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 읽는 옛집 -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왜 건축에 중독되었는가?
함성호 지음, 유동영 사진 / 열림원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학적이다. 느낌이.

조선시대 지배계층의 집짓기와 그들의 삶과 철학에 대한 이야기.

그런데 정말 그들이 그런 철학을 담아 집을 지었을까? 근거가 있는 분석을 바탕으로 한 글일까라는

의문이 든다. 그러나  그들의 철학이나 사상에 대한 분석은 나름대로 근거를 가진 것 같다. 주로 지배층이 권력에서 밀려나서 칩거하면서 지은 집들에 대한 에피소드와 그들의 삶과 철학이 그려지고 있는데, 권력에서 밀려난 지배 엘리트의 유배(??) 생활에도 이런 집들을 과연 철학을 담아 지었는지, 지배권력에서 밀려나서 재야로 칩거하면서 민중의 삶에 관심을 가졌을까? 갑자기 든 의문이다. 정약용 정도가 하층 민중들 삶속으로 들어가보고 거기서 인생과 철학, 자신의 사상의 맷집을 키운 인물인것 같다. 일단 책속의 내용들로 보면... 실제로도 그랬을것 같고. 이때까지 내가 알고 있는 조선 역사에 있어서의 이언적, 이황, 남명등등의 인물들은 지배계층의 한 부류로 태어나, 권력에 근접해 있었건 , 거리를 두고 있었건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어갔던 중심인물들이고 , 이후의 사대부 양반들은 아예 왕권보다 우위의 권력을 위해 물불 안가리던 시대로 들어갔고 , 그이후에는 아예 사대부들끼리에도 더 좁혀 몇몇 세도가들이 권력을 독점하게 된다.

 지금의 21세기 대한민국은 ...

아마도 몇몇 자본권력에 의해 권력이 독점된 상태다.

조선의 모습이나 21세기 대한민국의 모습이나...  몇세기가 지난뒤에 한남동의 이건희 집, 리움미술관, 조선일보 방씨일가의 집을 보고서도 이런 책이 나오지 않을까?

 내가 너무 색안경을 끼고 책을 읽나 ...

하여튼 ... 이책은 저자가 현학적으로 살고 있다는 느낌과 뭐 저자의 자유이긴 하지만.... 나의 고건축에 대한 이해가 아예 기반이 없기에, 책속에 나오는 집들이 과연 저자의 말처럼 그 집주인의 철학과 사상을 온몸으로 보여주는 것인지는 의문스럽다. .

 하긴 담양의 소쇄원에서는 자연과 어울리려고 노력한 조선 정자의 모습은 조금 느꼈다. 그날의 분위기가 그렇게 만든 것일수도 있고. 초여름 부슬비가 안개처럼 내리던 날 소쇄원의 작은 연못을 보고 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파트와 바꾼 집 - 아파트 전문가 교수 둘이 살구나무 집 지은 이야기
박철수.박인석 지음 / 동녘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마당 있는 집을 동경하다가 드디어 마당있는 집을 직접 지어서 살아가는 두 건축 전공교수의 집짓기 과정의 이야기. 서울 혹은 수도권( 위성도시정도 되겠다)에서 중형 아파트를 팔면 실제로 마당있는 자기 집을 지을 수 있다는 것을 몸으로 실천하면서, 장사집과 작품집의 중간 정도의 실용적인  집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집을 지으면서 겪게되는 여러가지 문제들, 설계, 시공업체 선정, 비용, 그리고 각 건축과정에서의 이해관계자들의 협의 과정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서

실제로 자기집을 짓고 싶은 사람들에게 사전 준비 지식을 많이 알려주고 있다.

  문득 저자들이 추구하는 중산층이 서울에서 아파트를 팔면 충분히 집을 , 그것도 싸구려 장사집이 아닌 작품같은 집은 아니지만 그것에 버금가는 품격과 실용을 갖춘 집을  가질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려는 노력은 가상하나, 자신들이 표현한바와 같이, 8억/ 11억의 집을 가진 중산층이 과연 얼마나 될까.

 그리고 현직 건축 관련 교수로서 가진 인맥( 설계를 맡은 건축가)들의 기여는 모든 일반 시민들이

가질 수 있는  조건은 아닌듯 싶다. 상당히 많은 대도시의 사람들이  아파트가 아닌 마당있는 집을

꿈꾼다 . 진짜 꿈꾼다. 저자들 말처럼  서울의 아파트를 팔고서 조금만 시야를 넓히면 충분이 그런 집을 지을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한다. 여러가지를 .. 저자들이 지적한 것 보다 훨씬더 많은 것을.

 마당있는 집을 꿈꾸기 전에 자신들의 삶의 가치를 먼저 정리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저자들은 삶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경제력과 제반 조건들로 기존의 삶의 터전에서와 거의 비슷한 삶이 가능한 조건을 가진 극히 일부일 수 있는 조건이라는 생각도 든다.

 일반 사람들이 자기 집을 갖고자 한다면 장기 프로젝트로 준비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다. 저자들이 몇년간의 준비과정을 통해서 집을 지어가듯이 , 일반인은 몇배의 시간을 들여서 여러가지 준비를 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