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은 한 2키로 줄었나보다. 역시나 살과 함께 삶은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살도빼고 삶도 바꾸고 그러고 싶었는데.. 욕망의 규모를 줄인다는 것 자체는 힘든거 같다. 식욕을 줄이면서 탐욕이 늘고 탐욕을 줄이면 또 다른 욕망이 불거져 나오고,, 식욕을 줄인 댓가로 지름신이 붙었다. 이달들어 온갖것을 사들였다. ㅎㅎㅎ 염원하던 것을 사서 좋긴 한데. 이거쩝.. 담달 카드값은 어찌할지. 허허.. 지겹다. 요즘 왜 이렇게 지루하지 하면.. 그건 작년 또 그 제작년에 생각했던 그것이다. 하늘 아래 재밌는게 하나도 없다. 왜 이렇게 지루하지 모르겠다. 사람도 지루하고,, 책도 지루하고,  아직 음악은 들 지루한게 다행. 이 무기력이 오래가지 않으면 좋으련만. 이 무기력도 언젠가 한번 느꼈던 무기력인거 같고, 이 외로움도 언젠가 느꼈었던 기분같다.. 지루하다. 무료함도 언젠가 느꼈던 무료함이고,, 또 새로움도 언젠가 느꼈던 새로움이야 이러면서 금방 실증을 내겠지.  새로움에 지나치게 많은 뜻을 두고 있는 것일까. 내가 도대체 원하는 새롬이란 뭘까.

불필요한 말들은 없애고 정수만 말하고 거기서 출발했음 좋겠다. 근데 첫술에 배부를수 없지....우리들의 만남이란 정수 가까이 가기도 벅차다.. 아 듣기도 싫고 말하기도 싫고 답답은 하고 미친다.  지금은 아주 사람이 지겨워서.. 나까지도 지겨워지는 지경.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2권을 읽고 있다.  

1권은 잘 안읽히더니 2권은 그래도 잘 넘어갔다. 스완의 사랑편이다..작년 읽었을 때 그냥 한마디로 스완이 콩깍지 썼다가 벗었다. 그렇게 정리했었는데,, 지금 보니 장난이 아니다. 너무 사랑해서 감당이 안되서 아주 사라져버리길.. 온갖 망상의 끝을 보여준다. 포기하려고 골백번 맘을 먹지만 또 금방 무너져 버리고 마는 사랑앞에서 바보천치가 되고 마는. 프루스트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의 끝에서 더 나아가는 것이 어떠한 것인지 보여준다.  그 한계를 넘은 지점에 감동을 받고 카다르를 느끼는 것이겠지.. 누구가 갈수 있는 길에서 조금 더 가는 것.. 어떤 느낌에서 더 나아가는 것... 스완은 스완이 느끼는 것에서 더 나아가도 잘 모르겠지만 마르셀은 다 알지 않는가? 그렇게 다 조각조각 분석하고 나면 그 고통도 잘게 나누다 보면 잘아질까. 너무나도 풍부한 책이다. 처음에는 단순히 표현을 위한 표현, 재현을 위해  노력한다고 생각했는데, 그 한계를 넘으려고 자기가 생각한 것을 가장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그 모습이 전율이 느껴졌다.. 암튼 아직 갈길이 머니 부지런히 읽어야징^^

루시드 폴을 듣고 있다.. 평범한 사람. 걸어가자...  " 모두 버려도 나를 데리고 가지.. 후회없이. 다시 이렇게 나를 데리고 가자. 세상이 어두워질때 기억조차 없을때, 두려움에 떨릴때 눈물이 날 부를때, ,.,,, 걸어가자.. 걸어가자.. 처음 약속한 나를 데리고 가자.. 서두르지 말고 이렇게 나를 데리고 가자... "   

그대 떠난 그날오후 그대모습 잊을수가 없네. 날 말리다 터져버린 그대울음 초여름의 거리.. 비를 부르던 거리의 슬픔 시간은 다시 지나가고 비는 멈췄네. 서서히 밀려오던 군화소리, 대검소리. 지쳐가던 사람들. 하나둘씩 쓰러져... " 레미제라블"   

아마 5.18을 두고 만든 곡인가 부다. 너무 처연하다..  

이번달은 프루스트에 올인해야겠다. 좀 정독하고 싶은데 잘 안된다...프루스트가 말한 기억이 물질이라는 말... 기억이 존재하는 것은 물질성을 띤다는 말.. 아아 좀 알것 같다. 과거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고 있다는 것. 그것이 존재했었고 그것이 기억이라는 물질로 남아있다고 말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