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 책과 혁명에 관한 닷새 밤의 기록
사사키 아타루 지음, 송태욱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읽고, 쓰고, 고쳐 읽고, 쓰고, 또 읽자.

 

자칭 오독의 여왕이라 말하고 다닙니다만, 이렇게 써놓고 보니 여왕이란 칭호는 꽤 거슬리네요. 오독의... 무엇이라고 해야할까요? 어쩌거나 저는 책을 제 멋대로 읽는 데 선수인 사람입니다. 그래서 생각보다 자주 책을 오해하고, 책과는 상관없이 토라지거나 책이 말하고자 하는 큰 줄기와는 상관없이 지엽적인 어느 부분에서 혼자 크게 감동받고 가슴 벅차할 때도 많습니다.

난독증이 있는 것은 아닐까, 고민하고 있었는데

이유는 다른 데 있었군요.

 

책을 읽는 것이 주는 무게가 상당하고, 책(텍스트)을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 만만치 않은 일이라, 무의식의 검열이 쉴 새 없이 일어나고 있는 거였습니다. 이 책에 의하면, 그렇습니다. 물론, 이 것도 서문에서 다룬 것이니 책의 전체적인 주제와는 조금 다를 수 있겠습니다. 네, 저 같은 사람도 하나 정도 있어줘야, 책을 완벽히 이해해야만 한다는 압박에서 조금 벗어날 수 있지 않겠습니까?

 

텍스트가 주는 혁명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책이었습니다. 믿음은 들음에서 난다는데, 읽어서는 혁명이 일어나는 군요. 그동안 자연스럽게 진행되었다고 생각했던 제 속의 놀라운 의식의 변화를 더듬어 봅니다. 그저 시키는 대로 공부하고 어른들이 싫어하는 곳엔 가지 않고, 싫어하는 일은 찾아서 하지 않던, 재미라고는 TV보고 영화보고 책 읽는 게 다 였던 학생시절의 저와 지금의 저는 정말이지 대척점에 서 있다고 해도 거짓은 아닐 정도로 다른 생각을 합니다. 그 가운데 무슨 일이 있었나 생각하니, 네, 그래요. 책이 있었습니다.

 

들입다 외우는 게 중요하다고 배웠던 때보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책을 쓴 사람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지 알기 위해 애쓰던 때가 더 소중한 기억으로 남아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먼저 책을 읽어온 선배와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더 깊이 책을 읽고 책과 씨름하는 법을 배운 게 아닌가 해요.

 

혁명사라고 해야겠지요. 사사키 아타루가 자분자분하게 설명했을 것만 같은 느낌이 드는 문장을 따라 사사키 아타루의 세계로 들어가보니, 유혈이 낭자한 것과는 조금 다르지만 그보다 훨씬 더 변혁적인 혁명이 기다리고 있더군요. 새롭다는 생각을 하며 그저 따라갔을 뿐인데, 이제는 저더러 저만의 혁명을 생각하라고 등 떠밉니다.

 

큰 학문을 가르친다는 대학조차 직업준비학교로 변신하여 학생들에게 외우고 써먹으라 가르치는 요즘. 하루에도 몇 권씩 쏟아져나오는 모든 책을 읽어버리겠다는 불가능한 다짐은 접어두고 한 권의 책을 진득하게 읽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조심스럽게 펼쳐보길 바랍니다. 뭔소리지 모르겠다, 졸리다, 어렵다는 생각이 들어도 오히려 좋은 적수를 만났다 생각하며 한 문장 한 문장 눈으로 밟아보는 거예요. 거칠다 싶으면 자리에 앉아 뚫어져라 쳐다보아도 좋겠지요. 조금씩 자라가는 우리 안의 혁명의 씨앗이 언젠가는 우리를 변화시킬 겁니다.

글은 힘이 있습니다. 있더라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