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이커가의 살인 - 셜록 홈스의 또 다른 이야기
아서 코난 도일 외 지음, 정태원 옮김 / 자음과모음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짝퉁 홈즈도 홈즈다. 나는 셜로키언은 아니다. 세상에는 도일이 떠나고 진짜 홈즈를 더 이상 볼 수 없게 된 지 오래 되었는데도 아직 홈즈를 좋아하는 셜로키언들이 많다. 마치 라스베이거스에서 짝퉁 엘비스 프레슬리를 볼 때 엘비스팬들이 느끼는 감동이나 감정이 이러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다른 작가들이 계속 홈즈를 재탄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래도 좋아하니까. 물론 뤼피니앵인 나로서는 씁쓸한 일이지만 한편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나는 반기게 된다. 왜 루팽은 다시 만드는 이들이 적은 거냐고...
각설하고 단편들은 홈즈를 등장만 시켰을 뿐이고 그 시대를 무대 장치로 썼지만 원조 홈즈의 맛을 내기에는 조금 부족했다. 잘 살펴보면 뭔가 모를 이질감을 느끼게 된다. 그것은 그 시대에 살던 도일이 그 시대를 자연적으로 받아들여 홈즈에게 자리를 마련해준 것과 달리 이들은 살아보지 못한 시대를 작가의 능력으로, 홈즈의 연구로 채워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작가마다 특성이 있어 자신의 색깔이 홈즈에 덧입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홈즈를 원조와 다른 짝퉁으로 확연히 드러나게 만든다.
그런데 이런 점을 생전에 코넌 도일은 문제시 하지 않았다. 누가 자신의 홈즈를 어떻게 만들던지 그것은 그 사람이 알아서 할 일이라고 했다. 홈즈에 대한 애정이 없었던 걸까? 아니면 그만큼 홈즈에 대해 자신이 있었던 걸까? 분명한 것은 그가 죽어서도 이런 점은 문제시 하지 않을 거라는 점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짝퉁 홈즈를 만들어 내도 독자는 안심하고 볼 수 있다. 엘리스 피터스처럼 사후 캐드펠 수사를 다른 작가들이 사용할 것을 우려해서 유언에 사용할 수 없게 만들었는데도 불구하고 다른 작가가 캐드펠 수사를 재탄생시켰다면 아마 캐드펠 수사를 좋아하는 독자는 무척 씁쓸했을 것이다. 캐드펠 수사를 보고 싶은 마음보다 그를 엘리스 피터스처럼 지켜주고 싶은 마음이 더 클 테니까.
그런 점에서 보면 마음 넓거나 무심했던 코넌 도일에게 감사해야 할 것 같다. 이 단편집은 그런 관점에서 그저 홈즈를 좋아하는 사람들과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게 홈즈를 다시 볼 수 있게 해주는 의미 그 이상은 없는 작품이다. 홈즈가 있지만 거기에 홈즈가 아닌 다른 누군가가 있어도 상관없는... 그래도 이런 셜로키언들이 볼 수 있는 작품들이라도 많이 보고 싶다. 왜? 추리소설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