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하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철학자와 하녀 -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마이너리티의 철학
고병권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엔 철학 사상을 읽는 것을 훨씬 더 좋아했다. 물론 지금도 그것에 큰 흥미를 느끼지만 아무리 이해하려 하여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그것들의 의미에 대해선 최근 회의를 느끼고 있다. 국내 철학자 중에서 누군가가 방대한 철학 사상을 맛있게 버무려서 먹기 좋게 요리를 해 주면 좋겠다는 갈증이 있었지만 인문학의 대유행으로 철학서를 빙자한 자기 계발서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좋은 책을 가려내기가 쉽지 않았다. 때로는 시간 낭비처럼 느껴지기도 하였다. 고병권의 [철학자와 하녀] 서문을 읽으며 기대감을 품었던 것은 일전에 한병철 철학자의 강연이나 탁석산 교수의 강연을 들었을 때 강조하던 어떤 불편함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앞서 철학서를 가장한 자기 계발서에는 온통 사탕발림과 희망적인 이야기 뿐이라 읽고 나면 영양은 없고 살만 찐 느낌인데 어느 정도 불편함을 인식하는 철학서를 읽고 나면 살은 찌지 않고 영양을 흡수한 느낌이 든다. 이 책은 후자에 해당한다.

 

오랜만에 책을 다 읽고 밑줄 친 부분들을 옮겨적어보았다. 그중 처음 옮겨적은 것이 철학의 역할에 대한 부분이었는데 이 부분이 철학하는 이로서 저자의 마음가짐이랄 수도 있어 이 책을 이해하는 데에 이정표가 되었다. 물론 이는 내가 동의하고 공감하는 부분이기에 그러하다. 저자가 말하는 철학의 역할에 공감하지 않는다면 이 책은 별 의미가 없을 것이다.

 

철학한다는 것, 생각한다는 것은 곧바로 반응하지 않는 것이다. 그것은 지름길을 믿지 않는 것이다. 철학은 어느 철학자의 말처럼, 삶의 정신적 우회이다. 삶을 다시 씹어보는 것, 말 그대로 반추하는 것이다. 지름길이 아니라 에움길로 걷는 것, 눈을 감고 달리지 않고 충분히 주변을 살펴보는 것, 맹목이 아니라 통찰, 그것이 철학이다. 철학은 한마디로 초조해하지 않는 것이다. (29-30쪽)

 

불안하면 사람은 그른 선택과 행동을 하게 마련이다. 제대로 보고 옳게 행동하게 하는 것, 그것이 철학이라는 말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무척 당연한 말인데 요즘의 철학서들은 자기 최면이나 합리화, 자기 긍정이 답인양 제시하는 경향이 있어 오히려 읽지 않는 편이 나아 보인다. 서문에서 말한 철학이 '박식함'에 있지 않고, '일깨움'에 있다는 말도 일맥상통해 보이는데 철학 사상들을 외고 그것을 입밖에 과시하는 것은 결코 철학적이지 않다. 철학은 커피처럼 일상의 각성을 요구한다.

 

책은 읽기에 어렵지 않다. 박식함을 굳이 꺼내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다. 책의 제목처럼 철학자도 하녀도 모두 이해가 가능한 언어들이고 논리이다. 대중적이되 본질적이다. 낮은 곳에서 살피고 소외되고 어두운 곳을 바라보게 한다. 그것이 우리의 현실이라고, 눈 감지 말고 눈 뜨고 보라고, 그리고 그것을 우리 사회의 한 부분으로 인정하고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것이 아니겠냐고 동의를 구한다. 철학은 질문을 던지는 학문으로 알고 있다. 다소 저자의 생각이 강하게 들어가 있지만 그 생각이 나를 각성시키기에 거부감이 들지 않았다. 저자는 거짓을 말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듯 보였다. 아는 '척'하는 것이 아니라 몸소 아는 것만을 이야기하기 위해 부딪쳐온 듯한 느낌이 들었다. 철학자들의 생각과 다양한 책과 영화에서 얻은 간접 경험 그리고 자신의 직접 경험을 잘 요리하여 내 무릎 위에 올려주었다. 산지 직송 특산물처럼 고마운 요리이다.

 

좀더 삶에 밀착된 철학을 이야기하는 것이 '철학'이 맞는가 하는 의문을 가지는 이도 있을지 모르겠다. 마치 그것은 그저 '발언'의 형태라고 그들은 말할지도 모르겠다. 이 책 이전에도 철학적인 삶의 태도에 관한 좋은 책을 읽지 않은 것이 아니지만 기왕 삶에 다가가기 위해서라면 이렇게 조목조목 깊이 들어가 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살아남은 아이]라는 이야기가 베스트 셀러였고, 화제가 되었다는 것은 알았지만 '형제 복지원'의 구체적인 현실에 대해서는 굳이 알려고 하지 않았다. 홈에버 파업도 노사관계의 문제가 있었다는 정도로만 알았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얼차례를 받았다는 것에 뜨악했다. 제시된 많은 사건들이 모두 그러하다. 나는 무엇을 알고는 있었던 것일까? 철학은 박식함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니 이 많은 이야기들을 그저 알고 있다면 그것은 시사 자랑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저자는 이 모든 문제들을 우리 모두의 현실 사회의 모습이라고 말한다. 왜 아니겠는가? 그저 모르는 척 하였을 뿐이다. 그리고 많은 책들은 아는 '척'하게 만든다. 이 책을 읽고 한동안 멍했다. 생각을 정리하지 못해서 이렇게 긴 글을 남기게 될 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나도 모르는 새 책에게서 많은 질문을 받은 모양이다. 답이 길어진다.

 

개인으로서 모두는 각자의 아픔을 가지고 있다. 때로는 그것이 해소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그것을 품은 채 삶의 어떤 부분을 짊어지고 살아가고 있다. 개인으로서 자신의 아픔도 많은 순간 외면하고 마치 남의 삶인 듯 그렇게 살아간다. 결코 해결하거나 부딪히려 하지 않고 그저 없는 '척' 한다. 그러다 촉매를 만나면 개인은 회복할 수 없는 극단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위험하다. 사회도 그렇지 않을까? 개인이 자신의 아픔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아픔을 인정하고 마주하고 고민해야 한다. 용기가 있다면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나설 수도 있을 것이다.  좋은 사회가 되려면 좋은 사회의 극단에 있는 사회의 모습을 인정하고 마주하고 고민해야 한다. 용기가 있다면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나설 것이고 그것이 해결이 된다면 좋은 사회가 될 수 있다. 자, '감히' 용기를 내어보자. 아닌 척 하는 이에겐 인정이나 마주보는 것도 큰 용기가 필요하다. 당신의 용기가 발휘될 그 시점에 서서 '감히' 알고자 하여 보자.

 

그가 떠올린 계몽된 사람이란 박식한 사람이 아니라 용감한 사람이었다. '감히' 따져 묻고 '감히' 알려고 하는 의지와 용기를 가진 사람 말이다.

(80쪽 - 여기서 그는 칸트를 일컫는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