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에 서핑중 우연히 발견한 한 글을 읽고, 신선한 충격을 받은 적이 있는데(blog.aladin.co.kr/neomidge/2545386), 사회디자인연구소라는 살짝 '의심스러운' 간판을 단 인터넷포럼에 있는 글이었고, 글쓴이는 김대호 소장이었다.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가 돌아가는 상황에 대해서 가끔가다 신문읽기 수준의 이해력을 갖고 있는 나지만, 그래도 호불호는 분명하여 한나라당은 믿지 못하고, 노무현은 좋다. 복잡하게 이유 달 것도 없이 '신뢰의 문제'다. 난 전자는 제배때기 채우기에 여념 없는, 부도덕한 사람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하며, 후자는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고매한 사람이(었다...)라고 믿는다. 그런 나에게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자칭 '진보'인사들 가운데 노무현을 비난(비판이 아니라)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럴 때마다 내가 복잡다단한 사회구조를 잘 이해하지 못하며, 과연 내가 '노빠'라서 눈에 콩깍지가 씌워진 것일까, 자책하기도 해봤다. 그런 와중에 '심상정 오바마!'라는 글을 발견하고 십년 묵은 체증이 내려가는 기분이었다고나 할까... 그 후 사회적 이슈가 터질 때마다 김대호의 글을 읽어야 다소 홀가분한 마음으로 잠을 이룰 수 있었다.  

 

 

 

 

 

 

 

 

  

 

지금은 이 책을 읽고 있다. 차분히 첫 장부터 쭉 읽지는 못하고, 챕터를 골라서 읽고 있는데... 뭐랄까, 저자가 공대출신이라서 그런지 인문과학, 사회과학 주류이론에 정통한 글쟁이의 세련된 문체를 기대했다면 조금 실망할 것이다. 하지만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사색의 깊이와 예리한 문제의식, 그리고 에두르지 않는 직설적 필법이 오히려 참으로 마음에 든다.  

노통 재임시 그가 참여정부와 소통을 시도한 것으로 보이는 글을 읽은 적이 있는데, 반응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노무현 이후 - 새 시대 플랫폼은 무엇인가> 출간에 붙이는 글이 사회디자인연구소에 올라와서 읽어보니, 이번 신간에 저자가 이에 대한 소회를 밝힌 모양이다.  

“내가 특별히 그를 아쉬워하는 것은, 시대의 어둠을 깨치는 위대한 방법을 찾기 위해 같이 머리를 맞대고 밤을 새울 기회가 코앞에 닥쳤는데 홀연히 떠나버렸기 때문이다. 나는 그가 5년의 재임 기간 동안보다 퇴임 이후에, 수십 년에 걸쳐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민족적 자산이라고 생각했다.” (www.goodpol.net/inquiry/report.board/entry/57)  

나는 아직도 노무현이 우리 곁에 없다는 것을 믿을 수가 없다. 

* 어제 일전에 라디오21에 신청한 고 노무현 대통령 추모 사진집이 도착했다. 자그마한, 또 눈물샘을 자극하는... 몇 장 넘기다가, 놓고 말았다.  

 

** 사회디자인연구소 참여정부평가 - 총론 (2009.3.23 발제자: 김대호 소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사진이 너무 인상깊어서 모셔왔다. 

 

 

 

 

 여순사건 때 자식을 잃고 오열하는 가족들. 뒷편에 우뚝 서있는 사람은 미 임시군사고문단원인 랠프 블리스(Ralph P. Bliss) 소령. 미 임시군사고문단은 여순사건 진압작전을 지휘했다. 

 

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3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무리 생각해도 소수의 대기업(오너)이 지배하는 미래는 끔찍할 거 같다. 겉은 그럴 듯하게 포장해놓겠지만 그래도 그 본질은 소수의 권력자가 꼴리는 대로 그린 세상이 될 것은 뻔하다. 짜증난다. 그래서 생협이나 농산물직거래, 페어트레이드 이런 거 요즘 좋아하고, 어떻게 하면 이 운동들이 고사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주시하고 있다. 어쩔 수 없이 사용하는 전기, 가스, 수도, 방송, 통신은 나도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휴대폰 정도는 없애버릴 의향이 있지만 인터넷은 좀 곤란하다. 앞에 세 개는 두말할 필요도 없고... 

암튼 택배기사님이 목숨바쳐 얻어내려한 30원, 아니 노동자의 권리를 회사가 보장해주지 않겠다면 나라도 줄테다. 십원짜리가 없으면 백원을 줄테다. 메롱이다, 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경기지방경찰청이 시위에 전기충격용 '테이저건'을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내 기억속에 이 총은 진정용이 아니라 거의 살상용인데... 

 

2007년 10월 14일 뱅쿠버국제공항. 폴란드에서 캐나다 뱅쿠버공항에 도착한 한 폴란드 남자가 특별한 설명이 없이 공항에 수 시간 억류되자, 급기야 흥분상태에 빠져 의자를 집어던지기 시작했다. 그를 러시아인('러시아남자=마피아, 러시아여자=매춘부'?)으로 오인한 캐나다 경찰은 테이저건을 뽑아 과히 위험하지도 않은 상황에서 그를 향해 발사하고, 고통에 신음하며 바닥을 뒹구는 남자에게 다시 한번 발사, 그후 경찰 네 명이 그를 온몸으로 눌러서 질식사했다. 당시 공항 대기실에는 이 남자의 어머니가 그를 몇 시간째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 먼저 캐나다에 정착한 어머니와 합류하기 위해 폴란드의 전재산을 정리한 후 캐나다에 입국하는 길이었다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