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의 멋진 사진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1972년 아폴로 17호에서 찍은 지구 사진.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 바로 아래로 남극이 보인다.

 

남극에 갔을 때 나는 바로 이런 각도에서 달에 있는 누군가가 지구를 내려다보고 있을 거라는 상상을 했었다. 그 사람이 한 남자가 온종일 남쪽을 향해 혼자 걸어 아무것도 없는 새하얀 세계 속으로 들어가 저녁에 텐트를 치는 모습을 볼 것이라고. 하루하루, 매주 변함없이 말이다. 달에 있는 누군가는 이 남자를 보며 바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다 그 사람은 한참 북쪽으로 시선을 돌려 한 명만이 아닌 수천 명의 사람이 아침 일찍 그들의 작은 집을 나와 오 분 혹은 한 시간씩 앉아서 혹은 서서 줄을 지어 있다가 큰 건물에 도착하는 모습을 본다. 그리고 거기서 매일 같이 여덟 시간 혹은 열 시간을 지내다가 또다시 똑같은 줄을 거쳐 그들의 작은 집으로 돌아가 저녁을 먹고 텔레비전 뉴스를 보는 생활을 반복하는 모습을. 일주일에 닷새, 매년 48주 동안 변함없이.

 

그 시간 동안 다른 점이 있다면 가장 열심히 노력하는 이들이 결국 남들보다 조금 더 큰 집을 갖게 되는 것일  뿐, 아침에 그 집을 나서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이런 생각을 하자 나는 더 이상 나 자신이 바보 같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 엘링 카게 지음, '생각만큼 어렵지 않다' 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낙원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다.
낙원에서는 모든 꿈이 현실이 된다. 모든 것이 완벽하다.
사람들은 아무런 위험도 없는 낙원 같은 세상을 꿈꾼다.
그러나 낙원은 지루하다. 우리 인간에게 맞지 않는다.
우리는 꿈을 이루기 위해 위험을 감수한다.
위험과 도전은 의미를 부여하며, 살아있음을 근본적으로 느끼게 한다.

 




- [생각만큼 어렵지 않다] 엘링 카게 -

 
 

다이아몬드 세공사는 거친 돌을 아름다운 다이아몬드로 만듭니다.
도예가는 점토를 멋진 꽃병으로 만듭니다.
세상이 모두 완전하다면 다이아몬드 세공사나 도예가는 필요 없을 것입니다.
회사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것이 완벽하고 바뀌어야 할 것이 아무것도 없는 조직을
찾아다니는 것이 아니라,
어렵고 힘든 과정을 거쳐 멋진 조직을 만들어가는 것이 바로 우리의 일입니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http://www.happyceo.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네 번째 탐험가이야기에서 소개해 드릴 인물은 어네스트 섀클턴입니다.

 

일단 백과사전의 이력부터 볼까요?

 

 



 

 

어니스트 섀클턴 [Ernest Henry Shackleton, 1874.2.15~1922.1.5] 

 

영국의 남극 탐험가. 1909년 남위 88°23'에 도달, 당시까지 인류가 도달할 수 있었던 최남단에 이르렀다. 이 탐험에서 남자극 발견, 에러버스 화산 조사 등 학술상 귀중한 자료를 얻었다.

 
아일랜드의 킬키어 태생이다. 덜위치칼리지를 졸업하고, 1901년 로버트 스콧(Robert F. Scott)을 따라 남극을 탐험하였다. 1907년 탐험대를 조직하여 님로드호(號)로 남극 탐험에 나섰다. 1909년 1월 9일 남위 88°23'에 도달하여, 그때까지 인류가 도달할 수 있었던 최남단에 이르렀다. 이 탐험항해에서 남자극(南磁極)을 발견하였고, 에러버스 화산(火山)을 조사하는 등 학술상 귀중한 자료를 얻었다. 이 탐험의 공로로 1909년 11월 9일 에드워드 7세의 탄생기념일에 기사 작위를 받았다.
1914년 인듀어런스호로 재차 남극을 탐험했으나 중도에 웨들해(海)에서 빙산을 만나 난파, 선원 5명과 함께 6.6m 길이의 작은 보트를 타고 1,280km 떨어진 사우스조지아섬으로 구조를 청하러 가, 엘리펀트섬에 남겨두고 온 전 승무원을 구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1921년 3번째로 탐험대를 이끌고 남극으로 향했으나, 중도에 사우스조지아섬 앞바다에서 심장병 발작으로 죽었다. 왕립지리학회 외에 많은 상을 받았다. 저서에 《The Heart of the Antarctic》(1909), 《South》(1919)가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사실 사전상의 이력만 보면, 앞서 소개했던 과거의 위대했던 탐험가 로알 아문센이나 로버트 스콧에 비해 약간은 초라해 보이는 것 같기도 한데요, 신체조건도 강하지 않았고, 당시에는 명성도 없었으며, 남극 탐험에 도전했다가 실패한 경험도 있었던 섀클턴이 역사상에 손꼽히는 위대한, 신이 내린 리더라고 평가 받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역사속 9인의 리더에게 배우는 서른살 리더십'에 실려있는 섀클턴에 관한 글을 찾아보았습니다.
 
 


 

 

 



 

어려움이 따랐지만, 순조로운 항해였다. 남극권에 들어설 무렵까지만 해도 섀클턴과 탐험대원들은 자신들에게 어떤 고난이 닥칠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자신들의 배가 거대한 부빙에 갇혀 난파되고, 그 후로 2년에 가까운 세월을 혹독한 추위 속에서 살아내야 한다는 사실을 말이다. 인듀어런스 호는 목적지를 150km 앞두고 얼어붙은 바다에 갇히고 침몰하고 만다. 그리고 섀클턴과 선원들의 생존과 귀환을 위한 사투가 시작되었다.

신이 내린 리더라고 불리는 섀클턴의 리더십은 이때부터 발휘되기 시작했다. 섀클턴은 난파된 선실을 개조하고 ‘리츠’라는 고급 호텔의 이름을 붙였다. 배를 수리하고, 요리를 하고, 개를 훈련시키고, 과학자들은 연구를 진행하도록 했다. 사람들 대부분이 절망에 빠졌을 때 일을 손에서 놔버리게 되는데, 그것은 곧 무기력함과 더 깊은 절망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섀클턴은 탐험대원들에게 각자의 업무를 계속 진행하도록 지시했다. 또 언제 떠나게 될지 모르는 막막한 상황 속에서도 심심함을 달래기 위해 자체 게임을 개발하면서 지냈다. 살아서 돌아갈 수 있다는 깊은 믿음이 없었다면 도저히 할 수 없는 행동들이었다. 어느 누가 영하 40도에 이르는 얼음덩어리 위에서 브리테니커 백과사전을 읽거나, 축구를 하거나, 체스 게임을 하거나, 음악을 연주하고 감상하는 일을 할 수 있다고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 그것도 난파된 배와 함께 말이다.

 

 

 

 



 

어느 밤, 비상식량과 조랑말 고기로 부실한 식사를 하고 난 다음, 섀클턴은 자기 곳의 비스킷 4개 가운데 1개를 와일드에게 주며 강제로 먹였다고 한다. “이 수간의 이런 행동이 얼마나 자상하고 호의적인 것인지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세상에 아무도 없을 것이다.” 와일드는 자신의 노트에 줄까지 쳐가며 다음과 같이 적었다. “절대 잊지 못할 것이다. 수천 파운드의 돈으로도 결코 살 수 없는 비스킷이었다. (중략) 처절한 시련을 겪은 인듀어런스 호의 대원들에게 유일한 축복이 있었다면, 그건 바로 섀클턴의 부하였다는 점이다.”

 

 

 

 



 

인간이 해낼 수 있는 가장 극한의 위기를 벗어날 수 있게 만들었던 힘은 말할 것도 없이 섀클턴의 리더십 덕분이었다. 그는 위기의 상황이 닥칠 때마다 빠른 판단으로 다음 행동을 선택했다. 무모하다고 여겨지는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탐험대원들의 절대적인 복종과 믿음을 이끌어냈다.

 

섀클턴의 리더십이 위대한 이유는 바로 이런 점들 때문이다. 그는 뚜렷한 비전을 가졌고, 자신의 가능성과 희망을 향한 절대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앞서서 실천하는 행동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팀원들 간의 따뜻한 공감대를 형성할 줄 알았다. 무엇보다 그는 ‘삶’과 ‘인간’을 사랑할 줄 알았던 열정적인 로맨티스트였다. 그는 결코 선천적이거나 타고난 영웅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런 그의 리더십이 최악의 상황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준 게 아니었을까?

 

- 역사 속 9인에게 배우는 평생 경쟁력, 서른살 리더십 중에서 -

 

 

오늘날 섀클턴이 뛰어난 탐험가를 넘어 역사 속의 위대한 리더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유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는데요, 국가와 국민들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으나, 눈앞에 명예와 업적을 과감히 포기할줄 알았고, 2년동안이나 혹한의 추위와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낙천적이고 긍정적인 자세로 자신뿐만 아니라 탐험대 모두에게 동기부여가 되도록 하여 끝내 모두 생환토록 했으니, 그 어떠한 위대한 발견이나 탐험보다도 값질 수도 있지 않나 생각을 해봅니다^^;

 

참고서적~

 

  
생각만큼 어렵지 않다(엘링카게 지음, 강성희 옮김)

탐험가로서 3극점을 최초정복한 뒤 변호사,CEO,수집가,아버지로 인생에 도전하다!

 

역사 속 9인의 리더에게 배우는 평생 경쟁력 (백기락 지음)

더 늦기전에 배워야할 서른살 리더십! 불굴의 의지로 위기를 이겨 낸 역사 속 위인 9명에게 경쟁력을 배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계 최초로 남극점, 북극점, 에베레스트 등 3극점을 홀로 걸어서 밟은 엘링 카게에게 기자가 물었다.

“극지 탐험에서 가장 힘들고 어려운 일이 무엇입니까?”
“아침에 제때 일어나는 것입니다.”
 

타임지로부터 ‘모험의 한계를 밀어내고 있는 현대의 탐험가’라는 극찬을 받은 그에게 가장 힘든 것이 아침에 일어나는 일이라니….

텐트 안에서 눈을 떠 살을 에는 매서운 날씨, 피부가 썩어 들어가는 부상과 질병을 떠올리면 슬리핑백 속에 머물고 싶을 뿐이다. 슬리핑백을 훅 차고 일어나는 데 대한 두려움은 알프레드 히치콕의 공포영화를 떠올리게 할 정도라고 엘링 카게는 말한다. 조금 더 잠을 자고 싶은 유혹을 극복하고 나면 100㎏에 달하는 짐을 끌며 몇 ㎞를 홀로 행군하는 사투는 의외로 순조롭다는 것이다.


 





전 세계가 극찬하는 위대함에 대해 카게는 자진해서 제때 일어나는 것이 얼마나 위대한가를 알아낸 덕분이라며 일단 시작하면 아무리 어려운 일처럼 보인다 해도 ‘생각만큼 어렵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그는 누군가 만들어 놓은 대로 인생을 따라가는 대신 ‘자진해서’ 인생을 탐험하는 사람들이야말 어느 극지탐험가보다도 위대하다고 덧붙였다. 카게에게 용기란 세상의 조롱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며 한 발을 내딛는 것이다. 이 용기 덕분에 그는 남들이 가지 못한 세 곳의 극점에 도달했다고 자신있게 말한다.


포커스 박영순 기자

 

 생각만큼 어렵지 않다 

type=text/javascrip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이온북스 5월 가정의 달 특집 블록버스터 이벤트


아빠 VS. 아들

 







[교보문고] 이벤트 바로가기

[예스24] 이벤트 바로가기

[인터파크] 이벤트 바로가기

 

 생각만큼 어렵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