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류 - 채만식 장편소설 한국현대문학전집 (현대문학) 12
채만식 지음, 공종구 엮음 / 현대문학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현대문학 전집이란걸 턱하니 사놓고 읽고 있다.

고딩 국어시간때 많이 "외우던" 책들.

 

채만식의 탁류.. 음.. 대략.. 

거두절미.. 한구절을 옮긴다.

 

"그러나 그는 겨우 그 양으로 눈이 갔을 뿐이지.

질을 알아낼 시각엔 이르질 못했다.따라서, 가난과

병과 무지로 해서 불행한 사람이 많은 줄까지는 알았어도,

사람이 어째서 가난하고 무지하고 병에 지고 하는냐는 것은 아직도 알지를 못한다." (493)

(승재를 두고 하는말)

 

초봉이의 비극은 결국 채만식의 말대로 인간풍속과 욕심에서 비롯되리.

어디 초봉이의 비극뿐이랴. 2012년을 사는 우리네도 그렇지 않겠는가.

풍속과 욕심!

아.. 어떻게 살아야 할까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 너머의 역사담론 1
오항녕 지음 / 너머북스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요새 광해군이 핫인물이다.

그를 소재로 한 영화도 히트를 치는 모양이고..

또 한국외교를 논할때 단골손님으로 늘상 등장하는 인물이 또 광해군이다.

 

광해군은 성군인가? 폭군인가?

인조반정으로 인해 물러났다면 필경 무슨 잘못이 있었을테다.

폐모살제! 어미(인목대비)를 죽이고 형 임해군과 아우 영창대군을 죽였다는 죄목.

무리한 궁궐 재건으로 국가재정 및 백성들의 생계를 피폐하게 했다는 죄목.

그리고 명을 배신하고 오랑캐 후금에 유화정책을 폈다는 죄목 등..

 

크로체가 그랬다고 하든가.. "모든 역사는 현대사다"

그렇다. 역사는 그냥 역사일뿐인데.. 언제나 그 해석이 달라진다.

현재에 그 역사를 해석하는 정치적 관점에 따라.

 

저자는 광해군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광해군에 대한 과대평가는 일제시대의 식민사관으로부터 비롯됐다는 것.

광해군 역시 뻘짓 많이 하고.. 백성 힘들게 하고.. 간신을 끼고 돌고.. 폐륜을 저질렀다는 것.

 

그러나 평가의 관점은 역시 다양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광해군이 '악한' 군주였다면, 그래서 인조반정으로 쫓겨났다면..

이후 들어선 인조정권보다는 훨씬 못한 군주였음에 틀림없다. 

 

문제는 꼭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

공리주의를 그리 좋아하는 건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인조정권은 광해군 정권보다 민중을 훨씬 많이 죽였으니 말이다.

 

핵심은 결국 정묘/병자호란이었다.

인조정권의 안일한 외교정책이 불러온 참화였다.

그결과 광해군의 실정으로 인한 사상자수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수많은 민중이 죽임을 당하고 성노예로 끌려갔다.

 

사실 외교정책이 단지 외교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됐다면 차라리 그러려니 한다.

문제는 인조정권의 현실괴리적 외교정책은 국가안보 보다  

지배권력의 자기정당성 강화라는 양아치적 행태에서 초래된 인재였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호란이후 아무일 없었다는 듯이 또 권력을 향유했던 게 사실이니.

더더욱 용서가 안된다.

 

광해.. 그렇다. 뻘짓 많이 했을 것이다.

그러나 사실 착한 권력 따위가 세상 어디 있겠는가.

푸코말대로, 권력은 나쁘거나 착하지 않다. 단지 음험할 뿐이다. 

 

결국 실존의 문제로 돌아와서 이런 질문을 던져야 한다. "누가 '덜' 나쁜 왕인가?"

아무리 생각해도 인조정권보다는 광해군정권이 덜 나빠보인다.

 

암튼.. 오항녕의 글은 잘 읽히고.. 많은 걸 배우고 생각하게 해준다.

관점이야 어떻든 이덕일, 오항년 같은 저자들이 있어 역사가 재밌다. 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 1894년 여름 - 오스트리아인 헤세-바르텍의 여행기
에른스트 폰 헤세-바르텍 지음, 정현규 옮김, 한철호 감수 / 책과함께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재밌는 책이다. 관점이.

19세기말의 조선사회를 21세기 인간들의 관점이 아니라..

19세기말의 서구인의 시각에서 묘사한 것이 흥미롭다.

더욱이 놀랄만큼 '정교'한 묘사가. 

 

물론 그 시각은 오리엔탈리즘을 기본으로 깔고 있다.

오리엔탈리즘. 동양에 대한 편견. 우월감. 그리고 신비감.

몇가지의 묘사가 책전반에 맴돈다.

 

1. 조선의 상업은 발전되지 않았다.

2. 길은 엉망진창이다. 더럽다.

3. 조선 남자들은 게으르고, 더럽고, 일을 안한다.

4. 여자들만이 노예와 같이 일을 죽어라 한다.

5. 정권의 가렴주구가 극에 달해 있다.

6. 조선인들은 일본인과 중국인에 비해 키가 크고 신체가 우람하다.

7. 조선의 잠재력은 크기 때문에 정치권력만 바로 서면 부강한 나라가 될 수 있다.

 

조선에 상업이 발전할 수 없는 이유를 '착취'구조에서 찾는 부문은 흥미롭다.

 

"이 땅에서 상인이나 기업가, 농부, 목축업자들이 자신과 가족의 생계에 필요한 것 이상으로 획득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일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연이나 좋은 수확 덕에 약간의 돈이 수중에 들어오면, 그들은 돈을 땅속에 묻거나 비밀에 부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고급 관리들이 곧바로 달려들어 빼앗아가기 때문이다." p. 155

 

조선 지배권력의 사악함에 대한 비판도 계속된다.

 

"일본인과 중국인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갈등과 억압당하고 착취당하는 백성의 반란이 현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면 좋으련만, 지금의 상황으로 보건대, 넓은 지구상에서 조선만큼 백성이 가난하고 불행한 반면 지배층은 거짓되고 범죄적인 곳은 아마도 거의 없을 것이다." p. 107

 

조선의 이 모든 불행은 정조이후 세도가문에 의해 권력의 사유화가 고착된 것에서 연유된 것이리라.

민중들로서는 조선 지배권력이나 외세나 무엇이 달랐겠는가? 

 

예나 지금이나 권력은 항상 민중과 괴리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털없는 원숭이 - 동물학적 인간론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문예춘추(네모북)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언젠가부터 사회과학이라는 것이 희대의 뜬구름 잡기가 아닌가란 생각이 든다. 인간중심적인.. 너무나 인간중심적인. 인간의 보잘것 없는 시각에서 이데올로기를 전쟁을 평화를 권력을 그리고 종교를 '재단'한다. 또 그게 진리라며 다툰다.  

가끔씩 그런 생각을 한다. 만약 초고도 문명의 외계인이 지구 가까운 곳에 전망대를 세워놓고 인간들을 관찰하고 있다면.. 그들은 어떠한 조사보고서를 쓸까? 인간이 밀림에서 위장막을 덮어쓴채 동물을 탐색하듯. 그들의 탐사보고서는 바로 <털없는 원숭이>의 내용과 닮아 있지 않을까. 

이 책을 지금에서야 읽었다는 게 아쉽기도 하지만 또 행운이기도 하다. 너무 많은 걸 생각하게 해주는 책이다. 우리 인간이란 털없는 원숭이의 일거수 일투족이 동물적 습속의 결과물일 뿐인지 반성케 하는.  

다른 동물과 확연히 다른 유아독존 인간들의 찬란한 문명? 그렇게 고상한 인간들은 여전히 서로 대규모 살육을 하고 이젠 스스로 멸족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 그렇게 고상한 인간들이. 차라리 동물들의 전쟁이 보다 순수하다. 그들의 전쟁은 죽음이 아니라 경쟁자의 도망침, 기껏해야 복종이다.  

그러나 인간의 전쟁은 상대의 전면적 죽음이다. 최신무기는 상대 경쟁자가 도망하거나, 복종하고 있다는 상황을 인식할 기회를 박탈한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털없는 원숭이들의 전쟁을 그 어떤 동물들의 그것보다 위험하게 만들었다. 

반대로 민주주의, 사회주의.. 뭐 이런 고상한 이념들은 또 무엇이던가? 영장류들이 최초 숲속에서 나와 들판에서 다른 육식동물들과 경쟁에 내몰렸을때 더 이상 그들은 숲속에서 처럼 일인지배하의 강력한 위계체제를 지탱할 수 없었다. 다른 육식동물과 먹이 경쟁을 하려면 상호간 협동이 필요했던 것. 위계체제를 유지하면서도 낮은 위계에 있는 구성원들의 일정한 밥그릇도 약속해 줘야 했던 것. 우리가 거품무는 민주주의, 사회주의라는 이념의 기원은 그러한 생물학적 이유가 아니었을까. 

'좋은' 지식은 성찰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그 성찰이란건 우리 스스로에 대해서 관찰자 입장에서 반성해 보는 것일게다. 현재의 너무나 인간중심적 사회과학은 결코 성찰적일 수가 없다. 거들먹 거리는 사회학 연구자들은 필히 자연과학을 수용해야 한다. 물리학에서, 생물학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휴버먼의 자본론 - 과연, 자본주의의 종말은 오는가
리오 휴버먼 지음, 김영배 옮김 / 어바웃어북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좋은 책이란 무엇일까? 역시 누구든 문제의식을 공유한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그런 책 아닐까. <휴머번의 자본론>이 그런책이다. 쉽다. '그리고' 가려운 데를 모두 긁어준다. 종결자. 맑스의 자본론. 명저다. 허나 열정만 갖고 읽어내기가 만만치 않다.  

휴머번의 자본론을 읽고 맑스 자본론을 읽어보자. 맑스가 19세기 영국 자본주의를 보면서 자본론을 썼다면, 휴버먼 20세기 전반기 미국의 자본주의를 보면서 이 책을 썼다. 핵심은 동일하다. 자본주의는 '모순덩어리'다. 전쟁, 공황, 비효율, 비합리성.. 등의 종합선물세트. 

요즘 부상하는 중국에 딴지를 거는 여러책들이 쏟아지고 있다. 재밌는게.. 휴버먼이 비판하는 20세기 초 미국 자본주의는 21세기 중국 자본주의와 너무도 닮아 있다. 극심한 빈부격차, 절대빈곤, 열악한 노동환경, 사회복지. 하기사 찰리 채플린의 영화속 미국사회는 얼마나 엉망진창이었던가. 아.. 웬수같은 자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