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뿐만이 아니고 생명이 있는 모든 것들은 칭찬을 들으면 긍정적이 되는 것 같다.

칭찬이란 그렇게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난 칭찬하는 것에 인색하다.

누군가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데에도 인색하다.

칭찬할 일이나 고마워 할 일에 나의 생각을 말하는 것이 왜 그렇게 두려운 것일까?

그런 습관이 들지 않아서 일 것이다.

가만 생각해 보면 어렸을 때에는 칭찬을 많이 들었다.

자라면서 점점 칭찬이 줄어들면서 왜 칭찬이 줄어드는 지에 대해 생각하지도 않았고

이상하다고 생각하지도 않았다.

다만 요즘은 내가 느끼는대로, 말하고 싶은대로 해오지 않았다는 걸 깨닫는 중이다.

하지만 최근들어 칭찬의 중요성을 느끼고 있다.

올해 만난 아이들은 다 좋은 아이들 같다.

내가 좋아하는 류의 아이들이란 뜻이 아니고 한발짝 떨어져 객관적으로 생각하면 질좋은(이런 표현은 적합하지 않은거 같지만) 아이들이란 말이다.

그렇게 자라나는 꿈나무들을 작년 애들처럼 혼내고 화내는 식으로 대하면

왠지 그들과 상관없어하고 싶어하는 내가, 나때문에 그들의 미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주지 말고 피해받지 말고 살자라는 지극히 개인주의적인 생각을 가지고 살아오고 있는 나로서 그 애들에게 내가 뭔가 해주는건 없을지라도 피해주는 일도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주는 피해라...

그들이 자유롭게 행동하고 있으면 나는 반사적으로 앉으라고, 조용히하라고, 얘기하지 말라고 한다. 하지만 서로가 서로에게 신경쓰지 않으면 될 것을. 그들이 떠들든지 말든지 나는 나의 세계가 있으니 그 안에 있음 되지 않느냐.. 하지만 내가 그렇게 신경쓰지 않음으로서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난 그들의 일에 끼어들게 되고 그들에게 전하는 메세지는 대부분 '~하지마' 이런 말이 붙는다. 내가 하는 말을 듣고 있노라면 대부분이 칭찬이 아니고 하지 말라는 말이다.

자칭, 태어난 곳은 다른 별이오, 십삼간지제도가 쓰이고 그리하여 한국의 십이간지플러스 청개구리가 포함되어 청개구리띠라고 말하는 은선냥은, 하지 말라는 것은 더 하고 싶어지게 된다. 역지사지를 좋아하는지라, 내가 그런걸 좋아하면 다른 사람도 그렇게 하지 말라는 것을 더 하고싶어하고 좋아하게 될 것이라 생각하여 되도록이면 부정어가 들어가는 말은 하지 않으려고 한다. 지금 울반애들을 데리고서 지켜본 결과 칭찬을 하면 좋은 일을 하는데 가속이 붙어 더 열심히 한다. 그런 것들이 바로 애들이든 다 큰 사람이든 상관없이 모두에게 해당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나에게도 칭찬을 많이 해보려고 한다. 좋은 일만 하고 좋은 생각만 하여 날 칭찬하기,, 그러면 나도 내가 좋아하는 일을 더욱 열심히 하려고 노력하게 될 것 같다.

이제 칭찬하려는 마음을 가졌으니....

어떻게 칭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내가 관심을 가진 것이 바로 이 책.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누워서 귀로 책듣기"를 하면서 알게 된 책이다.

저 책을 읽으면 나에게 칭찬하는 기술이 생길 것만 같다.

그래서 서점에 가서 저 책을 사려고 했는데

쪼끄만 것이 만원이나 한다는거다.

그래서 서점에서 안사고 이너넷서점에서 사려고 빈손으로 집으로 왔다.

그래서 오늘 주문했다.

빨리 도착해서 읽고 싶다.

나도 칭찬하며 살고 싶다고~~~

(내가 칭찬하며 살고 싶다고 하는 이유는 나도 칭찬받고 싶어서 그런게 아닐까.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최근 들어 색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색 그리고 빛에 대하여.

살짝의 관심은 예전부터 있었지만 내놓고 그와 관련된 것들을 찾아보는 노력은 최근부터 시작했다.

그리하여 TV에서 알게 된 색깔의 힘이라는 책을 사서 읽어보기 위해 꽤 고생을 했었고 어렵게 구입해서 읽었었다.

하지만 책이 아마도 독일어 원서를 번역해놓은 것이고 색에 대한 독일인의 생각이 담겨 있는 것이라 -내게 익숙하지 않은 독일 문화로 인해- 처음 읽을 때 어렵다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다음에 시간이 되면 꼭 다시 한번 읽어보자 생각하고 처음 읽을 때는 빨리 읽었었다.

봄방학을 보내면서 책 한권 읽지 아니하는 방학으로 보내면 많이 아쉬울 거 같아서 방학이 끝나갈 무렵 읽었던 책 다시읽기 정책^^;으로 색깔의 힘을 다시 꺼내들었다.

사실 아직까지도 다 읽지는 않았다...

이 책은 색에 대한 오래 전부터의 생각, 느낌 등등을 한가지로 국한시키지 않고 여러 각도로 보면서 여러 의미를 써 놓은 것이라 읽는 사람에게 맞게 알아서 색에 대해 해석하라고 하는듯 하다.

나만의 색의 의미를 찾아라... 이정도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개글
이 책은 “데이비드 폰더”라는 한 중년 가장이 만 하루 동안 겪은 환상여행을 감동적인 필치로 그려낸 소설 형식의 자기계발서이다. 연이은 실직, 쌓인 빚, 딸의 대수술 등으로 곤경에 처한 40대 가장 폰더 씨는 우연한 사고로 인해 역사 속으로 여행을 떠나게 된다.

폰더 씨는 여행에서 7명의 역사적 인물―트루먼 대통령, 안네 프랑크, 체임벌린 대령, 콜럼버스 등―을 차례로 만나게 되는데, 이들에게서 ‘성공적인 삶이란 어떤 것인가’에 관한 소중한 메시지 7가지를 선물로 받고서 환상에서 깨어난다는 내용이다.

이 책은 이런 단순한 플롯에도 불구하고, 독자 자신을 동일시하게 만드는 폰더 씨라는 인물의 전형성, 역사적 인물들의 사실적인 재현, 감동적 장치들의 적절한 배치, 긴박하고 빠른 줄거리 진행 등으로 감동과 설득력을 자아내고 있다.

이 책은 2002년 말 미국에서 출시되어 2003년 내내 미국 독자들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가치는 힘든 오늘을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삶에 대한 용기와 함께 낙관적인 눈을 길러준다는 데 있다.

“오늘 나는 행복하게 살 것을 선택하겠어요. 저도 이 상황이 끔찍하다는 건 알아요. 하지만 나에게는 내일이 있을 거예요”라고 말하는 다락방의 소녀 안네 프랑크의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지 않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안네의 삶이 거대한 것은 아니었을지언정 안네는 적어도 자기 삶을 행복하게 마무리할 줄은 알았던 것이다. 이 책의 가치는 바로 이런 데 있다. 역사적 인물들의 삶을 현재의 보통사람들의 삶처럼 생생하게 눈앞에 되살려냄으로써 내게도 가치있는 인생은 가능하다는 확신을 심어주는 것이다.

원폭투하 결정을 눈앞에 둔 트루먼 대통령, 전투의 갈림길에서 돌격하느냐 주저앉아 백기를 드느냐를 고민하는 체임벌린 대령, 가망없는 신천지의 꿈을 성난 선원들에게 설득하는 콜럼버스 등의 일화가 마치 현재의 일처럼 생생하게 읽힌다. 인생의 결정적 순간에서 고뇌하고 고통스러워하는 그들의 삶이야말로 내가 지금 맞닥뜨린 상황과 진배없는 것이다.

 

 

전에 저 책이 한참 "인구에 회자"될 때는 관심이 없었다.

오래전 메일을 정리하다가 저 책 소개를 봤는데

갑자기 읽고 싶어졌다.

하지만 언제 읽게 될진 모르겠다.

내가 직접 살지, 아님 다른 사람한테서 빌려읽을지 그것도 모르겠다.

그냥.. 읽고싶어진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 Girl Reading 2004-03-04 2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갑자기 왜 이렇게 글을 많이 쓴거야. 이거 니 컴에서 쓰는거야. ㅋㅋㅋ
허락받은 외박에 조금은 당황스럽지만 쏜의 배려에 감사해하고 있어..
역시 이 컴은 좋군...내꺼만 펜티엄3 주고...기분 상할려고 해.ㅋㅋㅋ

2ndearth 2004-03-05 1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름이 우리집 자주 오게 하려고 글을 많이 쓰려고 노력하고 있쥐~
 

이외수라는 사람. 유명하다.

그렇기 때문에 난 그 사람의 책을 보지 않았다.

언젠가 울 오빠 집에 놀러 갔더니 '괴물'이라는 책이 있었다.

그래서 슬쩍 읽기 시작했는데

중간에 내가 좋아했던 노래가 어떤 사건과 얽혀 나오길래

그 노래에 대한 좋은 기억을 지우고 싶지 않아서

괴물 읽기를 관뒀다.

그 이후로는 이외수라는 사람의 책에 관심을 안뒀는데

최근 관심이 다시 생겼다.

특히 '날다 타조'라는 책에 대해서..

뭔가 뻔한 이야기를 해놓은(in my opinion..) 산문집이지만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마구든다.

조만간 사게 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충동구매는 아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7세기 네덜란드 미술'하면 유명한 사람은 렘브란트다.

(사실, 난 그림을 잘 볼 줄 모른다. 그림의 가치를 잘 알아볼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그림 보는 걸 좋아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괜찮다라고 하는 그림들이 정말 괜찮은건지 잘 모르겠다.)

근데 서점에서 낯익은 그림이 보여 책을 펼쳤더니, 비슷한 시기에 활동을 했던 베르메르라는 화가가 그린 그림이라고 한다.

정말 소녀 맞을까? 라는 생각이 들게 하는 그림.

볼수록 매력있단 생각이 드는 그림.

그래서 알라딘 그림 바꾸면서 여기에도 넣어봤다.(싸이에도.. ㅋㅋ)

그래서 다음번 책을 주문할때 (이너넷에서 사면 포스터를 주지 않는다는 걸로 봐서 오프 서점에서 사면 포스터를 줄것도 같다. 그래서 가까운 서점에 가서 살지도 모르겠다. ^^; ) 꼭 사서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