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캘리포니아 걸 - 에드거 앨런 포 상 수상작, ㅣ 블랙 캣(Black Cat) 9
T. 제퍼슨 파커 지음, 나선숙 옮김 / 영림카디널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1968년 오렌지 생산이 사양길에 접어든 캘리포니아의 작은 마을에서 한 소녀가 살해되었다. 그 소녀는 아름다웠지만 어린 시절부터 시련을 겪었던 소녀였다. 죽을 때 나이는 열아홉, 죽기에는 너무 아까운 나이였지만 남들이 한 해에 한 살씩 나이를 먹었다면 아마도 그녀는 자라면서 남보다 나이 먹는 속도가 빨랐던 것 같다. 남보다 열배정도로. 그것은 그녀가 겪은 일들과 비례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녀가 살해당했을 때 그녀에게 남은 것은 없었다. 모두가 그녀에게서 단물만을 빨아먹었기 때문에 더 이상 남은 것이 없었다. 그녀의 어머니처럼 그녀도 어쩌면 사랑하는 사람들의 죽음을 두 손으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넘쳤기 때문에 죽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녀의 어머니는 자살을 선택했지만 그녀는 피살을 선택한 것인지도...
그녀의 살인범을 잡으려고 애를 쓰는 형사와 취재하는 기자는 모두 그녀의 어린 시절을 기억하는 이웃이었다. 사이좋은 이웃은 아니었지만 다섯 살짜리 꼬마 여자 아이가 한쪽 눈은 시퍼렇게 멍이 든 채 발레복을 입고 뛰어 다니던 모습을 가슴에 담고 있던 사내아이들이었다. 그들이 잃어버린 것은 그런 그들의 청춘의 추억이었고 그들이 잡으려 애썼던 것도 어쩌면 이제는 남아 있지 않은 청춘 한 조각이었는지 모른다.
이 작품은 매력적인 작품이다. 한 가족의 관점에서 1968년을 기점으로 그 시대를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시대 미국의 보통 가족은 아마도 베커 가족 같은 삶을 살았을 것이다. 베트남전에 참가해서 전사한 아들 한명쯤은 있었을 것이고 공화당원이라면 보수적으로 공산주의자들을 싫어했을 것이다. 아마 조금 더 극우적이지 않았을까 싶다. 그런 부모의 모습이 좋은 자식도 있고 싫은 자식도 있었을 것이다. 비틀즈와 엘비스 프레슬리에 열광하는 여자 아이들도 있었을 것이고 동성애자는 받아들이기 힘들어 숨겨야만 했고 마리화나 냄새와 LSD가 급속도로 히피들과 함께 번지던 시대... 왜 여기에 반전은 없을까? 그 시대 반전 여론도 들끓었다던데 말이다. 그것은 대도시에서나 일어난 일이었을 것이다. 작은 시골 마을은 반전보다는 전쟁 지지를, 지금 미국에서 이라크전을 그래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처럼 그랬을 것이다.
이런 평범함 속에서 추리소설로서의 매력은 묻혀 있는 듯 하지만 그건 결코 아니다. 그 시대에 일어났을 법한 이야기 속에서의 범인 잡기는 이런 것이었을 테니까. 픽션이 논픽션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약간의 어설픔으로 포장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작가가 보여주고자 한 것은 그 시대의 이야기다. 지금도 잊혀 지지 않은, 아니 잊어서는 안 되는, 그러면서 또 다시 되풀이되는 이야기... 캘리포니아 걸은 추억 속에 남아 있는 처음 반한 연예인 같은 존재다. 영원히 잊을 수 없는 죽어서도 가져갈 수밖에 없는 아련한 청춘의 한 자락...
좋은 작품이었다. 추리소설이라기보다는 그 시대의 이야기를 읽고 싶은 독자에게 권하고 싶다. 추리소설에 선입견이 있는 분들, 추리소설에는 반드시 추리만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 다양한 추리소설을 읽어보고 싶은 분들에게 권하고 싶다. 이 책을 읽을 때 60년대 팝송을 들으며 읽어 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