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우리의 대화는 이런 것입니다 문학동네 시인선 80
박시하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 슬픔, 망각, 망실, 밤, 겨울, 검은색, 눈, 추위.


박시하의 시집에는 이런 주제와 시어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것은 꽤나 담담해서 읽는 이들의 감정을 혼란하게 한다. 그것은 소리치고 찢어지고 피흘리거나 괴로워야하는데, 박시하의 그것은 무척 무덤덤하기에. 


슬픔은 느끼는 것만 아니라 어떤 사물처럼 가지고 다닌다.그것은 감각을 너머 소유되기도 한다. 시적 화자 자신의 감정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슬픔이 객관화하는 되는 과정일까. 하지만 슬픔은 단순히 감정이나 어떤 모호한 사물로만 남지 않는다. 그것은 타인(당신)이나 저편을 열고 잇는 매개로 등장한다. 박시하의 슬픔은 단조롭되 단순하지 않다. 다양하게 말 건넨다. 슬픔은 또 다른 가능성일까. 아님 가능성의 조건일까.



밤의 공원에서




캄캄한 밤의 공원에서

유서를 썼다


기분이 좋았다

맹꽁이가 커다랗게 울고 있었다

두 남자가 배드민턴을 치고 있었다

셔틀콕이 어둠 속을


밤의 흰 새처럼

잊어버린 새의 이름처럼 날아갔다


아이들이 텅 빈 미끄럼틀을 타고 있었다

그들은 내가 편지를 보낸

나 없는 세계에서 왔다

나는 유서를 밤의 공원에

벤치 아래의 어둠 속에 묻었다


두런두런 말소리가 들렸다

내가 어딘가로 떠났고

이 세계로는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이야기였다


긴 한숨 소리가 번져나갔고

나는 유서를 어디 묻었는지 잊어버렸다


그 밤의 공원도 잊었다

나를 잊었다


새의 이름을 잊듯이

보드카 레인



한 번의 아침마다

한 번의 죽음을 주세요


그토록 많은 비가 내린 후에

새로운 비가 내립니다


나무에게

눈의 시신에게

실패한 사랑에게

아름다운 이름을 주세요


아침에 내리는 비는 

미래의 사랑

미지의 슬픔입니다


당신의 이마는

내 죽음의 이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사회·문화심리학적 각도에서 동양인과 서양인이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는지 다양하게 고찰한다. 인간의 사유체계와 구조형성에는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가 하는 언어인지학적 영향이 지대하다. 이러한 언어사용과 언어문화가 인간의 사유와 사상을 통제하고 방향지운다. 


다른 사유방식은 현대인 뿐 아니라 고대에서도 어떤 전형을 발견할 수 있다. 서양의 철학, 특히 그리스 철학은 사물이나 우주를 개별적 사물의 집합으로 이해했으며, 따라서 이들은 사물 자체에 대한 기원이나 특성에 집중할 수 있었다. 사물은 자연계 속에 속해있지만 그것은 그 자체로 독립적이다. 비록 사물이 다른 사물과 모종의 관계를 형성하지만, 사물은 대체할 수 없는 근본적 속성을 띠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이러한 개별적 사물의 특성에 따라 그리스인들은 분석적인 사고를 전개할 수 있었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사물을 범주화하고자 했다. 모든 사물은 특정한 속성으로 분류가능하다. 


동양, 특히 고대 중국인들은 이러한 개별적 사물을 인정하면서도 각각의 사물이 어떻게 관계 맺는지에 더 주목했다. 그것은 완전히 독립적인 닫힌 특성들이 아니라 가변적이며 개방적이다. 사물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과정 속에서 발전하고 순환한다. 오행의 관계는 이러한 동양인의 사고방식과 체계를 잘 보여 준다. 그렇기에 동양인들은 관계와 맥락을 더 중시하며 개인주의적 성향은 서양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보인다. 대상 주체를 염두에 두기보다는 늘 대상 주변의 상황이나 배경에 초점을 둔다.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어쩌면 더 눈치를 잘 본다. 


서구의 사고방식이나 역사는 선형적이고, 동양은 순환적이라는 비교는 식상하지만 여전히 유효해보인다. 


다만 저자와 저서 속 여러 학자들이 증거로 제시하는 설문조사나 간단한 비교실험들은 사뭇 도식적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아시아인은 이러하고 미국인은 이러구러하다는 단순 비교는 사유의 한 현상이거나 경향일 뿐, 그것이 근본적 차이 자체는 아니다. 더 심도깊은 논의는 종종 생략되기 일쑤다. 


같이 읽어볼 책으로는 송영배,  『동서 철학의 교섭과 동서양 사유 방식의 차이 

http://aladin.kr/p/dF8o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