지 등등 모든걸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우리가 자유롭다고 생각하며 유비쿼터스라는 말처럼 언제어디서나 인터넷과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미빛 생각만 한다.  

이번의 미디어법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정보사회에서 권력을 좀더 중점화 하여 기업들이 

이제는 파놉티콘의 간수가 되려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카타리나블룸 에 대한 소설에서 사회를 장악하고 있는 언론들의 힘 앞에서 

한 개인의 인권이 얼마나 미약한것인가를 처절히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렉서스와 올리브나무" 는 신자유주의의 도래를 필연적 결과로서 해석합니다. 
글을 읽다보면 적절한 논리와 위트있는 말솜씨로 역시 기자다운 박식함과 잘 짜여진 

컨텍스트는 읽는 이로 하여금 그의 주장에 당연하게 이끌리게 됩니다. 

 

하지만 장하준의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며 한 국가의 성장은 

신자유주의를 따른 것이 아닌 보호무역주의 였고 이런 뻔한 거짓말을 하는것은 

자신들이 이루어놓은 것들을 다른 나라에서 이루지 못하도록 하기위한 일종의 '사다리 

걷어차기" 라고 말합니다.  

한국출신의 세계적인 석학의 멋진 응수를 함께 즐겨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