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명록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Fithele 2003-08-28  

[주인장] 비닐 입히는 취미
초중고 시절에 교과서를 받으면 정성껏 비닐옷을 입히는데 하루 저녁을 소비하곤 했습니다. 원래는 책 싸는 비닐이라고 보통 비닐의 1/2정도에 투명도도 높은 걸 써야 하는데, 당연히 그런 건 비싸니까 그냥 싼거 대충 끊어다가 썼었죠. 중학교 땐가 누군가가 색종이로 책을 싸는 걸 보고 이뻐서 그냥 따라했다가 한 달도 못가 포장이 벗겨지면서 다시 비닐로 돌아갔는데, 그 학기에 강자가 나타나더군요. 색지 + 최고급(?) 비닐 포장 -_-;; 지금 와선 왜 그런게 부러웠울까 싶은데... 대학 와서 하드커버, 페이퍼백이 등장하면서 포장의 취미는 사실상 끝났습니다. 다 보지도 않고 학기를 끝내는 책들도 생기고, 사놓고 안 읽은 책도 늘어가면서 자주 손대는 책들에 묻어가는 손때가 오히려 자랑스러워지기도...

오늘 미국출장 갔던 선배에게 부탁했던 Lord Darcy 전집을 받았다가 그 오래된 취미를 처음으로 기억해 냈습니다. 다들 잘 아시다시피 미국판 페이퍼백은 가격은 거의 1/3 수준이지만 한 두번쯤 펴보고 나면 겉표지 끝이 벌써 닳기 시작합니다. 가운데가 찢어지는 건 시간문제구요 ^^;; 오래오래 읽을 예감이 벌써부터 들기 때문에, 다시한번 그 시대에 뒤떨어진 취미에 손대볼까 생각중입니다.
 
 
Fithele 2003-09-01 1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고 보니 예전에 미국 출장 갔을 때 기억이 납니다. 지하철에서 심심해서 반스 앤 노블에서 구입한 the Language Instinct 원서를 줄창 들여다보고 있었는데, 사람들이 제가 네이티브인줄 알고 자꾸 길이나 정거장을 묻더군요. -_- 읽는 건 주입식 교육 탓에 쬐끔 되지만 회화는 그때나 지금이나 영 젬병이기에 책을 A4로 포장할 수밖에 없었죠 ;;
 


Fithele 2003-08-28  

[주인장] 책장 정리의 기쁨
Kel 님의 서재를 보고 주인장이 방명록에 글을 못 쓸 이유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방명록'이란 제목의 압박에 조금은 쪽팔리긴 하지만 ...

'나의 서재'는 정말이지 가진 책을 폼나게 정리할 수 있는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한때는 홈페이지 htm을 일일이 작성해 가면서, 혹은 cgi보드를 이용해서, 가장 최근에는 wiki를 이용해 소장목록을 정리하고 있었는데, 외서들은 여전히 어쩔 수 없지만 국내 서적에 대해선 최소한의 노력을 들여 정리할 수 있는 것 같네요.

굳이 목록을 정리하는 이유는 두집살림(^^;;)을 하고 있어서입니다. 예전엔 소유 물품은 웬만하면 전부 기억하고 있었는데, 졸업할 때가 가까와지고 신경쓸 게 많다 보니 집에다 보낸 책들의 이름이 하나둘씩 기억나지 않기 시작... 어느 날 집에 내려가 우연히 책장을 보다가 '스타트렉의 물리학'을 두 권 구입해 버린 걸 깨달았을 때 그 당혹감이란 ... -_-;; (그러고 보니 이 책을 소장목록에 추가하는 걸 깜빡했군요. 또 책 한권 버릴 뻔 했습니다. 2탄이 나왔다는 소문도 있던데 ...)
 
 
Fithele 2003-08-28 1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 뜻은 아닙니다 ^_^ 좀더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미스터리] 쓰신 걸 보고 감명을 받았거든요

zooey 2003-08-30 2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조만간 방명록 말고 게시판 비슷한 것도 생길 예정이랍니다. ^^

nutmeg 2003-09-03 1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알라딘의 이예린이라고 합니다 ^^ 매번 써 주시는 마이리뷰는 재미있게 읽고 조용히 즐거워하고 있었습니다만, 오늘 갑자기 글을 남기는 이유는 목록 정리에 대한 Fithelestre Hahn 님의 이야기에 너무나 동감해서! 저도 두 집 살림을 하고 있거든요. 게다가 그 두 집이 의외로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책들이 마구 뒤섞여 있답니다. 빨리 저희 소장함에 분리 기능이 생겨 따로 목록을 만들 일이 없어져야 할텐데요. (아냐, 그 때에도 역시 나는 양쪽을 왔다갔다하며 부지런히 어지럽히고 또 찾고 할테지 ㅠ.ㅠ)
 


늙은 개 책방 2003-08-28  

공포/추리 매니아들의 한마당
안녕하세요, 공포/추리물을 좋아하시나 봐요
저는 추리도 좋아하지만 공포의 더 광팬이긴 하지만 ^^;;;
님 리스트와 리뷰를 보니 제가 읽고 싶었던 책이 있네요
제가 몰랐던 책도 꽤 많은데, 언제 한 번 서점에 들러
읽어봐야겠습니다...콤콤...서점 구경 잘 하고 갑니다~
 
 
Fithele 2003-08-28 16: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환영합니다 ^^
 


초록미피 2003-08-26  

제레미 브랫...!
<셜록 홈즈의 세계>에 보내주신 리뷰 잘 읽었습니다. 저도 셜록 홈즈의 광팬입니다. 저는 장르소설을 좋아한다기보단 그냥 셜록 홈즈를 좋아합니다...^^ 제레미 브랫이 연기한 셜록 홈즈는 그야말로 셜록 홈즈 자체라고 생각합니다만...등록하신 사진이 너무 좋아 주절주절 글 남깁니다. 얼마전부터 히스토리 채널에서 다시 셜록 홈즈를 해주는 것 같더군요. 밤 11시던데 또 채널쟁탈전을 해야할 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Fithele 2003-08-26 16: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진을 보니 한때 대수사선 시리즈의 전도사(?)였던 시절이 기억납니다. 아오시마랑 대수사선 정말 좋아합니다. 저는 특히 연말 특별편이 재미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른 것들이 일본 미스터리물의 전형을 따르고 있는데 비해 신선해서... 대수사선 2는 언제 나올까요.

초록미피 2003-08-26 17: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확실히 TV판이 재미있더군요. 굳이 역학도를 그려보자면 TV판>스페셜>극장판이랄까요. 대수사선 2가 올해 7월 일본서 개봉한 건 아시죠? 국내에선 PIFF에서 상영될지도 모른단 괴소문이...

초록미피 2003-08-26 1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게 아니더라도 내년쯤엔 국내수입 개봉될 거란 얘기가 있습니다. 아, 5년만에(TV+극장판 방영이후) 만나는 아오시마라니 두근두근합니다.

Fithele 2003-08-26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홈즈 팬이시라니 너무 반갑습니다! 저도 히스토리 채널 덕택에(?) 사교 생활에 매우 많은 지장을 받고 있습니다. -.- 참 원작에 충실한 드라마죠... 덕분에 홈즈 전집에, 특별판(셜록 홈즈의 세계 ^^), 패스티시까지 모두 다시 읽으면서 소시적 저의 영웅이었던 홈즈에 대해 다시한번 회고할 수 있었습니다.
 


zooey 2003-08-26  

안녕하세요? ^^
놀러왔습니다. 1등이네요.(왠 등수놀이.;;)
몽크가 비행기 타는 에피소드가 마지막이었죠. 누군가 몽크와 샤로나의 툭탁거림을 네로 울프와 굿윈의 관계에 비유하던데, 나름대로 절묘한 비유인 것 같아요. homecgv판을 먼저 봐서인지, 저는 나중엔 더빙판이 영 어색하게 느껴지더군요. 자꾸 콜롬보 생각도 나고 해서...

저도 <사라지는 거리> 구입하고 당황해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 노란 표지와 커다란 활자, 말로 형용할 수 없는 번역과 편집상태 때문에요.;; 저도 장르소설은 가리지 않고 보는 편인데(로맨스랑 무협 빼구요.) 반갑습니다. ^^ (실은 얼마 전에 회사 사람이 '장르 소설'이 도대체 뭐냐, 단어가 어렵다고 해서 충격받았었거든요.;;;) 서재구경 잘하고 갑니다~
 
 
zooey 2003-08-26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맞아요. 샤로나에게 버림받은 몽크는 정말로 '불쌍'하죠. 네로는 좀 얄미운 감이 있는데... ^^

Fithele 2003-08-26 0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1등 축하드립니다 ^^;; 네로-굿윈의 비유는 정말 절묘한 것 같네요. 다른 점은 네로는 챙겨주지 않아도 별로 미안하지 않은데 몽크는 정말 애처로와 보인다는 것 -_-;; 프와로-헤이스팅즈 콤비의 성격도 좀 있는데 이쪽은 프와로의 깔끔함 탓이라기 보다 못된 성격 때문이니까 조금 다르네요. 암튼 영 누추한 서재에 좋은 말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