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테의 모자이크 살인
줄리오 레오니 지음, 이현경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다시는 에코와 비교하는 작품은 절대 읽지 않으리라 다짐을 하게 해준 아주 고마운 책이다. 세상에나, 단테의 <신곡>을 본 사람만 보라고 하던지 아니면 추리 소설을 가장한 단테 이야기라고 하던지 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살인 사건만 등장하고 탐정이 범인만 잡으려 동분서주하는 것이 추리 소설이라고 말한다면 할 말은 없다. 하지만 그건 정말 추리 소설을 모욕하는 행위다. 단테가 탐정으로 등장하기만 하면 좋은 역사 추리 소설, 에코의 <장미의 이름>을 능가하는 작품이 된다고 생각했다면 다시 한번 말하지만 에코에게 고소하라고 전해주고 싶다. 정말 에코는 뭐하나 몰라. 이런 사람 단속 안하고...
하긴 이런 건 모두 출판사와 편집자의 독단적 행동이니 작가에게 뭐라고 할 건 아니다. 그런데 이 작품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작품이다. 어떤 작품이라고는 얘기하지 않겠다.
솔직한 심정으로는 이 작품보다 <카르티에 라탱>이 더 낫다.
살인 사건이 일어나고 사건을 처리할 위치에 있는 단테가 그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애를 쓴다. 그때 정체불명의 이상한 이들이 등장하고 그들은 5라는 숫자에 대한 암시를 단테에게 한다. 그리고 대립관계에 있는 교황파와 황제파, 흑당파, 백당파... 그 사이 정체불명의 여인이 등장하고 또 다른 살인이 일어나는 가운데 단테는 어느새 사건을 휘리릭 해결한다.
이 책을 보고 이쪽도 당파싸움 엄청 했군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만이 아니라...
단테가 등장하니까 마치 작가든, 단테든, 단테의 신곡을 염두에 둔 모양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단테가 신곡을 썼을지도 모른다는... 단테가 진짜 그랬을지 어땠을지 모르겠지만 말하고 싶은 것은 단테의 <신곡>을 보지 않은 사람은 이 작품을 가급적 읽은 후에 보시라는 당부를 드리고 싶다.
정말 리뷰 쓰기 싫었는데 참고 썼다. 이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