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을 위하여]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김수영을 위하여 - 우리 인문학의 자긍심
강신주 지음 / 천년의상상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이 광고를 보고 여러분이 해서는 안 되는 말씀은, 저도 김ㅇㅇ 비타민 주세요, 입니다.
우리는 정말 그렇게 산다. 누구 머리, 누구 옷, 누구 가방. 멘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김누구를 존경하는 내 조카는 김누구가 되는 게 꿈이다. 어쩌면 김누구의 직업을 꿈꾸는 지도 모른다. 김누구의 인기를 원하는 지도 모를 일이지. 그러나 이 책은 김수영을 읽고 김수영이 되어야 겠다, 라거나 이 책을 읽고 나도 강신주같이 되어야 겠다고 생각하지 않기를 강조한다. ‘김수영처럼’, ‘강신주처럼’이 아니라 지금 여기 세상에 똑하고 떨어진 나, 바로 나답게 살아야 한다고 말하는 책을 만났다.
지극히 편파적인
문학적 감수성이 툭툭 불거져 나오는 이 책은 철학자의 언어로 가득하다. 철학이란 과연 이런 것인가. 사람의 중심을 더듬거리며 찾아내고는 기어코 중심을 잡고 흔들어 댄다. 철학과 문학의 접점이 이런 것이라면 나도 해내고 싶다.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이룬 글을 써내고 싶다. 김수영이 시인이고 강신주는 철학자다. 그렇다면, 나는? 내가 잘 할 수 있는 장르라면 장르가 주는 한계란 처음부터 없는 건지도 모른다. 글이 아니어도 괜찮다. 다만 조금도 꾸미지 않은 내 모습 그대로, 나답게 살아내는 게 중요하다.
김수영의 삶, 김수영의 글. 모든 곳에서 강신주의 팬심이 느껴진다. 이 때문에 우리는 김수영을 더욱 깊이 만날 수 있다. 팬미팅을 마치고 조금이라도 더 좋은 표현을 궁리한 느낌이 강한 이 글은, 읽는 나마저도 김수영의 깊은 데를 보는 기분이다. 자유를 향한 열망, 역사 속에서 개인이 더욱 개인으로 서 있을 수밖에 없게 만든 사건들, 시인의 감성이 철학자의 언어로 변하여 나에게 닿는다. 아, 글이란 이런 것이 아닐까. 읽는 이에게 복잡한 질문 하나 던지고 유유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깊게 파고들어 갈 수 있게 안내하는 것, 저자의 깊은 속내이기에 문장은 편파적일 수밖에 없는 지도 모른다. 색채가 분명할수록 단독성을 지닌다. 그런 문장을 따라 멈추지도 못하고 따라 들어가면 어느새 저자와 함께 막장에 서 있는 기분을 주어 함께 고민하게 한다. 진한 땀을 한 바가지 흘리며 곡괭이질을 하고 나면 어느새 새로운 깨달음이 하나 남는 것이다.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김수영의 시는 강신주의 글을 이끌어냈다. 이것이 나에게는 나만의 글을 쓰는 문제로 이어졌다. 다른 누군가에게는 자신만의 음악, 회화, 삶에 대한 욕망을 불러 일으킬 것이다. 자유에 대한 열망은, 단독자로 서 있고 싶은 욕망은 생득적인 것이나 살아가면서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억압되는 것일 뿐이니까. 그래서 나는 지칠 때마다 채찍을 맞는 팽이 말고 춤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너도 너만의 춤을 추어라.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그 누구도 닮지 않는 그런 자기만의 춤.
또한 내가 싸워야하는, 그림자 없는 적을 떠올리게 되었다. 뿌연 유리창같은 적이다. 우리를 흐릿하게 만들어버리는 적이다.
대입, 취업, 결혼, 육아에 경쟁적으로 뛰어드는 사람들과 자신을 혹사하지 않으면 기다렸다는 듯이 죄책감에 빠뜨리고야 마는 세상 때문인지, 지쳐서인지 나는 한참동안 흐릿하게 사는 방법을 고민해왔다. 쿨하고 시크한 게 자랑이라도 되는 듯, 치열하지 않은 것이 좀 더 어른다운 것인냥 살아왔는데, 그게 아니었다. 치열해야 한다, 치열하되 무엇을 위해 치열하게 살아야 할 지 알아야만 한다. 다만 우리는 스스로 돌기 위해 치열해야 한다. 목적 없는 치열은 위험하다, 방심하는 순간, 우리는 세상이 요구하는 무엇에 나의 치열함을 쏟게 되어버린다. 지금 이 사회는 우리의 목적을 하찮은 것으로 폄하하고 표피적인 것에 맹목적으로 달려들라고 강요한다. 여기에서 벗어나야겠다. 곧은 소리가 곧은 소리를 부르듯, 강신주의 책이 엇길로 걸어가는 나의 뒷채를 잡고 흔든다. 그래, 나를 건너 곧은 소리가 이어질 수 있다면 그 얼마나 좋으랴, 그러니 나도 김일성 만세. 김일성 만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