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성과 타자성 - 철학적으로 읽은 자크 라캉
로렌초 키에자 지음, 이성민 옮김 / 난장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독자들에게 9-10P 

2.

 주체성과 타자성은 여전히 내가 라깡과 그 너머에 대해 행하고 있는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따. 돌이켜 보면 애초 해석적 차원에서 전개한 이 책의 세 가지 상호연관된 쟁점이 내게는 특히 주목할만한 것으로 다가온다. 욕망의 변즈업을 통한 초월론적인 것의 사후 발생, 기표의 물질성, 빗금쳐진 실재로서의 죽지는-않은 것. 

 당연히  이책은 이 모든 물음이 수렴되는 교차점인 듯한 욕망과 충동의 분리불가능성을 주장한다. 라깡, 그리고 라깡에게 고무된 사유로부터 '초월론적 유물론'을 끌어내려한 용감한 시도들은 바로 이 지점에서 비틀거렸다. 이른바 욕망에 대한 충동이 그 어떤 우선성도 유물론적인 의제를 손상시킬 수 밖에 없다. 셸링에 대한 반-관념론적 독해에 기반한 이론으로는 라깡의 진정한 유물론을 정당하게 대우할 수 없다. 언젠가 본인 스스로도 언급했듯이 라깡만이 철학에 공헌한 혁신이 있다면,

 

"기표, 그것은 언어안에서 스스로를 초월하는 물질이다. "

라는 언어에 대한 유물론적 이론이다. 달리 말해서 이른바 죽지는-않은 자연 자체( 그 불균형한 무근거성에서 실재의 원초적 근거를 구성할 셸링 식의 절대자)의 잠재성에서 곧바로 충동이 도출되지는 않는다. 이런 입장은 후자가 인간의 로고스가 지닌 잠재성의 사후 효과를 통해서만 하나의 잠재성이라는 점을 간과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욕망과 (궁극적으로 언제나 죽음충동인) 충동은 서로 관계하는가?

 이 책은 욕망이란 상징적 질서 속의 실재적 결여인 "무에 대한 욕망"이라는 관념, 즉 욕망이란 상징적 가능성과 그 외연이 똑같은 무에 대한 욕망이라는 관념에 자주 기댄다. 죽음충동도 이와 똑같은 실재적 결여를 마주한다. 스스로 되돌아가려고 열망 하지만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죽지는- 않은 실재의 잔여물로서 말이다. 이런 조건은 환상 속에서 욕망을 지탱하는 끈질긴 반복과 등가적이다. 

세미나5권에서 라깡이 말했듯이 충동은 욕망에 주어지는 전문용어이다.... 말이 욕망을 고립, 파편화시키며, 욕망으로 하여금 그 목적과 비절합적 문제적 관계를 맺도록 하는 한 말이다. 
  이 책에는 이질적이만 그 이론적 틀을 충실히 보존한는 용어법을 채택해 본다면 욕망과 충동의 정확한 중첩은 다음과 같은 또 다른 방법으로도 정식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욕망이 일관적인 '상징의 세계'(인간의 유사-환경으로서의 언어)에 내속적인 존재론적 비일관성의  둘레를 선회한다면, 충동은 선-상징적 실재(즉, 죽지는 -않은 자연)의 선-존재론적인 순수 비일관성과 연계된다고 말이다. 그것도 단, 존재론적 비일관성을 통해서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