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한 편의 소설이 되었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그렇게 한 편의 소설이 되었다 - 위대한 문학작품에 영감을 준 숨은 뒷이야기
실리어 블루 존슨 지음, 신선해 옮김 / 지식채널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요새 나온 에세이 책들은 처음부터 차례대로 읽기 보다는 중간중간 읽어도 상관없는 병렬식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긴 에세이라는 것이 원래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위대한 문학작품에 영감을 준 숨은 뒷이야기'라는 부제는 매력적이다. 생각해보니 중고등학교 국어 참고서에는 이런 비슷한 이야기가 박스로 처리되어 종종 실리곤 했는데, 학기 초가 되어 참고서를 사면 가장 먼저 그 이야기들부터 찾아서 읽었다. 작가와 관련된 이야기, 작품의 뒷이야기. 그런 이야기를 참고서에 실었던 이유가 뭐였을까? 그런 이야기가 학생들이 작품에 관심을 폭넓게 갖게 만들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 자체 이야기가 재미있어야 하기도 하지만, 내가 읽은 작품 뒷이야기에 더 눈이 간다. 

이 책은 사람들의 그런 마음을 알아서인지, 원작도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짧은 뒷이야기 뒤로 짧게 요약한 책의 간단한 줄거리가 쓰여 있다. 원작에 나와있으면 몰라도 아니면, 보통 200쪽이 넘는 장편소설들을 한 두쪽으로 요약하는 일이 참 고생스러웠을텐데, 그 요약이 좀 별로다. 

갑자기 문학작품을 5지선다형으로 공부하던 기분을 느끼게 한다. 

병렬식 구조로 된 책은 전체로 한 방향으로 가는 기분이 안 들어서 좀 소품느낌이다. 하지만 나름 이 책은 분류도 해놓고 어떤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 같기도 한데, 이따금씩 내용이 뜬금없다. 어떻게 보면 그 나라에서는 너무 유명한 작품 이야기를 하는 거라 자세한 설명이 안 붙는 건지도 모르겠다. 

가령 모비 딕 설명에서는 268쪽에 허먼 벨빌이 포경선 선원 출신이라고 나오는데, 다시 270쪽에 '멜빌 자신도 잠깐이나마 포경선 선원 생활을 했다.'고 나온다. 그리고 그 사이 이야기는 다른 사람 이야기를 전해들은 일이다. 포경선 선원을 하다 작가 생활을 하게 되는 것, 쉽지 않은 일 같은데, 너무 당연하게 다들 작가가 될 마음이야 품고 있는 거 아닌가 하는 것처럼 넘어가 버린다. 

이런 식으로 읽으면서 궁금증이 생기는 부분이 더 많아지는 작품도 많고 그런 부분에서는 편집이 놓친 것들이 많이 보인다. 

또 정말 이해가 안 가는 건 이런 책은 자기가 읽고 싶은 작품부터 찾아 읽는 경우가 많은데, 페이지가 가운데 그게 한꺼번에 짱박혀 있어서 안 그래도 잘 안펴지는 가운데 부분을 빡빡 눌러야 겨우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디자인으로 그게 탐났어도 이 책을 읽는 독자가 어떤 순서로 읽을지 자연스러운 흐름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거 아닌가. 

하지만 처음부터 유명했을 것 같은 작가들이 작품을 내려고 무수한 출판사에 원고를 보내는 장면은 인상적이다. 대부분 작가 스토리에 그 이야기가 있는 걸 보면 우리 앞에 한 편의 문학작품이 감사하기까지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