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 브레인 - 새대가리? 천만에! 조류의 지능에 대한 과학적 탐험
나단 에머리 지음, 이충환 옮김, 이정모 감수 / 동아엠앤비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사실 '새'라고 하면 가장 흔하게 비둘기를 봐서 그런지 가장 먼저 비둘기를 떠올리고 그리 영리하지 못한 - 더구나 도시에 살고 있는 비둘기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들 중에서 몸이 무거워 날다 주저앉는다거나 날아가던 비둘기가 뛰어가는 사람의 속도를 피하지못해 부딪치고 건물 유리창에 부딪치고...하는 것을 떠올리게 되니 저절로 '새대가리'라는 흔한 말을 부인할수가 없다. 그런데 비속어느낌의 대가리라는 말 대신 새의 뇌라 칭하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니. 처음엔 뭐지? 하는 느낌이었지만 오히려 그동안의 편견을 깰 수 있는 좋은 자료를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이 책은 처음부터 기대가 되었다.

 

몇년 전 태풍이 불어 건물 간판이 날아가고 유리창이 깨지고 거리의 오래된 나무들도 가지가 꺾여 난장판이 되었을 때, 나뭇가지들 사이에 뭔가 단단한 뭉치가 보이는 듯 해 살펴봤더니 새둥우리였다. 잔 나뭇가지와 이파리로 엮어 만든 새의 둥우리를 가까이에서 본 것은 처음이었는데 너무 정교하게 엮여있어서 감탄을 했던 기억이 난다. 그러니까 그 비바람에 둥우리를 받쳐주던 나무가 꺾이고 십수미터 아래 바닥에 떨어졌는데도 전혀 흐트러짐없이 그 모양을 유지했던 것을 보면서 대단한 건축사라는 생각을 잠시 했었다. 그러고보면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속설도 동네에 살고 있는 까치가 낯선 인물을 인지하고 경계한다는 것 아닌가. 어쨌거나 이런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이야기말고 새에 대한 좀 더 과학적인 분석을 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어서 좋았고 무엇보다 제대로 알지 못했던 여러가지 놀라운 사실들이 너무 흥미롭게 읽혀서 더 좋았다.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건 영장류에게나 가능한 것 아니었나 생각했는데 놀랍게도 몇몇 새들 역시 도구를 이용해 먹이를 얻는다고 한다. 책속의 멋진 도감도 맘에 들었지만 도구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돌을 떨어뜨려 알을 깨는 것은 도구를 이용하는 것이지만 단지 알을 깨기 위해 돌에 던지는 것은 도구의 사용이 아니다 라는 언급도 재미있다. 그런데 나만 느낀걸까? 책에 사용된 새의 사진을 가만히 보고 있으면 왠지 날카로운 눈매와 다부진 표정이 영리한 새들만 불러서 찍은 거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든다.

방향과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뿐만 아니라 인간처럼 유사시대비용으로 먹이를 저장한다거나 새들도 나름의 언어를 사용할 줄 안다는 것 등 새에 대한 인식을 많이 바꿀 수 있었다. 더구나 책의 내용은 놀라운 사실들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리 어렵게 설명되어 있지 않아서 읽기 편하다. 그러니 왠지 자꾸만 추천하고 싶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