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점선의 그림에 녹아있는 여유를
눈이 부시게 푸르른 5월에 누려보고 싶다.

여백, 여유, 휴식.
김점선의 한없는 공간의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대원 선생님 그림의 색감이 너무 좋다.
이번에 5년만에 개인전을 하신다고 하는데,
가보고 싶다.

같이 갈 사람 손들엇~!!


때 * 5월 19일 ~ 6월 5일
곳 * 사간동 갤러리 현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렸을때는 국화꽃이 참 싫었다.

'花無十日紅'이란 말을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 꽃들이 좀 더 고고하게 보였나보다.

청춘이 짧아서 인생에 있어 빛나는 것이고,
첫사랑이란 이뤄지지 못해서 더욱 아름다운 것처럼
꽃은 금방 시들어버려서 더 애절한 줄 알았다.

그런데 지금은 보는 눈이 달라졌다.
장미꽃은 비소(鼻笑), 백합꽃은 비소(妃笑),
수선화는 미소(美笑), 국화꽃은 미소(微笑)처럼 보인다.

웃는 여잔 다 이쁘다는 김성호의 노래처럼,
웃는 꽃은 다 이쁘다.

거기에는 고저, 경중은 없고
다만 색깔이 다른 아름다움만 있을 뿐이다.


* KS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추상은 저절로 그렇게 되어 가는 거야.
글씨를 많이 많이 쓰면 초서가 되듯이.
팔십에 이른 운보가 추상으로 접어드는 것같이.
난 추상 그 자체가 이즘, 즉 어떤 운동일 수는 없다고 생각해.
처음부터 추상으로 출발하는 건 머리만 가지고
그림을 그려 대는 일이지"

변종하 선생님의 말이다.

피카소는 물론 그 말에 입각한 경지에 이른 화가라고 하지만,
바스키아는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맨드라미 그림이 잘 그려지지 않으면 맨드라미를
씹어먹을 정도로 열중했던 르누아르의 그림은
둥글고 따뜻하다.

그래서 봄에 썩 잘 어울리는 느낌이다.

그림도 둥글고,
색채도 둥글고,
영감도 둥글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