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 사랑, 바디우
박영진 지음 / 에디투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증환은 사랑에 관해 어떤 함의를 가질까? 증환은 성적 비관계의 지양을 통해 한의 성과 다른 성 사이에서 관계를 조직한다. 증환은 비관계의 동인이다. 라캉이 말하듯, "증환이 있는 한에서, 즉 다른 성이 증환에 의해 지탱되는 한에서, 관계가 있습니다." (라캉세미나23 p.84) 이 관계는 팔루스 함수와 담론 작용에 의해 규제되는가? 답변은 긍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라캉은 여자가 남자의 증상이라면, 남자는 여자의 재난이다.(같은책) 여자가 남자의 증상인 것은 타자적인 성으로서의 여자가 팔루스적 주이상스라는 남성적 증상으로 인해 대상a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남자가 여자의 재난인 것은 남자가 여자로 하여금 팔루스 함수 너머의 과도한 주이상스에 직면하게 함으로써 정신병적 삽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124

그렇다면 증환적 매듭이 관계를 지지한다 하더라도, 이 관계는 여전히 기존의 법과 담론에 의해 구조화된 것으로 드러난다. 왜냐하면 증상(여자)과 재난(남자)사이의 비대칭적 관계가 결국 팔루스 함수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장은 증환이 새로운 상징적 질서의 매개자로 기능한다는 입장과 일관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자. 그런데 사실 증환은 팔루스 함수와 같은 수준에 놓일 수 없다. 왜냐하면 증환은 팔루스의 함수가 무너지는 지점에서 그것을 보충하기 위해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난점으로부터 유일한 출구는 남자가 하나의 증환이며, 여자도 또 다른 증환이 되는 "상호 증환적 관계"에 있으며, 라캉은 이것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그라는 증환과 그녀라는 증환이 있습니다. 이것이 소위 성관계로부터 남아 있는 전부입니다. 성관계는 상호 증환적 관계입니다." " - P125

상호증환적 관계가 더 이상 비관계의 구멍에 대한 규범적인 구멍마개가 아님을 뜻한다. 동시에 그것은 비담론적, 비팔루스적, 비부성적 관계를 건설하는데, 이것이 곧 정신분석이 다루는 사랑의 게임의 규칙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상호 증환적 관계는 사랑에 대한 정신분석적 재창안의 고유명이다.
상호 증환적 관계는 단독성의 결합과 같다. - P125

요컨대 매듭이론은 사랑이 더 이상 상상적 자아, 상징적 결여, 실재적 주이상스와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증환적 단독성에 관련됨을 시사한다. 사랑은 "증환이라는 바이러스를 소통하는 방법"에 대한 하나의 독창적인 해법이다. 사랑은 나 자신의 증환을 구축하는 것이며, 다른 증환을 하나의 단독성으로 포횽하는 것이며, 증환적 단독성을 결합하는 것이다. 사랑은 무의식적 증상을 훈습하고 새로운 상징적 질서를 연마하면서 성적 비관계를 지양하는 상호 증환적 관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상호증환적 관계로서의 사랑은 더 이상 아버지의 이름의 작용에 의존하지 않으며 양가감저으로서의 사랑을 넘어선다. 앞서 보로매우스 매듭과 함께 이러한 최초의 진리는 전복되고 사랑에 관한 새로운 경구가 출현한다. "당신의 증환과 동일시하고, 상호증환적 관계를 창조하라!" - P127

사건으로서의 사랑은 공백이나 정의할 수 없는 X에 의해 작동된다. X는 사라이 어떠한 기존 지식에 의해서도 포착되지 않게 한다. 아무리 들여다보아도 사랑은 끝내 비어 있는 채로 남을 것이다.,,,, 사랑은 배반과 함께 말소된다. 충실성은 단순히 육체적 정신적 헌신을 가리키지 않는다. 그것은 계속해서 사랑의 상황을 재발명하고 확장시키는 주체적 과정을 가리킨다. .. 충실성을 가로막는 것은 제3자나 삼각관계가 아니라 사랑의 주체 안에 존속하는 자아다. - P131

충실성은 이 작은 주인(자아)을 초과하는 용기, 이상화에의 유혹 및 달콤한 기만과 투쟁하는 용기의 행위일 것이다. 사랑은 자아에 굴복하지 않을 용기, 둘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과정에 헌신한 채로 남아 있으려는 용기를 필요로 한다. .. - P132

사랑의 윤리학이 사건, 충실성, 진리의 보로매우스 매듭을 형성한다.
... 비록 바디우가 사랑의 이상적인 형식을 제안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의 윤리학은 사랑의 악에 대한 인정을 통해 라캉과 만난다. "사랑은 모든 악의 원천이다. " 사랑의 악에 대한 비관주의와 사랑의 선에 대한 낙관주의라는 이분법은 성립하지 않는다. 악이 없다면 사랑의 윤리학은 의의를 상실한다. 사랑에서의 악의 현존이 우리를 급진적인 만남, 불굴의 충실성, 둘의 절제된 힘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 사랑은 악과 씨름함으로써 스스로를 완성한다. ... 사랑은 악을 통해 스스로를 넘어선다. 사랑은 악이라는 내적인 과잉에 연루되어 있다. 순수한 선으로서의 사랑이 환영적이라면, 순수한 악으로서의 사랑은 파괴적이다. 사랑은 선악 너머에 있다기 보다는 선악 사이에 있는 것이다. - P134

"앞서 논의했듯 라캉은 토러스를 통해 설명될 수 있는 정신분석학적 위상학을 창안한다. 토러스는 하나의 구조를 형상화하는데, 거기서 신경증적 주체는 욕망에 대한 무지로 구성되면 사랑에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복한다. 토러스는 또한 말하는 존재가 기표의 작용으로 인해 주이상스의 상실로부터 고통스러워하는 토러스적 세계를 보여준다. 이를 사랑의 문제와 연결시킴으로써 우리는 토러스적 사랑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토러스는 또한 말하는 존재가 기표의 작용으로 인해 주이상스의 상실로부터 고통스러워하는 토러스적 세계를 보여준다.
- P1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