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16일 오후 5시 리틀엔젤스 예술회관에서 펼쳐진 2005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POS의 박성준과 프로게임단 G.O가 e-스포츠 진흥상을 수상했다. 박성준은 현재 KeSPA 프로게이머랭킹 1위를 9개월간 지켜오고 있으며 올해 EVER 2005 스타리그 우승을 거머쥔데 이어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에서도 팀의 에이스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G.O는 WCG 2005 우승자 이재훈을 비롯해 우주닷컴 MBC게임 스타리그 우승자 마재윤, 퍼펙트 테란 서지훈 등 스타급 선수이 소속,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2위를 달리며 유력한 우승후보로 떠오르고 있는 상태다.


박성준과 G.O 모두 상을 받을만한 프로게이머와 프로게임단이다. 문제는 e-스포츠 진흥상이 모두 스타크래프트에 집중돼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억원에 가까운 상금을 획득하며 역대 연간 프로게이머 상금 순위에서 당당히 1위를 차지한 장재호의 경우 아예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


워크래프트3에서 장재호의 위상은 대단하다. 바둑으로 따지자면 이창호가 국제기전에서 연이어 우승을 차지하며 '바둑의 신'이라며 사람들의 극찬을 받을 때와 비견될 정도. 유명한 유럽의 e-스포츠 커뮤니티인 SK-Gaming조차도 유럽 선수가 아닌 한국의 장재호를 세계 랭킹 1위로 꼽을 정도지만 국내에서의 대우는 터무니없을 정도다. 스타크래프트가 대기업 스폰서를 받는 프로게이머가 다수인데 비해 장재호의 경우는 후원조차 받지 못하며 무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는 상황.


이러한 푸대접은 다른 e-스포츠에도 마찬가지다. 카운터스트라이크, 스페셜포스나 카트라이더 역시 마찬가지. WCG, ESWC, ACON5에서 좋은 성적을 올렸던 루나틱하이와 WEG에서 세계 최고의 팀을 격파하며 준우승을 차지한 한국의 위상을 알린 project_kr, 카트라이더의 황제로 군림하고 있는 김대겸 역시 이러한 상과는 전혀 인연이 없다.


한국이 e-스포츠 종주국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세계대회에 영향을 끼치거나 기준을 확립한 적은 단 한번도 없다. WCG의 경우 주관사인 ICM이 한국에 위치하고 있기에 영향을 받았을 뿐 사실상 한국의 e-스포츠 시스템이나 모델이 직접적으로 적용된 적은 없는 상태. 실제로 세계적인 대회들을 봐도 그 사실은 확인된다. FPS의 대표 세계대회인 CPL이나 e-스포츠 월드컵으로 불리우는 ESWC, 2004년부터 시작된 ACON4 등에서 한국이 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단지 WEG만이 한국의 시스템을 전파하고 있지만 이 또한 스타크래프트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국내에서는 외면받으며 2번이나 중국에서 결승을 치를 수 밖에 없었다.


기자는 프로게이머라는 말에 가끔 의구심을 던진다. 사실 국내에서 스타크래프트를 제외한 나머지 프로게이머들은 아마추어나 다름없는 대접을 받고 있다. 일부의 팬들은 프로 의식이 없다고 꼬집지만 프로다운 대접은 전혀 없는 마당에 그들에게 프로 의식만을 요구한다는 것은 무리다. 국내에서 e-스포츠는 곧 스타크래프트가 된 지 오래다. e-스포츠 강국이라고 말하지만 사실상 스타크래프트 강국인 것이 현실이다. 프로게이머 공인 랭킹 역시 스타크래프트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대로라면 세계적으로 e-스포츠가 새로운 컨텐츠로 자리잡는다고 해도 한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고 대중적인 게임은 카운터스트라이크와 워크래프트3지만 스타크래프트만이 e-스포츠인 한국이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CPL과 ESWC같은 세계대회들이 연합한다고 했을 때 한국이 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올해 열렸던 한중국가대항전인 CKCG와 WEF에서는 스타크래프트 외에 워크래프트3와 카운터스트라이크가 함께 치뤄졌다. 그러나 KeSPA컵에서 두 종목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국가대항전에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치뤘지만 국내 대회에서는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한 것. 세계적인 추세와 역행하고 있는 결과다. 실제로 CKCG와 WEF에서 중국 팬들에게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것은 스타크래프트 게이머들이 아닌 장재호였다.


물론 스타크래프트만큼 워크래프트3와 카운터스트라이크 등 다른 종목을 대우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다른 종목들의 저변이 스타크래프트와 비교했을때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저변을 비교하기에 앞서 먼저 이들 종목들을 육성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과거 하키나 핸드볼처럼 올림픽때만 관심을 가지고 이후에는 철저히 무관심을 받는 경우가 e-스포츠에서 만큼은 보이지 않았으면 좋겠다.


 


정재욱 기자 pocari@e-zen.net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외로운 발바닥 2006-01-01 1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워3를 좋아하는 유저로서(사실 이 글과 상관없이 충동적으로 엉성하게 편집작업을 하여 서재 이미지를 바꾸었는데 공교롭게도 이 글을 올리는 시점에 서재 이미지가 워3가 되었다..) 온게임넷을 포함한 게임방송사들의 스타편중현상은 이제 욕하기도 지겨울 정도다. 아직까지는 스타가 건재하고 엄모 해설위원처럼 스타가 바둑과 같이 영원한 스포츠로 남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언젠가는 e-sports계에 큰 위기가 분명히 올 것이라 생각한다. 그때가서 지금까지 묻혀온 수많은 목소리를 스스로 내면서 한탄하는 척 할 것인지...
 

‘굳세어라 금순아’, ‘어여쁜 당신’ 대한민국 시어머니는 다 그래?
<뉴스엔=문미영 기자>

고부갈등’에 대한 화두는 드라마의 소재로 끊임없이 사용된다. 최근 드라마 속에 나오는 고부관계는 과거의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보여줬던 일방적인 모습과는 차이가 있다. 급기야 최근에는 아이를 다치게 한 시어머니에게 손찌검을 하는 며느리의 모습까지 방송되었으니 과거와 현재의 고부관계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최근 MBC 일일연속극 ‘굳세어라 금순아’와 KBS 1TV 일일연속극 ‘어여쁜 당신’에서 보이는 고부간의 관계는 다시 과거로 회귀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더욱이 최근 아이를 볼모로 한 시어머니의 월권에 대해 시청자들은 강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굳세어라 금순아’는 최근 금순(한혜진 분)이 재희(강지환 분)와 본격적인 사랑의 불을 지피고 있는 가운데 금순의 시어머니(김자옥 분)가 그 사실을 알게 됐다. 이에 금순의 시어머니는 금순에게 냉랭한 태도를 보이며 금순에게 아들 휘성을 두고 나가라고 한다.

드라마 속에서는 시어머니 앞에서 금순이가 보이는 모습은 일방적인 약자. 남편 없이 시부모를 모시고 아이와 함께 살던 금순에게 새로운 사랑은 시부모에 대한 배신이고 아이 휘성에 대한 포기를 의미한다.

이에 대해 시청자들은 금순을 보내야 하는 시어머니의 마음을 이해하지만 한편 가족이라고 해도 시어머니는 시어머니일 수밖에 없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또 휘성에 대한 양육권까지 두고 가라는 시어머니의 말에 시청자들은 더욱 아연실색했다.

시청자들은 홈페이지 게시판에 “정심여사(김자옥 분)은 이기적이다. 드라마에서 휘성을 보지 않겠다고 하고 절절한 애정도 드러내지 않는데 이제 와서 아이를 무기로 금순의 발목을 잡는다”, “제발 시어머니가 악악대는 건 그만 나왔으면 좋겠다”며 시어머니의 행동에 대해 불만을 나타냈다. 또 시청자들은 “결국 시어머니는 시어머니 일 수밖에 없구나”, “아무리 친가족처럼 지내도 시자가 붙으면 어쩔 수 없다”며 시집, 시어머니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나왔다.

한편 드라마 ‘어여쁜 당신’에는 인영(이보영 분)과 기준(김승수 분)을 이혼하게 만든 장본인으로 시청자들의 많은 비난을 샀던 인영의 시어머니 옥진여사(박원숙 분)가 있다.

최근 인영이 재민(이창훈 분)과의 재혼을 앞두고 기준의 아이를 임신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옥진여사는 아이에 대한 집착을 보이기 시작했다.

박원숙은 드라마에서 인영이 아이를 낳지 못한다는 구시대적 칠거지악(七去之惡)으로 며느리를 쫒아 냈었다. 그후 박원숙은 새로 들인 잘난 집 며느리로 인해 시어머니 며느리의 구도가 역 수직관계로 바뀌는 봉변을 당하기도 했지만 인영의 임신으로 인해 공격력을 회복한다.

‘어여쁜 당신’에서 박원숙은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손주에 대한 집착으로 인영의 인생에 다시 한번 태클을 걸기 시작했다. 여기서 안타까운 사실은 이미 인영은 이혼을 한 상태이지만 기준의 아이라는 사실 때문에 옛 시어머니의 공격에 무방비한 약자가 된다는 점이다.

가족이라는 소재는 드라마에서 끊임없이 다뤄지고 있는 스테디셀러다. 그중 시어머니와 며느리 그리고 아이의 문제는 스테디셀러 중 베스트셀러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하고 사람이 변화하는 시점에서 업그레이드 버전 없이 고래적 소재를 반복 재생하는데 시청자들은 거부반응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요즘 시대를 살아가는 쿨한 시어머니들이 얼마나 많은가?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추지 못하고 늘 반복되는 인물 상을 찍어내는 드라마에 시청자들이 나타내는 불만은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mymoon@newsen.co.kr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외로운 발바닥 2005-09-13 2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여쁜 당신'을 아주 가끔씩, 채널을 돌리다가 보곤한다. 가끔씩 보았는데도 볼 때마다 박원숙이 맡은 시어머니 역은 정말로 짜증이 난다. 저런 시어머니도 있을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과 함께, 실제로 저런 사람이 있다면 정말로 때려주고 싶다는 생각까지 든다. 아들을 낳은 어머니라는, 나이가 많은 어른이라는 평생의 선천적 지위 하나만으로 나와 내 가족 아닌 다른 사람의 인생에 그처럼 무지막지한 태클을 걸 수 있는 것인지...물론 걸 수 없다. 다만, 그런 시어머니역을 설정한 작가는 머릿속에 뭐가 들었나 싶다. 그렇지 않아도 심각한 우리 사회의 고부갈등을 부추기려는 생각이 아니고서야 어떻게 그렇게 무지막지한 시어머니상을 드라마에서 그릴 수 있는 것인지...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 억지를 계속 쓰다 보면 때로는 그것이 옳은 말처럼 들릴 때가 있다. 현실에서도 그런 일은 종종 있다. 하지만, 드라마에서 어거지의 극을 꼭 보여줘야 할 필요가 있을까?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