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단어공부를 일정수준하게 되면 문법도 공부해야 하는 걸 느껴서 새로 공부하기로 했다. 부끄럽지만 고교수준부터 다시 공부하기로 했다.


 












그래머존은 꽤 자세하고 괜찮은 문법책이다. 자주보고 있다. 천일문은 문장으로 문법사항들을 연습할 수 있어서 좋다.



  











이건 거의 국민문법책인데, 예문이 정말 좋은 것 같다. 이 책은 원서로 공부하는 게 좋은 것 같다. 


 












그래머인유즈와 쌍벽을 이루는 교재. 서로 비교하면서 공부하기 좋다.  난 한국어판이 나오기전 원서인 3판으로 공부하면서 애를 먹었는데, 한국어판은 적절한 문법설명과 지시문만 번역해 놓아 공부하기에는 한국어판이 좋은 것 같아 4판의 번역본인 한국어판도 구입했다.













발음공부교재로 유명한 AAT교재를 쓴 저자가 말하기를 위한 문법교재로 만든 것. 영어의 기본구조를 말하기위해 연습하도록 만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찌어찌하게 대학나오고 살면서 영어공부의 중요성을 간과해서인지 원서를 읽는 게 힘들었다. 전공이었던 영화쪽이나 광고도서들은 대강 읽겠는데 소설들은 왠지 읽어나가기가 수월하지 않았다. 목표는 단 한가지. 영어소설을 읽자라는 걸 염두에 두고 영어공부를 새로 시작하고 있다. 


그동안 나는 문법서들만 보아왔는데, 원서읽기에는 별도움이 되지 않았다. 영어단어공부를 새로 시작하면서 그걸 깨달았다. 창피하지만 고등학교 단어책들을 보기 시작했다. 내가 고등학교다닐 때는 (80년대) 따로 단어책이 없었다. 교과서를 공부하다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민중서림에서 나온 영한사전을 보고 단어를 찾아 연습장에 100번 써가면서 외우는 방식이 그 당시 보편화된 공부였다. 요즘 보면 좋은 단어공부교재들이 너무나 많다. 요즘같은 교재들이 그때도 있었다면 영어공부를 열심히 했을텐데... [성문기본영어]만 공부했으니 영어공부에 흥미를 가질 수 있었겠는가. 그래서 내가 가장 싫어하는 책이 [성문기본영어]와 [성문종합영어]다ㅠㅠ.



    












고교수준의 영단어교재는 위의 세권이 가장 좋은 것 같다. 어휘끝 스타트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어들을 재미있는 구성으로 되어있어 음성파일과 함께 공부할 수 있어서 좋았다.  능률보카는 어원중심으로 공부할 수 있어좋고, 어휘끝은 어원과 여러방식으로 단어공부를 할 수 있다. 이정도의 단어수준이면 일단 소설원서중 어린이에서 청소년소설을 읽을 수 있다고 본다. 세권다 mp3를 제공해서 단어의 발음을 같이 공부할 수 있다. 사전의 발음기호로 공부한 나에게 발음교정은 필수.  



  











보카22000은 좀 더 단어공부를 심화하면서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어서 좋다. 단어수는 적지만 고기잡는 법을 가르쳐 주는 책이다. 해커스보카는 이미 국민보카책이다. 동의어가 잘 되어있다. 지금 중점적으로 공부하는 단계의 교재다.



  














좀 더 고급단계로 가기위한 단어 교재들. 다음에 중점적으로 보기로 한 책들. 구매만 해놓고 조금만 공부해보니 지금은 무리이고, 위의 책들을 공부하고 난 다음 하려고 한다. 위의 책들을 공부 하면서 동시에 원서읽기를 하고 있다. 현재 원서레벨 6.0정도를 목표로 읽고 있다. 원서로 청소년소설을 주로 읽고있다. 


 


  












재미있게 읽은 두 책. holes는 정말 재미있고 감동적이다.


전자책으로 모은 원서들 중 세계문학을 술술 읽게되길 원하면서.

모르는 건 부끄럽지 않지만, 노력하지 않은 무지는 정말 부끄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를 배우는 예술대에서 이문구선생님을 만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시나리오작법을 시나리오작가나 감독에게서 배우는 시간이 많았지만, 당대 최고의 문장가인 이문구 선생님을 수업에 뵙다니 난 내색하지 않았지만 참 즐겁고 고마운 수업이었다. 5명내외의 소규모로 하는 작법시간. 매주 선생님은 글쓰기과제를 내주고, 원고지에 글을 써가면 다음주엔 빨간펜으로 첨삭지도를 해주셨다. 시나리오를 쓰는 영화인들은 크게 문장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글을 쓰는 발상부터 문장의 중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수업이었다. 이문구 선생님의 독설은 맑고 경쾌하면서 사람을 무시 하지않는 인간적인 그것이었다.


돌아가신지 10년이 지나 갑자기 이문구선생님의 소설들을 다시 꺼내 읽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년쯤부터 갑자기 철학서들을 읽고 싶어졌다. 철학전공도 아니고 아는 것은 고교시절 수준의 철학자들 정도였다. 대학다닐 때 과제를 위하여 현대철학자들 몇몇을 인용하기는 했지만, 알고 있어서가 아니라 과제를 그럴듯 하게 보이기위한 양념같은거였다. 철학서들을 읽기 위하여 일단 서양철학사를 봐야겠다고 생각한 나는 먼저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를 구입해서 합해서 1600쪽 정도의 그 두꺼운 책을 읽기시작했다. 1독을 하고 난 뒤, 아 이건 아니다 싶어 조금 더 쉬운 책을 찾기 시작했다.


1. 철학이야기-윌 듀란트 / 철학의 뒤안길

 















이 책은 꽤 오래전에 나온 책인데, 가지고 있었다. 이야기하듯 철학사와 철학가들을 풀어나가고 있다. 조금 더 쉬운 책은 [철학의 뒤안길]이라는 책인데, 철학자들의 에피소드 중심으로 쉽게 쓰여져있다. [철학의 에스프레소]라는 책은 아마 같은 책일 듯 싶다.


2. 서양철학사 - 버트란트 러셀/ 서양철학사-렘프레히트














 

내가 가지고 있는 책은 집문당에서 나온 상.하로 나뉜 책이지만 새로나온 번역본도 욕심이 나긴하다. 러셀의 자기주장이 담긴 철학사다. 철학이야기를 재미있게 봤다면 이 책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렘프레히트의 서양철학사는 꽤 오래전부터 서양철학사의 기본서로 나온 책이다. 


3. 개념-뿌리들















이 책은 철학서를 읽으면서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국내 철학교수의 저작이라 그런지 보기가 수월하다. 많이 도움이 된 책이다. 이건 판이 몇 번  바뀌어 현재는 1권으로 합본이 되었다.


4.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철학의 역사 - 브라이언 매기














그림과 각 찰학사들을 요약한 부문이 돋보이는 책으로 간결한 서술이 매력적인 책이다.


5. 서양철학사-힐쉬베르거















가장 먼저 손댄 책이지만, 가장 어려웠던 책이다. 각 철학자들의 서적들을 보기 시작하면서 참조하면서 보는데, 각 철학사와 그 철학자들의 책들의 핵심을 실었다. 보면 볼수록 더 어렵지만 그 만큼 자꾸 보게되는 책이다.


6. 그리스로마철학사-코플스톤















코플스턴의 철학사는 분량이 일단 많다. 원서는 9권이나 되는데, 다 번역이 되지는 않았고 출판사도 다르게 몇 권 출판되어 있다.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보다는 읽기가 낫다. [그리스로마철학사]는 책상태가 안 좋아서 새로 받았는데, 그책도 제본 상태가 안좋아 그냥 테이프로 붙여가면서 봤다. 지금은 절판이다. 전체가 전집으로 출판되는 날이 있을까? [영국경험론]은 현재 판매중인데 전에는 절판중이라 출판사에 전화까지 했었다. 그 당시엔 다시 인쇄할 지 모른다는 답변이었는데 조만간 구입해야겠다. 언제 다시 절판될지 모르겠다. 서광사에서 판형을 통일해서 전집이 나왔으면하고 희망한다. 전공자들 이외에는 구입을 안하니 힘들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영화 프로듀서다. 시나리오를 수 백편 읽으면서  가장 고민이 되는 것은, 이것이 읽기에만 잘 쓴 시나리오라는 판단보다 영화적 문법에 적당해서 영화로 만들었을 때 좋은 영화를 만들 수 있냐는  판단이다. 그렇다면 이 판단은 어디에서 오는 가? 숙련된 영화인은 감이 온다고 말하지만, 감만 갖고는 버틸 수 없는 곳이 영화판이기에 항상 시나리오를 잘 읽기 위한 공부도 필수이다. 작가들은 자신의 시나리오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고 하소연을 한다. 그러나 그것을 평가하는 사람들도 어느 정도는 시나리오 작법이나 영화적 문법에 익숙한 사람들이기에 시나리오를 쓰고자하는 분들은 기본적인 시나리오의 룰을 계속 숙지하고 연구해야만한다. 그렇기에 기본적인 도서들을 추천한다.



1. 글쓰기의 준비


 














이 책은 전반적인 글쓰기를 위한 요약집이라고도 할 수 있다. 글쓰기에 대한 입문서 정도로 보기에 좋다.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한 의욕을 가질 수 있다.


2. 시나리오쓰기
















시나리오쓰기의 전반적인 바이블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몇 번을 읽어도 그 가치가 대단한 책이다. 본인은 2002년 초판을 구입해 10년이 지난 지금도 옆에 두고 읽고 있는 책이다. 필독서.


3. 실전 시나리오쓰기














이 책은 실전용으로 시나리오를 쓰면서 생기는 문제점들을 점검하면서 볼 수 있는 책이다. 위의 책과 함께 본인이 꼽는 최고의 책이다.아쉽게도 알라딘에선 지금은 품절이다.


4. 심화















이 책은 어렵다. 영화를 전공한 사람들도 어렵게 느껴질 것이다. 헐리우드 최신경향의 시나리오 쓰기의 분석서같은 책이다. 시나리오를 완성해 나가면서 좀 더 깊이있게 다듬고 싶을 때 읽으면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