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지 않다고 외치고 나서야 괜찮아지기 시작했다
정순임 지음 / 파람북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괜찮지 않다고 외치고 나서야 괜찮아지기 시작했다그래 괜찮은 인생이지

 

전창수 지음

 

 

 

우리 인생의 상처들은 가끔은 지워지지 않을 때가 있다. 그 상처들은 덧내고 덧내어서 더 이상 돌이킬 수 없을 때, 사람은 쌓아놓은 화가 폭발하여 어디론가 훌쩍 떠나던가, 그걸 못하면 병이 되어 돌아오기도 한다.

 

 

괜찮지 않다고 외치고 나서야 괜찮아지기 시작했다는 인생의 상처를 치유해가는 것과 같은 에세이다. 사람의 상처는 치유하려야 좀처럼 치유가 되지 않지만, 사람에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유하려는 노력들이 있어야만 인생을 살아갈 수가 있다. 스스로에게 주문을 왼다. 괜찮아지지 않아서, 그래서 오히려 괜찮지 않다고 외치기 시작하니, 비로소 괜찮아지기 시작하는 인생.

 

가끔은, 자신의 삶을, 자신의 괜찮지 않은 상태를 인식하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삶은 시작된다. 저자의 삶은 엄마의 삶이고, 사람의 삶이고, 아픔이 좀처럼 가시지 않는 삶이지만, 그렇게 살아감에도 자신의 마음에 있는 살아감을 잊지 않으려 노력한다. 그 살아감에 있어서 오늘도 기억할 수 있는 건 마음 저 너머에서 올라오는 놀라운 치유의 힘이다.

 

그 치유의 힘으로 오늘을 살아갈 수 있다. 그렇게 살아갈 수 있기에, 삶은 희망차다. 그 희망찬 오늘이 있기에, 우리는 더욱 더 의미있는 하루를 살아갈 수 있다. 살아갈 수 있는 오늘이 있기에, 또 내일이 있기에, 우리는 치유를 갈망한다. 그리고, 치유 너머의 힘을 갈망한다.

 

오늘 외친다. 나는 괜찮지 않다고. 그래서 괜찮아지는 인생이라고. 내일 또 외치겠지. 괜찮지 않다고. 그래서, 나는 치유되어 가고 있는 중이라고. 그렇게 살아가는 오늘, 내일, 그리고 그날을 꿈꾸기 시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고 싶어서 죽을 것 같아
램(lamb) 지음 / 팜파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고 싶어서 죽을 것 같아 불안의 어딘가에서

 

전창수 지음

 

 

공황장애를 앓고 살아가는 만화다.

물론, 치료도 해서 많이 좋아졌다고 한다.

그러나, 어떤 병들은 좀처럼 쉽게 완치가 되지 않는 병들이 있다.

치유되지 않는 병을 앓고 살아가는 것은

마음의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것이다.

때로는 마음의 안정과 자연 속에서의 휴양이

살아가는 것보다 더 중요할 때가 있다.

돈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살아가야 하는 마음들에서

조금은 사회의 치열함에서 벗어나서

하루쯤은 오늘을 치유해 내며 살아가기 위한 몸부림.

 

살고 싶어서 죽을 것 같아는 그런 만화다.

 

오늘은 살고 싶지만, 살기 위한 몸부림을 치다 보면, 오히려 죽을 것 같은 고통이 다가오기도 한다. 그 고통들의 어딘가에선 또한 치열하게 올라오는 불안들. 그 불안들 너머로 사라졌으면 하는 마음들. 그 마음들이 쌓이다 보면, 어느 덧 나란 존재는 지쳐 있고, 그 지쳐있음의 어딘가에서 다시 새롭게 솟아나는 불안들.

 

그 불안들을 떨쳐내려 안간힘을 쓰면서, 오늘을 살아가기 위해 오늘 마음의 안정을 찾아 쉴 곳을 찾는다. 그 찾아헤맴이 오늘을 그나마 안정적으로 보낼 수 있게 한다.

 

살고 싶어서 죽을 것 같아는 만화다. 오늘을 쉴 수 있게 위로해주기도 한다. 만화를 보는 것은 휴식하는 기분과 같다. 오늘도 만화 속에서 쉼을 얻는다. 오늘을 살아가는 잠깐의 쉼표가 내일을 희망차게 하고, 또 미래의 희망을 일깨운다. 오늘 또 살아갈 수 있겠다. , 다행인 삶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한 이주민과 함께 삽니다

 

전창수 지음

 

 

우리는 모두 다르다. 성격도 다르고, 삶도 다르고, 하는 일도 모두 다르다. 다르기에 우리는 대화를 통해서 그 다름을 이해하고 서로를 배려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다르기에, 우리는 상대가 이해되지 않을 수 있고, 다르기에 서로에게 불만이 있을 수도 있다. 그것을 이해하면, 우리의 다른 삶이 받아들여져, 인생을 보다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다.

 

북한 이주민과 함께 삽니다는 다름에 대한 에세이다. 북한에서 탈북한 사람과 결혼했다는 사실 때문에,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람들도 분명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외국사람과 결혼한 사람들을 특별하게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다르게 살아가는 사람들 속에서 그냥 평범해 보이는 일상이, 마음을 흐뭇하게 한다. 그 흐뭇한 마음의 어딘가에서 안에서 무언가가 솟아오른다. 그 솟아오름이 우리를 살맛나게 한다.

 

우리는 모두 다르기에 살아갈 수 있다. 다르지 않다면, 모든 사람이 똑같다면, 그 똑같기만 한 인생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아주 적다. 그리고, 인생들이 하나같이 재미없어서 사는 맛을 못 느낄 것이다. 우리는 모두 다르기에 재미있는 삶들이 되고, 우리는 모두 다르기에 인생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모두 다르기에 다양한 직업이 존재하며, 우리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밑바탕의 세상이 되어 있다.

 

북한 이주민과 함께 사는 것도 다를 뿐이지, 특별한 경험이라고 말할 수 없는 이유다. 그저, 다를 뿐인 삶. 서로가 다를 뿐인 삶들. 그 삶들 속에서 새롭게 건져올릴 수 있는 즐거움들. 그 즐거움들이 오늘 삶의 행복이 된다. 그 행복을 위하여 오늘도 다른 삶을 바라본다. 다른 삶들이 오늘 나에게, 그리고 오늘 우리에게, 그리고 오늘 그대에게 좀더 흐뭇한 미소를 짓고 바라본다. 그 바라봄의 어딘가에서 매일 웃고 있는 우리 모습이, 아주 많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목회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전창수 지음

 

 

목회자에겐 사명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성도를 이끌어야 하고, 교회를 이끌어야 하고, 또 하나님의 뜻을 따라야 하는 사명감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목회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부담을 떠안고 살아야 한다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담임목사가 된다는 것은 그래서 더 어려운 일입니다. 담임목사가 되면, 모든 책임이 자신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대통령 정치인 회장님 사장님까지도 목회자의 책임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목회자가 되는 길은 쉽지 않습니다. 사람들의 마음을 알아야 하고, 세상이 돌아가는 시스템을 알아야 하고, 또한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를 알아야 합니다. 사람들의 마음을 모르면 사람들은 목회자를 신뢰하지 않게되고, 세상이 돌아가는 시스템을 모르며 목회자는 이용을 당하게 되며,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를 모르면 하나님이 목회자에게 주신 사명을 감당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 모든 것에서 중요한 것은 그 모든 것을 하는 것에 대해서 목회자 자신이 행복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행복하지 않은 목회자, 그저 억지로 살아가라고 사람들에게 강요하는 목회자는 결코 하나님이 원하시는 목회자가 아닙니다. 목회자로서 살아가는 것이 행복하고,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행복해지는 것을 보면서, 자신의 마음이 행복감에 젖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뜻은 분명합니다. 천국이 무엇입니까? 천국은 사람들에게 영원토록 행복하라고 만든 하나님이 계신 낙원입니다. 하나님은 사람들이 이 세상에 살아가면서도 행복하길 바라십니다.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을 보면서 마음 아파하시는 분입니다. 정말로 행복하기 위해선, 사람들이 서로를 위하는 마음을 가지고 서로에게 진짜 필요한 배려와 진짜 필요한 도움을 주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목회자는 이렇게 서로 돕는 사회를 만드는 데에 필요한 핵심 인물입니다.

 

우리 모두가 서로 돕는 사회, 그래서 서로에게 정말로 필요한 존재, 서로를 위하는 마음이 있는 사회가 될 때, 사회는 점점 더 건강해지고,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세상이 됩니다.

 

목회자로서 살아간다는 것. 그것은 하나님의 사명을 받드는 일이고, 하나님의 사명이란, 모든 사람이 행복할 수 있도록 그 사회를 이끄는 것입니다. 천국은 모든 사람이 죽은 후에 행복해지는 곳입니다. 천국에 가기 전에, 이 세상이 정말 행복한 사회가 된다면, 하나님은 더 바랄 것이 없을 것입니다. 목회자 여러분. 먼저, 행복해지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 행복을 온 세상에 전파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회자로서 살아간다는 것. 그것은 행복한 삶을 사는 것입니다. 오늘도 행복한 삶을 살게 되기를, 또 기도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말로 할 일 없을 때는 무엇을 해야 하나

 

전창수 지음

 

사람은 반드시 할 일이 있고, 계속해서 하는 일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에게는 꼭 필요할 때 해야 할 일이 하나 더 있습니다. 그것은 내가 정말 할 일이 없을 때 무엇을 할 것인가를 찾는 것. 어떤 사람에게는 그것이 게임일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청소일 수 있고, 어떤 사람에게는 독서일 수도 있습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취미생활일 수 있고, 어떤 사람에게는 미래를 위한 투자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정말 할 일이 없을 때, 그때에 뭔가 할 것은 내 인생에서 플러스되는 것들입니다. 때로는 의미 없어 보이는 멍 때리기가 플러스되는 것들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 삶의 여유공간, 플러스되는 시간과 공간이 바로 정말, 자신이 정말 할 일 없을 때입니다.

 

저도 그런 적이 있습니다. 정말 할 일 없는데 무엇을 해야 할까. 제가 요즘 하는 것들은 도서관에서 신문보기, 새벽에 몽롱한 상태에서 잠을 깨기 위한 게임미션하기, 정신이 맑은 상태에서 글쓰기, 그리고 짜투리 시간에 인터넷기사 검색하기 등입니다. 그리고 저의 주업무인 텔레레터는 매일 하고 있죠. 텔레레터를 하면, 중간중간 쉬는 시간들이 많습니다. 이때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들을 많이 연구하다 보니, 저는 다양한 활동들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텔레레터란 특성상, 텔레테터로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조율하는 과정이 있었죠. 이제 신문보기는 중간에 쉬는 시간에 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텔레레터는 되도록 집에서 사람들과 텔레워드 능력으로 대화를 하면서 하기로 하였습니다. 혼자 있을 수 있는 무인카페나 무인라면콜 같은 곳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과연, 여러분은 내 인생에서 플러스되는 것들이 무엇입니까? 저는 저의 인생에서 플러스되는 것들 중에 하나로 신문보기를 택하였습니다. 다른 것들은 예전부터 하던 것들인데, 신문보기는 금전 사정상 잠시 보지를 못했었죠. 하지만, 도서관에서 신문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안 후부터는 도서관에서 신문을 보는 것을 택하였습니다.

 

인생의 플러스, 그리고 가족의 플러스, 또 친구의 플러스, 또 다른 사람을 위한 플러스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여러분의 인생에서 플러스를 찾아보십시오. 그 플러스가 여러분을 희망찬 인생으로 이끌 것입니다. 오늘도 기도하는 삶을 살아가며 오늘의 플러스를 맞이하게 되시기를. 오늘의 플러스 기쁨이 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