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1 - 선사 삼국 발해 ㅣ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1
유홍준 지음 / 눌와 / 2010년 9월
평점 :
저자는 책의 첫머리에 '교양과 상식으로 한국미술사를 이해하고자 하는 일반인과 미술사를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한 입문서'로 씌어졌다고 말하고 있다. 책상에 앉아 밑줄을 치며 공부하는 한국미술사가 아니라 소파에 기대어 편안히 독서할 수 있는 한국미술사에 더 중점을 두고 썼다는 이야기이다.
그말을 믿고 그닥 교양과 상식이 많지는 않지만 조금은 편하게 책을 펴들수 있었다. 하지만 편한 마음으로 가볍게 읽는다면 빨리 읽을 수 있겠다는 생각과 달리 너무 오래 들고다녀서 이 묵직한 책의 제본이 뚝 반으로 갈라져버리지 않을까 싶은 괜한 걱정이 앞서기도 할만큼 진중하게 읽지 않을 수가 없었다. 입문서라고 하지만 저자의 말대로 미술사의 이해에는 많은 예비지식이 필요한 것이며, 한국미술사의 통사通史이기 때문에 미술사관의 이해없이는 책을 술술 읽어가기가 쉽지 않았다. 그렇다고 어렵기만 한것은 아니다. 깊이 들어갈 수 없다면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만큼만 즐기자는 기분으로 책장을 넘기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이 책은 한국미술사를 기술하는 첫번째 책으로 한국의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와 발해까지의 미술사를 기술하고 있다.
학창시절에 국사시간에 듣는 여러이야기를 재밌어해서 국사수업을 열심히 들었던 덕분에 친숙한 역사이야기와 역사적 유물들의 도판이 낯설지 않아 그나마 아름다움에 감탄을 하며 조금은 여유롭게 책장을 넘기며 즐거운 교양 강의를 듣는 듯 책읽는 시간이 재미있었다.
그런데 막상 한국미술사 강의에 대한 정리를 해 보려니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해진다. 역시 이 책은 강의록 정리노트가 아니라 도판그림을 보면서 유홍준교수의 강의를 듣는 느낌으로 직접 책을 읽어봐야한다는 말밖에는 할말이 없다.
'미술사의 입문서는 박물관 관람과 현장 답사의 지침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기존의 미술사에서는 잘 다루지 않은 고고학 분야와 산성, 비석의 금석문에도 많은 지면을 할애했다'(4)라는 말처럼 지금까지 내가 그리 많은 책을 읽은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읽었던 책들보다 훨씬 다양하고 깊이있는 내용이 담겨있고 또한 풍부한 자료의 도판과 사진들이 있어 눈을 즐겁게 할뿐만 아니라 직접 박물관으로 찾아가거나 유물과 유적이 있는 곳으로 현장답사를 가보고 싶은 마음에 괜히 들떠버렸다. 생각해보면 이 책의 탄생배경에 대한 설명에서 한국미술사에 대한 책이 전무하다시피 한 우리의 현실에 대해 언급을 하고 있었는데도 한국미술사 강의가 너무 신선하다고 흥분하고 있었으니 내가 책을 제대로 읽기는 한건가 싶지만.
미술사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과 이해도 중요하지만 솔직히 평범한 일반인으로서 이 책을 읽는동안 나는 도판에 실려있는 각 작품들의 아름다움에 반해 그저 멍하니 쳐다보기만 할 뿐이었다. 청동기시대의 굽다리잔의 소박함이 좋고, 청동허리띠장식의 아름다움이 좋고 신라가야시대의 도기에서 손잡이 달린 잔은 지금 내가 사무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머그컵보다 훨씬 더 세련미를 담고 있어 놀랍다. 무덤의 벽화나 금세공장식들 기와장식과 석탑, 그리고 불상들...이미 그 아름다움에 대해 놀라기는 했었지만 그 아름다움에 대한 설명을 읽고 난 후에는 다시 한번 더 놀라게 된다. 물론 어쩔수없이 책의 도판만을 쳐다보고 있지만 실제로는 지금 당장이라도 직접 보기 위해 우선 박물관에라도 뛰어가고 싶은 마음이 크다. (그래서인지 혼자 책읽으면서도 개인소장,이라 설명되어있는 글을 읽는순간 박물관에 기증하세요!를 크게 외치기도 했다. 들리지도 않을텐데 말이다.)
"귀면와 역시 삼국의 정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고구려 귀면은 선이 굵고 인상이 강하며, 백제 귀면은 부드럽고 우아하다. 신라와 통일신라의 귀면은 화려한 자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미감의 차이는 도기, 불상 등 다른 분야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이런 특징은 아주 드물게 발견되는 인물 무늬에도 나타난다. 미륵사터에서 출토된 인물무늬와당은 온화한 노인 모습이고, 신라의 인물무늬와당은 얼굴에 가는 미소가 살아있다.
세계 문화사의 시각에서 보면 그 민족의 고유한 정서는 고대국가를 경험하면서 세련되어 간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고대국가를 거친 민족과 그렇지 않은 민족사이에는 민족적 정체성에 차이가 있다. 그런데 우리는 고대국가를 고구려, 백제, 신라라는 세 나라로 경험했기 때문에 다양한 고전적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결국 와당에서 명확히 보여주는 고구려의 강인함, 백제의 우아함, 신라의 화려함은 우리 역사 속에서 이룩한 한민족 고유의 고전적 미적 가치인 것이다." (233-235)
우리의 미술사는 우리의 역사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책의 내용중에 특별히 기억에 남는 황룡사구층탑의 민족사적 시각에서 바라 본 의의에 대한 설명이 있다. 선덕여왕이 황룡사 구층탑을 세우면서 각 층마다 물리칠 대상을 열거하였는데 거기에는 고구려, 백제가 들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삼국의 전쟁은 민족 안에서의 다툼이었다는 의식을 담고 있으며 신라의 통일은 민족사적 통일이었다는 역사적 의의를 지니는 것(280)이라는 설명은 건축물의 의의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겨있는 역사인식과 사회, 문화, 종교를 통틀어 바라볼 수 있어야 하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물론 그 자체의 아름다움도 바라볼 수 있어야하는 것은 기본이고.
이제야 막 한국미술사 강의 첫째권을 끝냈는데 벌써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진다. 1년에 한 권씩, 3년동안 집필계획을 세웠는데 그걸 어찌 기다리나 싶어진다. 다음권이 나올때까지 나는 우리의 선사시대부터 삼국과 발해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와 미술사를 다시 읽어보며 그 시간을 좀 줄여봐야겠다. 그리고 미술사의 이해에는 많은 예비지식이 필요하다고 하지 않았는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미술사를 좀 더 깊이 이해해보기 위해 예비지식을 쌓는 시간으로 생각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