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전종서 소설의 기저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모티브는 전쟁과 욕망일 것이다. 이는 거시적으로 패전과 항전이라는 바탕 위에 배신과 질투라는 인간존재의 가장 내밀한 부분들을 예리하게 스케치해간다. 다만 그 말로가 어떤 희망이나 가능성을 제시하기보다는 암울하고 퇴폐적인 시대상황 속에 매몰되는 군상이나 미래에 대해 냉소적인 전망을 내비친다는 점에서 나름의 한계를 띠고 있을 뿐이다.


    사람, 짐승, 귀신이라는 제목을 단 이 소설이 전하려는 메시지도 전쟁과 욕망에 관한 여러 변주에 다름 아니다. 아울러 이는 훗날 <위성>이라는 장편의 사상적 바탕이나 추형雛形을 살펴볼 근거를 제시하기도 한다. 


    총 4개의 에피소드를 다루는 이 소설은 얼핏보면 전혀 다른 대상과 주제, 즉 하나님의 꿈, 고양이와 살롱의 문인들, 대문호의 영혼과 염라대왕, 여인과 유복자라는 각각의 사정과 類가 다른 존재들을 다루는 것 같지만 종국엔 하나의 인간문제를 말하고 있을 뿐이다.  


    <하나님의 꿈>에서는 신이 자신의 고독으로 말미암아 자신과 닮은 인간을 만들었고, 그를 통해 고독을 해소하려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신의 고독을 빼닮은 인간 남녀 또한 각자 저마다의 고독자로 처해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고양이>에서는 무능하고 나약한 당대의 중국 지식인의 모습을 살롱에서 일없이 지내는 고양이에 겹쳐 보여주는가 하면, 겉으로는 매력적이고 지적인 살롱의 여주인이 남편의 외도에 적극적으로 항변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런 억압적 전통관이나 관계의 부조리성에 쉽게 길들여지는 모습을 고양이에 빗대어 풍자하기도 한다. <영감>이라는 이야기 속에서는 허울 속에 가려진 지식인의 변명과 문단의 병폐적 일면을 꼬집기도 하고, <기념>이라는 이야기에선 한세대의 우울과 그릇된 욕망이 단절되거나 극복되지 못한 채 오히려 다음세대로 전가, 지속된다는 점을 보여주기도 한다. 


    여하간, 신의 꿈에서 시작한 이야기는 그 꿈이 낳은 인간의 고독한 모습을, 다시 전쟁을 거치며 고양이처럼 변해버린 당대의 지식인군상을, 활력을 잃은 당대의 지식인의 모습을 다시 죽은 문호의 영혼으로, 당대 인간의 욕망과 좌절을 다시 반복해서 이어갈 유복자로 형상화하며, 인간이 지닌 근본적 한계와 던적스러움을 갈파한다.  


     *전종서의 글은 쉽게 읽히지 않는다. 그가 그리는 주인공들의 내면심리가 무척 섬세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가 드는 비유와 수사의 활용이 내게는 퍽 생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프카의 성이 성에 들어가려는 인간의 어떤 근원적 욕망과 불안을 이야기했다면, 전종서의 위성은 성에 들어갔어도 성 밖에서의 그 불안과 욕망이 쉽사리 해소되지 않음을 말한다. 이에 대해 전종서 선생의 부인인 양강楊绛 여사는 내제內題에서 이를 이렇게 요약다. 


성에 둘러쌓인 사람은 도망가고 싶어하고, 성 밖에 있는 사람은 들어가고 싶어한다. 결혼도 그렇고, 직업도 그러하니, 살면서 바라는 것들이 대개 이와 같다.

围在城里的人想逃出来,城外的人想冲进去,对婚姻也罢,职业也罢,人生的愿望大都如此。

    재밌는 것은, 전씨가 그리는 인물들의 욕망이 어떤 진지한 고민의 산물이라기보단 충동적이거나 유치한 동기들이 빚어낸 결과나 과정이라는 점에 있다. 주인공 방홍점方鴻漸의 이름부터가 어떤 아이러니다. 기러기가 구름을 뚫고 점점 높은 하늘로 치솓아 오른다는 뜻의 그의 이름은 화려하게 귀국한 서막과는 다르게 그가 머무는 장소는 해외에서 상하이 다시 깡촌으로 물러나는 어떤  퇴보적 경향을 보일 뿐더러, 연애에 있어서도 상해의 모던한 여성들과 이어지지 못하고 내지의 여성과 결혼하게 되는 우여곡절, 그마저도 순탄하게 흐르지 못하고 격화일로로 치닫게 되는 대략은 한 개인의 문제만은 아니고 당대의 시대상과 인간상을 어느정도 반영하고 있다. 


    농촌이나 고향이 인간의 원초적 기억을 보지하며 동시에 인간에게 모종의 치유나 회복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과는 다르게, 전씨의 소설은 고향과 타향, 내지와 외지, 처와 첩, 학문과 도박 등 상반되는 개념항들이 결국 인간을 둘러싸고 인간을 욕망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함을, 그리고 이 대립되는 쌍들이 둘이 아닌 하나의 성城일 뿐임을 폭로한다. 


    물론 주인공 방홈점의 성격이 가지는 어떤 부박함이나 불성실함이 그의 삶을 좌초시킨 것처럼 비춰지기도 하지만, 그것이 문제의 원인이거나 해답으로 명확하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인간이 쌓아올린 문명이나 도덕, 가치, 이기들은 그럴싸한 외벽을 가진 웅장한 성일 뿐이고 그 안에 둘러싸인 인간은 진정한 삶의 가치나 별반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거나 체득하지 못함을 소설은 꼬집기도 한다.


    城은 어떤 욕망의 대상이나 관계를 암시하는 메타포이기도 하면서, 한편으론 인간 자신을 가리키기도 한다. 서로가 서로에게 개방되지 못할 때 그것은 공략해야 할 성으로 비춰지고, 함락된 후에는 다시 버려지기도 하는 빈 성. 혹자에게는 자기의 자존감과 가정을 넉넉히 지켜줄 외벽이 되기도 하고, 혹자에게는 자기 자신이 깨트려야할 하나의 금기이거나 도전이 되기도 하며,  또 혹자에게는 그저 정해진 운명이 가혹할 뿐인 어떤 장벽. 그렇다면 소설은 이렇게 묻고 있는 듯 하다. "자기 자신에게 둘러싸여도 그것이 벽이 되지 않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인가, 아니면 불행한 사람인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河中之水歌

梁·蕭衍 

 

河中之水向東流,洛陽女兒名莫愁。莫愁十三能織綺,十四采桑南陌頭。十五嫁為盧家婦,十六生兒字阿侯。盧家蘭室桂為梁,中有鬱金蘇合香。頭上金釵十二行,足下絲履五文章。珊瑚挂鏡爛生光,平頭奴子擎履箱。人生富貴何所望,恨不早嫁東家王


황하의 물 동으로 예고, 낙양에 아가씨 이름은 막수. 막수는 열셋에 비단옷 마름하고, 열넷에 남쪽 길가에서 뽕 땄네. 열다섯에 노씨 집에 시집 가, 열여섯에 아들 낳고 아후라 이름했네. 막수가 머무는 규방은 계수로 들보 삼고, 그 안에 울금과 소합의 향기 가득하지. 머리에는 열두줄 금비녀 꼽고, 발 아랜 오색 무늬 실 버선 신었다. 산호로 엮어 만든 거울대에선 반짝반짝 빛이 나고, 머리도 안 올린 종아이 신발 상자 들고 섰다. 인생에 부귀야 무얼 더 바라겠냐만, 일찍이 동가에 왕씨에게 시집 못 간 것만 한스러워라. 



洛陽女兒行

唐·王維  


洛陽女兒對門居,纔可容顔十五餘。良人玉勒乘驄馬,侍女金盤鱠鯉魚。畫閣朱樓盡相望,紅桃綠柳垂檐向。羅幃送上七香車,寶扇迎歸九華帳。狂夫富貴在靑春,意氣驕奢劇季倫。自憐碧玉親教舞,不惜珊瑚持與人。春窗曙滅九微火,九微片片飛花璅。戲罷曾無理曲時,妝成秪是薰香坐。城中相識盡繁華,日夜經過趙李家。誰憐越女顔如玉,貧賤江頭自浣紗。


낙양의 아가씨 문을 마주하고 사는데, 고운 얼굴이 겨우 열댓 남짓. 낭군은 옥 재갈 물린 청총마를 탔고요, 시녀는 금쟁반에 잉어회를 담아오네. 단청한 누각들이 한없이 바라보고, 복사꽃 푸른 버들이 처마 향해 드리웠네. 나갈 땐 비단 휘장 친 칠향거에 타고, 돌아올 땐  보선을 쥐고 구화장에 드네. 거리낄 것 없는 지아비는 돈도 많고 귀한데다 또 젊은지라, 그 의기가 교만하고 사치해 부자였던 石崇도 우습게 여긴다네. 碧玉을 어여삐 여겨 친히 춤을 가르치고 산호수를 남에게 주는 것도 아끼지 않네만. 봄 창에 새벽 되자 꺼지는 九微燈, 편편이 꽃잎처럼 날리는 등불. 다 놀 때까지 노래 한 곡 익힐 시간 없고, 화장하고 다만 향기 쏘이며 앉아 있을 뿐. 성 안의 아는 이들 모두 귀한 번듯한 이들이요, 밤낮으로 들르는 곳 趙家와 李家라네. 누가 옥같이 고운 월녀가 가난해서 강가에서 비단을 빠는 것 가여워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秋雨嘆三首 

(唐·杜甫) 

其一

雨中百草秋爛死,階下決明顔色鮮。著葉滿枝翠羽蓋,開花無數黃金錢。凉風蕭蕭吹汝急,恐汝後時難獨立。堂上書生空白頭,臨風三嗅馨香泣


其二

闌風長雨秋紛紛,四海八荒同一雲。去馬來牛不復辨,濁涇清渭何當分。禾頭生耳黍穗黑,農夫田婦無消息。城中斗米換衾裯,相許寧論兩相直。


其三

長安布衣誰比數,反鎖衡門守環堵。老夫不出長蓬蒿,稚子無憂走風雨。雨聲颼颼催早寒,胡雁翅濕高飛難。秋來未曾見白日,泥污后土何時乾。


가을비 탄식 


길게 쏟아지는 장맛비에 젖어 모든 풀들이 이번 가을에 썩어 죽었으나, 오직 층계 밑에 피어있는 결명화 너만은 빛이 생생하구나. 가지에 가득 붙은 잎들은 마치 비취새의 날개로 만든 수레의 차일덥개 같고 무수히 피어난 꽃들은 마치 황금의 돈 같기도 하다. 그러나 차가운 바람이 소소히 불어 너를 몰아내니 아마 너도 앞으로는 우뚝 서 있기가 어려울 것이니라. 당상에 있는 서생인 나도 하염없이 머리가 희었으니 바람따라 너의 향기 자주 맡으면서 눈물짓고 있노라. 


축축한 바람이 끝없이 불고 궂은 비가 줄곧 내려 금년 가을은 겉잡을 수 없이 어지럽고 온 세상 사방 팔방의 끝이 한결같이 비구름에 덮여 있다.오가는 말과 소가 비바람에 엉기어 분별할 수가 없고 또한 본래가 탁한 경수와 맑은 위수조차 구분할 수가 없다. 벼이삭 끝에는 귀가 솟아난 듯 싹이 돋았고 기장은 꺼멓게 썩었으며 농부나 밭갈이를 하는 사람들의 모습도 찾아볼 수가 없다. 도시 안에서는 먹을 것이 귀해 쌀 한 말과 이부자리를 바꾸기도 하며, 그것도 쌀과 바꿀 수만 있다면 값이 맞는지 안 맞는지는 논하지도 않는다.


장안에 포의를 뉘라 생각해줄까, 외려 형문을 걸어닫고 두른 담이나 지킨고 앉았다. 늙은 이몸 나가지 않아 쑥대만 자랐는고, 어린 아들은 걱정없다는 듯 비바람 속을 달리누나. 주룩주룩 빗소리에 이른 추위 몰아닥치는데, 북에서 온 기러기 날개젖어 높이 날기 어렵다네. 가을 온 뒤로 가을볕다운 볕구경 못했거니,어느 때야 이 진창이 마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