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예술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나는 스스로를 매우 비예술적 인간이라 생각한다. 여지껏 살아오면서 예술작품이라 불리는 것으로부터 '뒷통수를 내리친다'든지 '온몸이 찌릿하다'든지 하는 감동이나 감탄을 경험해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경험들은 오히려 딱딱하다고 하는 이론서들이나 과학서적에서 자주 느끼는 편이다. 이런 구분이 유효할런지 모르겠지만, 만일 인간이 감성적 인간과 이성적 인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면 나는 분명 후자에 속할 거라고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다.

 

당연히 이와 같은 예술에의 무지 혹은 무감각의 상태로 머무는 것이 좋은 일은 아닐 것이다. 여전히 유효한 구분일지 의심스럽긴 하지만, 만일 이 세계가 이성적 세계와 감성적 세계로 구분될 수 있다면 한쪽 절반의 세계를 놓치는 것일 테니 말이다. 그래서 기회 닿는 대로 이러저러한 작품들, 관련 서적들, 평론들을 접해보려고 노력하는 편이지만, 관심사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는 기회로 삼기 위해 6월의 관심도서는 '예술'을 주제로 골라 본다.

 

 

      

 

 

가장 먼저 고른 책은 <미학 편지>(프리드리히 실러, 휴먼아트)이다.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 이론'이라는 부제 때문이다. 내가 이렇게 비예술적 인간이 된 데에는 '어린 시절 학교에서의 재미 없던 예술 교육 때문'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원망을 가지고 있는 나로서는 '인간의 미적 형성'을 다루고 있다는 소개글에 솔깃할 수밖에 없다. "누구든지 공교육 13년을 마치면 악기 하나쯤은 제대로 다룰 수 있는" 사회라는 이상에 격하게 공감하는 입장에서, 처음 예술을 접하는 초등학생의 자세로 차근차근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요즘 읽고 있는 책 중 하나가 <일상, 그 매혹적인 예술>(에릭 부스, 에코의서재)이라는 책인데, 누구나 가지고 있는 예술적 잠재력을 일상생활에서 펼쳐놓는 방법들을 소개하며 삶이 곧 예술이 될 수 있도록 살아가길 권유하는 책이다. 이 책의 연장선에서 <삶의 미학>(리처드 슈스터만, 이학사)이 눈에 띈다. 책소개를 읽어보건데 두 책 모두 '삶이 곧 예술'이라는 전제를 공유하하고 있는 듯하며, 전자가 그 구체적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면 이 책은 그 이론적 근거들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고른 책은 현대예술에 관한 책이다. 많은 이들이 공감할 거라 생각하는데, 예술과의 거리감은 현대예술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물론 현대예술이 직관적 이해보다는 문제제기와 성찰을 더욱 중시한다는 점에서 작품에서 느껴지는 낯섦은 그들의 의도가 충분히 실현된 것이라 여길 수도 있지만, 나처럼 낯가림이 심한 인간들은 낯선 상황에 부닥쳤을 때 맞서기보다는 도망가기 일쑤이다. 그러므로 일단 안면을 트는 게 중요하다. <현대 예술>(조중걸, 지혜정원)이 그 주선자가 될 수 있을까. '형이상학적 해명'이라는 부제에서 약간 멈칫하긴 하지만 일단 골라본다.

 

앞의 책으로 현대예술을 개괄했다면 다음은 구체적으로 현대 작가와 작품을 들여다보는 일이 필요하다. 마침 베이컨에 관한 책이 있다. 물론 이 책은 베이컨에 대한 친절한 해설서라고 하긴 어렵다.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익히 알고 있듯이, 들뢰즈는 철학자든 예술가든 다른 이들을 다루면서 이를 통해 자신의 사상을 드러내는 방식의 철학하기로 유명하다. 책소개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는데,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저서인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에 대해 "우리를 베이컨의 예술 세계로 인도하는 길라잡이 역할을 하는 책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우리를 들뢰즈 존재론의 핵심에 다가가게 해주는 책이기도" 하며 오히려 뒷부분이 더 중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오래전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를 어렵게 읽었고, 베이컨의 인터뷰집인 <화가의 잔인한 손>을 흥미롭게 읽었던 기억이 있기에 선뜻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고른 책은 <미의 기원>(요제프 라이히홀프, 플래닛)이다. 평소 진화생물학에 관심이 있는 나로서는 "인간 사회와 생물 세계의 진화 과정에서 미가 차지하는 역할을 규명한 역작"이라는 설명당연히 손이 갈 수밖에 없다. 책소개를 차근차근 읽어보면 미의 기원에 대한 생물학적 설명을 시도하면서 자연선택설을 넘어서는 입장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논증을 펼칠지 궁금해진다.

 

이런 책들을 읽는다고 예술적 삶을 살 순 없겠지만, 그래도 아무것도 안 하는 것보단 낫지 않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연 2012-06-06 18: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을 추천하기는 했는데.. 막상 되면 좀 당황할 것 같네요. 내용이 만만치 않아 보여서 말이죠.

nunc 2012-06-07 04:42   좋아요 0 | URL
'이런 기회가 아니면 언제 읽어보겠나' 하는 그런 심정도 있었습니다. 막상 된다면 숙제하듯 읽게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