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와 우연히, 아프리카 - 프랑스 연인과 함께 떠난 2,000시간의 사랑 여행기
정여진 글, 니콜라 주아나르 사진 / 링거스그룹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생각해보면 우리 커플은 이국의 작은 시골보다는 언제나 큼직한 대도시 안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우리는 왠지 모를 이유로 대도시에서 접할 수 있는 사람 사는 냄새, 사회의 역동성 같은 것을 좋아했다.

51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도시들을 다니면서도 아주 저렴한 여인숙을 찾아다니는 것은 진정한 배낭객(?), 가난한 배낭객의 모습이기도 했다.


원시의 땅, 아프리카를 연인과 함께 하면 다르게 보일까? 파라다이스를 찾으러 아프리카로 갈 수 있을까?


그들만의 아프리카였다. 일상의 호흡을 할 수 있는 가나에 이르러서야 그들만의 파라다이스를 찾았다고 한다. 내가 알고 있던 친구가 살고 있던 가나의 모습과는 너무나 다르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어 그런가? 싶다.


그 유명한 모로코의 탕헤르를, 페즈를 가도, 사하라 사막을 횡단해도, 전혀 아프리카 냄새가 나지 않는다.

여느 사람들과 같은 사진이 나오지 않아 좋았다고 해야할까?


너무나 건조한 때로는 쓸쓸해 보이는 느낌의 사진이 무엇 때문일까? 생각했다. 유럽의 땅이라고 해도 될만한 사진들이 가득했다.

3부쯤으로 넘어가 니콜라가 인턴 생활을 했던 부르키나파소의 레오에 들어서고 나서야 그 이유를 알았다. 사람들이 거의 보이지 않는 삭막한 풍경 사진들이 가득해서였다. 아프리칸African들이 보이고 나서야 아하! 새삼 느꼈다.

그들만의 여행에 레오에서의 인연이 있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아프리칸의 이야기를 거의 듣지 못해서 말이다.

 

꼭 이래야한다는 건 아니지만 너무나 이질감 느껴지는 아프리카 여행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생에 한번은 꼭 만나야 할 곳 100 : 2. 아시아.아메리카.오세아니아 편 일생에 한번은 시리즈
이태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사실 유럽과 아프리카의 1편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의 오 ․탈자가 충격이었던 책이었다.  그것도 명망이 있는 출판사에서 말이다. 그래서 처음 책에서 2편이 있는지 없는지 관심도 없었는데, 다시 도서관에 꽂혀 있는 책을 보니 그 강렬했던 사진들에 대한 인상 때문에 2권을 만나보게 되었다.


물론, 역사가 없는 땅이 어디 있고, 지역이 어디 있겠냐마는 아시아 편을 먼저 보면서 느껴지는 건 대부분이 아름다운 자연을 먼저 한 장소들이 더욱 많아 진 것 같다. 물론, 홍콩이나 싱가포르처럼 빌딩 숲으로 둘러싸인 곳이나, 아메리카의 샌프란시스코, 뉴욕, 로스앤젤레스 등이 없지 않지만 말이다.


역시나 항공사진전문가답게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압도된다. 같이 책이 만들어졌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1권에 비해 오탈자도 급격히 줄어들었고 말이다.


일생에 한 번은 꼭 만나야 할 곳이 너무나 많고 지구 곳곳에 산재해 있어 모두 직접 가보기는 힘들겠지만 이태훈씨 덕분에 그나마 휘~ 둘러볼 수 있는 기회가 되어 감사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운 영국의 시골길을 걷다 - 조금씩, 천천히, 동화 속 풍경에 젖어들기
기타노 사쿠코 지음, 임윤정 옮김 / 북노마드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만나기 바로 전에 런던 느리게 걷기에 관한 책을 읽어서 연이어 문학과 어우러지는 영국의 시골길을 간다.

 

피터 래빗의 작가 비아트릭스 포터에 얽힌 마을들

윌리엄 모리스의 코츠월드

애거사 크리스티의 고향, 콘웰 지방의 데번까지

 

기대했던 대로(??^^) 일본인 스러운 책이다. 뭐 버릴 것도 없지만 특별히 인상적인 것도 없는 심심한 책 
무엇보다 이 책에서 내셔널 트러스트를 만난 것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 사유의 기호 - 승효상이 만난 20세기 불멸의 건축들
승효상 지음 / 돌베개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가 승효상이 말하는 좋은 건축의 세 가지의 기준을  합목적성, 시대와 관련이 있고, 건축과 장소의 관계라고 한다.

이 책은 그 중 이 세 가지의 기준으로 승효상에게 ‘깊은 영향을 끼친 건축과 건축가들에 관한 이야기’(당신은 왜 시를 쓰는지 아는가?中)이다.

그 중에서도 건축과 장소에 관해 깊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과 한국의 집이 달라야 하며 서울과 부산의 집은 다른 형식이 되어야 한다는 그의 생각이 잘 반영되어 여기에 나오는 대부분의 건축물들이 건축사에서 큰 영향을 끼친 건물이기 이전에, 그 환경에 맞는 내지 그 곳의 환경을 충분히 반영한 여백의 공간을 많이 가지고 있는 건물들이 소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언젠가 건축 대전에서 이슈가 된 그의 건축물 중 중정中庭이 인상적이었던 집으로부터 퇴촌 주택까지 ‘비워서 더 아름다운 집’들이 생각난다.

 

물론, 예술적 측면도 있겠지만, 그의 이야기에서 처럼

 

굳이 건축을 다른 학문의 분류에 넣으려 한다면 인문학에 가깝다. 문학적 상상력과 논리력, 역사에 대한 통찰력, 그리고 사물에 대한 사유의 힘이, 이웃의 삶에 대한 애정과 존경 속에 작업해야 하는 건축가에게는 필수불가결한 도구들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당신은 왜 시를 쓰는지 아는가 中

 

그 땅과 잘 어우러진,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나, 그 건물의 목적에 잘 어우러진 집들이 아름다운 집이라는 생각이 읽을 수록 든다.

소란스럽던 빈의 거리를 침묵으로 아름다움으로 만든 아돌프 로스의 로스 하우스.

28세의 나이 주세페 테라니의 파시스트의 집를 비롯해 파리의 퐁피두 센터 및 국립 도서관을 스웨덴 시구르트 레베렌츠의 우드랜드 공동 묘지까지 20세기에 세워지면 이슈가 되었던 현대 건축물들에 관한 이야기는 건조한 문체이지만 인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를린에 두고 온 가방 - Ich hab' noch einen Koffer in Berlin, 내 수트케이스는 여전히 베를린에 있다
예주연 지음 / 스토리나무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베를린에 관한 책은 연이어 두 권을 읽어보게 되었다. 글쓴이가 어린 나이라(??^&^) 어떨까?하는 생각이 있었는데, 참으로 차분하다. 1년간 베를린에서 생활하며 느꼈던 것, 가볼 만한 곳들이 베를린과 연관된 영화나 비디오, 음악까지 잘 연결되고 차분하게 읽힌다.

 

웬만한 수도보다 큰 베를린이 왜 유럽 여행 중에도 잠깐 스쳐 지나는 곳인지 의아했었는데, 거기에 관한 궁금증도 해결해준다.

 

아기자기한 다른 유럽 도시들에 비해 베를린은 서울 1.3배의 면적을 자랑한다. 각기 다른 특색을 지닌 지역구들, 외곽지의 숲과 호수들까지....., 마음먹고 찬찬히 둘러보자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매우 큰 도시다. 하지만 주요한 관광명소들은 한 기에 다 모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로마 같은 다른 유럽 도시에 비해 18세기에 프로이센의 수도가 되며 갑자기 세상에 등장한 짧은 역사 탓이다.

-궁으로 가는 길 66

 

늘 듣던 대로 영국이나 독일은 맛난 음식은 별로 없다고 들은 적이 있긴 한데, 

맛집은 별로 없는 것 같고, 이 책에도 베를린의 클럽 문화는 빠지지 않는다.^^

어쩌면 그런 탓에 이제야 통일이 된 독일의 베를린은 새로운 옷을 입고 있는 중이라 더욱 볼거리가 많아진 게 아닌가 싶다. 지난 번 갔을 때와 이번에 갔을 때가 다른 매번 색다른 역사를 쓰고 있는 도시라는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