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서는 이제 보지 않는다. 자기를 계발한다는 것이 이 사회에서 나를 부품으로서 더욱 견고한 부품, 상품으로 만드는 과정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내가 왜 자신을 계발해야 하는지에 대한 만들어진 욕망에 대한 저항과 거부감때문에 자기계발서를 노상 들여다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바라보았다. 하지만 그들이 자기계발을 위한 열정과 나의 게으름 사이에서 무엇이 더 훌륭할까 생각해보면 행동하는 그들이 낫다는 생각이 든다.  

근 1년간 일이 너무 하기싫었다. 먹고 살기 위해 반복되는 일상이 싫었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일에 대한 성취감도, 지위에 대한 욕심도, 돈에 대한 욕심도 이제는 없는데, 내가 왜 계속 직장에 다녀야 만 되는가... 그런 생각때문에 그만그만 하게 유지만 해왔다. 그러다 보니 내 업무적으로도 버벅되는 순간이 급기 오기 시작했다. 일하나는 자신 있다고 믿어왔는데, 역시 신경을 안쓰는 만큼 일을 빵꾸가 나기 마련이다. 내가 능동적인 입장이 아닌 유지의 차원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임금을 받는다는 것은 역시 어불성설이긴하다. 내가 근무하는 이조직이 아무리 느슨 조직이지만, 이렇게 일을 놓고 사니,,, 이것도 아니다. 강신주의 상처받지 않을  권리에서는 노동의 존엄성을 조작하는 것은 자본주의 자본가들의 조작이라고 말한다. 그렇다 노동의 신성함과 존엄성을 조작하여 내가 하는 이 일들이 나에게 어떤 존엄성을 부여준다는 것은 착각인지 모른다. 먹고 살기 위해서 할 뿐이지 무슨 존엄인가? 그럼 너무 삶이 비참해 지지 않는가?  내가 일하는 이유를 오로지 소비하기 위해서 일을 한다면 소비의 욕망을 줄이고 다른 삶을 꿈꾸면 되지 않겠는가? 그러면 일이 커져버린다...! 결국 다른 삶을 꿈을 꾸면서도 완전히 다른 삶을 살수는 없다. 그러면 현재의 일상을 낯설게 감각하기..의 방법이 있다고 한다. 과연 가능할까?  

임경선씨의 책에서는 그 모티브를 다시 얻었다.  "노동의 유희"  일을 하면서 즐거움에 빠지는 것. 이것이말로 지극히 일상적인 것일지 모른다. 먹고살기 위한 노동이 아니라 일을 하면서 즐거워 하는 것, 현재를 현재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동안 잊고 있었던 노동의 유희성, 일의 즐거움을 다시 찾아보려고 한다. 익숙한 것들을 낯설게 보고 내 머릿속에 다시 집을 짓는 것. 그렇다면 지금 이 모든 일들이 지겹지만은 않을 것이다.  2010년에는 다른 곳으로 발령이 난다. 여러모로 늘어져 있던 나에게 자극적인 사건이 될 것이다. 그리고 임경선의 2030대 직장여성으로 살아가기를 읽으면서 다시 나 자신을 조이는 시간을 가졌다.  임경선씨의 치열한 20대의 모습, 지금 선택한 길에 대한 만족감과 직장생활에 있어서 여러 에피소드에 대한 현명한 처신들을 보면서,  지금의 나태한 내모습에 대한 반성도 많이 하고, 다른 환경으로 진입하면서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구체적인 생각도 해보았다. 직장상사와 동료들에 대한 관계도 배울 수 있었다.  잘해나가야 할텐데... 잘 해날갈 수 있을것이다. 일단 일을 재밌게 하고 싶다.  

철학 삶을 말하다(강신주).. 오늘 아침에 만난 구절에서는 노동이 그저 목적을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김훈이 말하는 이 밥벌이의 지겨움이 나온다. 목적과 수단이 일치하는 노동이 놀이가 되면 더이상 그것은 고통이 아닐 것이다. 결국 내가 마음먹기 나름인 것인가.. 노동을 유희로 만드는 것이 나의 몫인가...?  일이 재밌고, 그 일로 인해서 먹고 산다는 것은 분명 행운이다! 노동이 수단이 될 수 밖에는 없지만 그 수단과 목적을 좀 더 가깝게 하는 노력은 필요하단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